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선전선동(agit-prop) 우표로 분석한 북한권력 상직조작
신간
선전선동(agit-prop) 우표로 분석한 북한권력 상직조작
저자
남성욱·정다현
역자
-
분야
정치/외교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8.15
장정
양장
페이지
368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2020-5
부가기호
93340
강의자료다운
-
색도
4도
정가
29,000원

초판발행 2025.08.15


북한 정권이 강조하고 싶은 주요 정책이나 상징은 어김없이 우표에 반영되었다. 김정은이 20241월 선언한 지방발전 20×10정책은 동년 5월 관련 선전화와 김정은 사진이 활용된 우표들로, 김정은이 오랜시간 공을 들여 20256월 준공한 원산갈마 해안관광지구는 동년 8월 해당 지역 곳곳을 홍보 팸플렛과 같이 제작된 우표들로 구현되었다. 북한우표는 지도자에 대한 관심도를 끌어올려 위상을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20232, 도안에 김정은의 딸을 의도적으로 연출하여 세계의 이목을 폭발적으로 집중시킨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포-17형 시험발사 성공 기념우표(Sp5458~5464)가 대표적인 사례다. 왕정(王政) 이후에도 소련, 나치 등 전체주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이다.

한반도 우편 체제의 역사적 정통성은 대한민국이 가지고 있다. 만국우편조약에 따른 유엔(UN) 전문기구인 만국우편연합(Universal Postal Union, UPU)에 대한국(大韓國)이란 국호로 1900년 가입했고, 1947년 제12차 파리총회 결정에 따라 우리 국호인 대한민국으로 회원자격을 승계했다. 반면, 북한은 1974년에서야 UPU에 가입했기에 북한이 남북체제 선전대결에서 늘 강조하는 정통성측면에서 남한보다 못하다. 하지만 북한은 우표 생산 및 보급에는 매우 적극적인 입장으로 우표 발행 종류만 해도 남한의 2배에 달한다. 남북한 우표 발행의 목적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우표를 활용한 우편의 체신(遞信) 기능을, 이메일,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손전화 통보문) 및 각종 인터넷 기반 서비스 등이 대체하는 현실은 북한 또한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우표남발국(Stamp Pandering Countries)’으로 지정될 만큼 꾸준히 각종 우표를 적극 발행하고 있다. 그 이유는 외화벌이, 정권 선전 등 다양한 쓰임새에 있을 것이다. 타국 외교관 등 외국인의 북한 방문 · 관광코스에 우표전시회 관람은 당연한 코스다. 2012년 평양의 우표전시관을 우표박물관으로 승격하고, 개성 우표전시관(2018)과 평양 우표박물관(2019)을 개건(改建)했다. ‘조선우표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도 수시로 새단장(renewal)하며, 2020년대부터는 각종 정권 기념일 전후로 인터네트 기념특집’(인터넷 전시회)을 개최하는 등 온라인 상의 우표 활용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북한우표의 가장 중요한 쓰임새는 지도자 우상화이다. 발행된 우표 상당수가 지도자의 위대성을 직 · 간접적으로 찬양하고, 지도자에 맞서는 대상은 악마화시킨 우표이다. 만국우편협약 및 최종의정서6조 제5항 제4호에서는 우표의 디자인에 국가에 대하여 적대성을 지닌 정치적 인물이나 주제는 배제된다고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미(反美), 반일(反日)을 주제로 한 북한우표는 수없이 발행되었다. ‘남조선 인민이 북한의 지도자를 흠모하고 찬미혹은 남조선 인민이 대한민국 정부를 배격하는 모습을 부각하여 연출한 우표도 많다. 6 · 25 전쟁을 북침(北侵) 받았으나 결국 영광스러운 승리를 맞은 사건으로 그려내는 등 일어나지 않은 각종 역사적 사실을 조작(造作) 및 왜곡한다. 우표를 활용하여 북한 지도자의 권력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정치적 상징조작(象徵操作)의 일부이다.

본서에서는 북한우표가 첫째, 정례적으로 발행되며, 둘째, 정권 핵심 선전선동부의 지도 아래 제작되고, 셋째, 발행 소식이 대내외에 대서특필되기에 북한의 대표적인 선전물이라 본다. 각종 지도자의 지시 내용을 담고, 지도자를 위한 희생자들을 기리며 지도자에 대한 무조건적인 복종을 고무추동하고 있기에 선동의 기능도 강력히 수행하고 있다고 본다. 선전선동 우표에 나타난 정치적 상징조작은 정권의 안정적 운영과 세습에 기여했다고 상정한다. 상징조작을 파악하는 작업은 지도자별 권력의 역사 및 우표사(郵票史) 정리와 동시에 정치적 목적을 분석하는 일이다. 이를 통해 북한이 정권을 어떻게 유지하고자 했는지 유의미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북한의 의도를 조망(眺望)할 때, 하나의 나이테(tree-ring)를 형성함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상징조작을 활용했는지를 추적하여 정권의 의도를 읽고, 더 나아가 한반도의 미래를 예측하는 수단으로 북한우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서는 북한의 선전선동 우표에 나타난 정치적 상징조작을 분석하고 함의를 위해 서론과 7개의 장으로 구성한다. 서론에서는 우표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1900년 아이티-도미니카 공화국 간의 우표전쟁, 1940년대 나치에 대한 미국의 우표심리전, 남북한 및 일본의 독도우표 분쟁, 2020년대 현재진행형인 우크라이나 전쟁의 선전선동 우표 활용을 살펴보며 우표의 영향력과 의도 등을 확인한다. 1장에서는 북한우표를 정의하고, 북한우표가 어떻게 계획되고 발행되고 활용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2장에서는 북한의 선전선동 이론을 정리하고, 소련과 나치 등의 전체주의 체제 선전선동(agit-prop)과 우표 활용을 소개한 뒤, 분석틀로 적용할 정치적 상징조작 이론에 관하여 서술한다.

3장부터 제5장은 북한의 지도자별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발행된 지도자 상징 우표, 직관선동 우표, 예술선동 우표 등의 선전선동 우표를 분석한다. 3장은 우표에 나타난 김일성을 위대한 어버이수령으로 정의하고, 1946년부터 1974년까지 발행된 선전선동 우표를 추적한다. 1절에서 김일성의 유일사상체계 구축과 지도자 상징 우표의 상관관계 및 연혁을 기술하고, 2절에서 김일성의 교시 및 법령 등 말과 글을 직관화하여 구현한 우표와 제3절에서 김일성의 위대성을 예술작품화 한 우표의 상징조작 방식을 살펴본다.

4장은 우표에 연출된 김정일을 위대한 장군으로 정의하고, 1975년부터 2010년까지 발행된 선전선동 우표를 추적한다. 1절에서 후계자 김정일이 후계 확립 및 권력 세습 과정에서 활용한 김일성의 위대성과 자신의 정치적 정당성에 관한 정치적 상징에 대하여 서술하고, 2절에서 당 결정, 교시 및 법령 등 김정일의 말과 글을 직관화 한 우표와 제3절에서 지도자 찬양 음악의 악보와 공연 등을 도안으로 구현한 우표에 나타난 상징조작을 분석한다.

5장에서는 김정은 정권이 선대 지도자 상징조합으로 만들어졌음을 지적하며, 김정은의 권력승계 과정과 이에 활용된 선전선동 우표에 대하여 분석한다. 1절에서 비교적 짧은 권력승계 기간을 가진 김정은이 활용한 선대 지도자 상징의 특징을 기술하고, 김정은이 부각하고자 하였던 포용성과 강인성에 관하여 살펴본다. 2절에서는 김정은의 통치방식과 교시, 법령을 직관화 한 우표와 제3절에서 선대 지도자들의 업적을 미술작품으로 구현하고, 찬양음악 및 공연을 도안으로 활용한 선전선동 우표에 대하여 서술한다.

6장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북한의 상징조작을 유형화하여 분석한다. 1절에서는 당, , 군 등 정권 상징과 지도자를 일체화하는 상징조작을, 2절에서는 지도자 및 가족의 역사를 위대하게 보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조작과 이를 기념하며 사실화하는 상징조작에 관하여 고찰한다. 3절에서는 공화국 영웅의 희생과 지도자의 지시에 대한 절대복종 등을 부각하여 지도자를 복종과 희생의 대상으로 만드는 상징조작을, 4절에서는 정권의 안정적인 세습을 위한 정당성을 마련하는 통치정당성 독점으로 이루어진 백두혈통 상징조작을 살펴본다. 7장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북한의 선전선동 우표를 통한 상징조작 분석을 종합적인 견지에서 정리하고 함의를 도출한다.

본서는 고려대학교 통일융합연구원 해란연구총서 시리즈의 제7권으로서, 새로운 시각으로 북한을 바라보는 창()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표로 북한의 상징조작과 조작(造作)의 진의(眞意) 꿰뚫기는 기존 학계에서 거의 시도되지 않았던 새로운 접근방법인 만큼, 수많은 분야별 전문가들의 감수와 도움이 있었다는 점 또한 알리고 싶다. 각 분야 전문가의 직 · 간접적 도움으로 인하여 북한의 정치, 사회, 경제, 사회, 국방 분야의 우표에 담긴 의미를 충실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이는 고려대학교 통일융합연구원 규정3(목적)에서 명시하고 있는 북한 융복합 및 통섭(統攝, Consilience) 연구로 남북한 통일에 기여라는 연구원 목적 달성을 위한 또 한걸음일 수 있다.

더 나은 한반도를 소망하며 본서를 해란연구총서로 발행할 수 있게 큰 도움 주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김해란 선배님께 심심한 사의를 표하고자 한다. 항상 연구에 격려를 아끼지 않는 김영훈 남북보건의료교육재단 이사장님과 김신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님께는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다 전할 길이 없다. 본서가 양질의 연구서로 나올 수 있도록 기획 단계부터 교정 · 교열까지 애정으로 최선을 다해 지원해 준 고려대학교 통일융합연구원 조정연 연구위원을 비롯한 연구진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총서를 발간해 주신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과 이승현 차장님 등 편집진께도 고마움을 전한다.

2025년 을사년(乙巳年),

80주년 광복절 즈음

남성욱 · 정다현

남성욱


미국 미주리주립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에서 응용경제학 박사학위를 받고 2002년부터 고려대학교 통일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2024년부터 서울장학재단 이사장직을 맡고 있으며 2025년 숙명여자대학교 석좌교수로 임명되었다.


주요 이력으로는 고려대학교 통일융합연구원장(2022~2024), 고려대학교 행정전문대학원장(2016~2021),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2014~2019), 통일부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정치군사분과 위원장(2022~2025), 통일부 산하 사단법인 남북경제연구원 원장(2004~현재), 국방부 정책자문위원(2014~현재), 국가교육위원회 전문위원(2023~현재), 서울특별시 평화통일기반조성위원회 위원장(2021~현재), 보다 나은미래를위한 반기문재단 이사(2019~현재), 경기도교육청 남북교육교류협력위원회 위원(2022~2024),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2012~2013, 차관급),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원장(2008~2012, 차관급), 통일부 남북관계발전위원회 위원(2017~2018), 통일부 정책자문위원(2003~2007, 2017~2019), 법무부 법무연수원 통일관계 자문교수(2014~2017), 농림부 정책자문위원(2004~2007), 기상청 남북관계 자문위원(2007~현재),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자문위원(2005~2007), 서울특별시 정책자문위원(2003~2011), 경기도 남북관계 자문위원(2006~2015),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계 자문위원(2005~2018), 대통령 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 자문위원(2012~2014), NSC 정책자문위원(2003~2005), 중소기업중앙회 통일경제위원회 공동위원장(2014~2018), 남북경제연합회 부회장(2002~2007), LH공사 남북관계 자문위원(2003~2007), KBS 북한문제 객원해설위원(2005~2023), CBS 북한문제 객원해설위원(2005~2011), 조선일보 한반도워치 오피니언 필자(2021~현재), 한국일보 오피니언 필자(2022~현재), 문화일보 오피니언 필자(2002~현재), 서울경제 오피니언 필자(2017~현재), 월간중앙 평양리포트 필자(2018~현재), 아모레퍼시픽 장학재단 감사(2004~현재), 북한연구학회 부회장(2007~2012), 북한경제 전문가 100인 포럼 이사(2004~2007), 동북아경제학회 총무이사(2005~2006), 통일농수산포럼 연구이사(2002~2007), 북한농업연구회 이사(2002~2007), 북한경제포럼 연구이사(2002~2005), 북한연구학회 총무이사(2002~2004)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실적으로는 저서로 『김정은의 핵과 정치』(2025), 『한미동맹: 자유 · 민주 · 번영의 가치동맹을 위하여』(공저, 2025), 『통일미래학 개론』(공저, 2024), 『한반도 그린데탕트와 남북한 협력 방안』(공저, 2024), 『북한의 국내외 북한 통계 진단과 품질 개선 방안』(공저, 2024), 『김정은 시대 북한 표준규격화(KPS) 정책과 남북한 통합 방안』(공저, 2024), 『북한 보건의료 연징전략 연구”(2023), “The Implication and Political Communication on Stamps of Kim Jong-un Era: Based on the 10th Anniversary Stamp Collection of Kim Jong-un”(공저, 2023), “공직선거에서의 ‘연장자 우선’ 규정의 현황과 개선방향 연구”(202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Norm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System in the Kim Jong-un Era: Focusing on the Reports of the Rodong Sinmun”(공저, 2022), “북미 · 남북관계 북한우표의 함의와 상징주의 분석”(2021), “북한이탈주민 신변보호담당관 제도 개선방안: 북한여성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중심으로”(공저, 2021) 등이 있다.



정다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북한학을 전공하고 2024년 2월 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회 국방위원장실, 외교통일위원회 간사실 등에서 정책비서관을 역임했으며, 접경지역인 양주시의회의 정책지원팀장과 경기도교육청 기획조정실 정책개발담당 사무관을 거쳐, 태재연구재단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과 통일부 공공부문 통일교육 전문강사, 의정부지방검 찰청 남양주지청 형사조정위원, 세한대학교 정치  ·  통일분야 특임교수 등을 역임하고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찰시민위원, 한국수집가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수상이력으로는 법무부 제4회 통일법제 논문공모전 우수상(2022), 국가정보원 제3회 국가방첩 논문 공모전 금상(2024), 대통령기록관 2024년 대통령기록물 활용 우수논문 공모전 우수논문상(2024), 고려대학교 우수논문상(2022) 등이 있다.

저서는 『통일미래학 개론 (2024, 공저)이 있으며, 연구실적으로 정책과제 북한의 표준·규격화 시스템과 효율적인 남북한 통합 방안 연구 (통일과나눔, 2021)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한 바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북한의 사이버 영향력 공작의 양상과 대응입법 연구”(2025), “A Comparative Study of the Fisheries Laws and Systems of South and North Korea: Challenges and Prospects for Inter-Korean Cooperation”(공저, 2025), “북한법령 관련 우표의 연혁과 상징전략 연구”(2023), “The Implication and Political Communication on Stamps of Kim Jong-un Era: Based on the 10th Anniversary Stamp Collection of Kim Jong-un”(공저, 2023), “공직선거에서의 ‘연장자 우선’ 규정의 현황과 개선방향 연구”(202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Norm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System in the Kim Jong-un Era: Focusing on the Reports of the Rodong Sinmun”(공저, 2022), “북미·남북관계 북한우표의 함의와 상징주의 분석”(2021), “북한이탈주민 신변보호담당관 제도 개선방안: 북한여성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중심으로”(공저, 2021) 등이 있다.




서장. 우표를 매개로 '권력의 의도' 읽기


왜 우표에 집중해야 하나4

1) 우편 기능보다 중요한 우표의 기능4

2) 선전선동 우표의 역할7

3) 선전선동 우표와 상징조작11

 

우표는 어떤 힘을 가지고 있나13

1) 아이티-도미니카 공화국 전쟁의 단초(1900)14

2) 나치에 대한 미국의 위조우표 심리공작(1942~1944)15

3) 남북과 일본 간의 독도우표 발행 분쟁(1954~2005)17

4) 우크라이나 전쟁의 사기진작 선전물(2022~2025)22

 

어떻게 우표에 접근하고 분석했나24

1) 북한우표 접근방법24

2) 북한우표 분석대상과 방법27

 

1북한우표는 무엇인가

 

북한우표의 정의와 역사 32

1) 북한우표의 개념32

2) 북한우표와 우정당국의 역사42

3) 북한우표의 제작 및 보급조직47

 

북한우표의 발행과 활용 49

1) 북한우표와 발행계획과 발행결과49

2) 북한우표의 발행정책53

3) 발행된 북한우표의 활용방식56

 

2북한의 선전선동 우표와 상징조작

 

북한의 선전선동 이론 66

1) 북한의 선동과 선동사업67

2) 북한 선전과 선전사업69

3) 북한 선전과 선동의 비교71

4) 북한 선전선동사업의 종류와 우표활용73

 

전체주의 선전선동(agit-prop)과 우표79

1) 아지프로와 선전선동 우표79

2) 소련형 아지프로론과 우표83

3) 나치형 아지프로론과 우표88

 

정치적 상징조작 이론90

1) 상징주의 이론과 북한 지도자 상징분류91

2) 권력찬양(miranda) 상징조작 이론93

3) 권력신뢰(credenda) 상징조작 이론95

4) 분석틀97

 

 

3우표(1946~1974)에 그려진 ‘위대한 어버이 수령 김일성

 

김일성 유일사상체계 구축과 지도자 상징 우표102

 

김일성의 ‘말과 글’을 직관화한 우표109

1) 김일성 교시의 직관화109

2) 김일성 법령의 직관화122

 

김일성과 가족의 ‘위대성’을 예술작품화한 우표127

1) 김일성 혁명과 가족의 위대성 미술작품화128

2) 김일성 혁명의 조형예술화134

3) 김일성 제작 공연예술의 선전물화139

 

4우표(1975~2010)에 연출된 권력세습과 ‘위대한 장군 김정일

 

김정일의 후계 확립과 지도자 상징 우표146

1) 김정일이 활용한 김일성의 위대성147

2) 김정일이 부각한 정당성과 위대성157

 

김정일의 ‘말과 글’을 직관화한 우표164

1) 김정일 교시의 직관화164

2) 김정일 법령의 직관화179

 

김정일과 김일성의 ‘위대성’을 찬양한 우표182

1) 지도자 찬양의 음악화182

2) 지도자 찬양의 공연화191

 

5우표(2011~2024)에 각종 상징이 조합된 ‘최고령도자 김정은

 

김정은의 권력승계와 지도자 상징 우표201

1) 김정은이 활용한 선대 지도자의 위대성201

2) 김정은이 부각한 지도자의 면모210

 

김정은의 ‘말과 글’을 직관화한 우표220

1) 김정은 통치방식의 직관화220

2) 김정은 교시의 직관화226

3) 김정은 법령의 직관화236

 

김정은 정권과 선대 지도자의 ‘위대성’을 찬양한 우표239

1) 선대 지도자 업적의 미술작품화239

2) 지도자 찬양의 음악화246

3) 정권 찬양의 공연화251

 

6북한의 선전선동 우표를 활용한 상징조작 유형 분석

 

‘정권 상징물과 지도자 일체화’ 상징조작257

1) 당 상징과 지도자 일체화257

2) 정권(국가상징과 지도자 일체화264

3) 무력 상징과 지도자 일체화268

 

‘역사조작 및 기념을 통한 사실화’ 상징조작278

1) 지도자 찬양의 역사조작 및 기념우표279

2) 지도자 업적의 역사조작 및 기념우표284

3) 지도자 가족의 역사조작 및 선전295

 

‘복종 희생의 대상’ 상징조작300

1) 조국통일 과업을 위한 지도자 복종300

2) 공화국 영웅의 지도자를 향한 숭고한 희생302

3) 지도자 신년사에 대한 절대복종307

 

‘통치정당성 독점’ 백두혈통 상징조작309

 

7마치며북한권력 조작(造作)역사의 나이테(tree-ring), 우표

 

참고문헌 324

색인 343

불법복제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