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공공관리론
신간
공공관리론
저자
노종호 외12
역자
-
분야
행정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8.14
장정
양장
페이지
512P
판형
사륙배판
ISBN
979-11-303-2371-8
부가기호
93350
강의자료다운
-
색도
2도
정가
32,000원

초판발행 2025.08.14


대학에서 행정학 과목을 강의하면서 늘 아쉬웠던 점은 공공관리론이 주요 전공과목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다룬 마땅한 교재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회가 되면 이 책을 출간하고 싶었다. 그러던 중 같은 학과에서 공공관리론을 강의하고 있는 김태희, 이단비 교수에게 공공관리론 출간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서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두 분 교수께서 저의 공공관리론 출간의 취지에 공감하였고, 기왕이면 다른 대학이나 연구원에서 공공관리론을 전공하는 학자들과 함께 집필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제안했다. 저도 이러한 제안에 동의하였고, 뜻을 함께하는 여러 학자에게도 자문을 구하고 교재 출간의 참여 의사를 타진하였다. 그 결과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던 여러 대학의 교수 및 국책연구원 박사와 논의하는 과정에서 공공관리론 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교재 출간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였고, 흔쾌히 참여 의사를 전달해 주었다. 그래서 참여 의사를 전달한 총 13명으로 집필진 구성을 완료하였다. 이러한 집필진 구성 과정에서 김태희 교수가 큰 역할을 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집필진은 2024년 8월에 화상회의를 통해 공공관리론 책의 출간을 위한 첫 모임을 시작하였다. 그 후 여러 차례 회의를 통해 참신한 아이디어를 개진하고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면서 어떻게 체계적이고 논리적 완결성을 갖춘 책을 구성할지 고민하였다. 그러한 고민의 과정에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마침내 각 장의 주제와 세부 목차가 결정되었다. 이 책은 총 5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공공관리의 토대라는 제목하에 제1장은 공공관리의 기초, 제2장은 공공관리의 기원과 진화, 제3장은 공공관리에서의 책무성으로 엮어졌다. 제2부는 조직과 자원이란 제목하에 주로 조직 차원의 공공관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2부의 첫 장으로서 제4장은 공공관리에서의 목표와 이해, 제5장은 공공부문의 성과관리, 제6장은 공공관리 관점에서의 예산과 재정, 제7장은 디지털 전환시대의 공공관리: 전자정부에서 인공지능(AI)까지로 구성되었다. 제3부는 사람과 행태라는 제목하에 주로 개인 차원에서의 공공관리를 중심으로 공공관리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았다. 제3부의 첫 장으로서 제8장은 공공관리에서의 동기이론, 제9장은 공공관리와 공직윤리, 제10장은 공공관리와 조직공정성으로 구성되었다. 제4부는 공공관리의 실제에 관한 것으로서 거버넌스와 네트워크를 다루었다. 제11장은 공공관리와 거버넌스, 제12장은 공공관리에서 시민의 역할과 과제: 참여와 협력, 제13장은 공공관리와 정책네트워크로 구성되었다. 마지막 제5부는 공공관리의 미래로서 앞으로 공공관리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5부는 하나의 장으로 구성되었는데, 제14장은 전체 집필진이 자기가 맡은 각 장의 내용을 정리하면서 앞으로 공공관리의 전망과 방향에 관해 설명하는 옴니버스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큰 의욕을 가지고 출발한 공공관리론이 드디어 세상에 빛을 보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바쁜 와중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집필에 흔쾌히 참여해준 공동 저자들에게 이 자리를 빌려서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공저자가 책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중복성과 일관성의 문제를 최대한 최소화하려고 노력하였으나 미진한 부분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앞으로 개정작업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하나씩 보완해 나갈 것을 약속드린다. 또한 이 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독자 여러분도 기탄 없는 의견을 개진해 주기바란다.

끝으로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많은 도움을 준 박영사 마케팅팀 박부하 과장과 편집과정에 수고를 아끼지 않은 편집 2팀 이수연 대리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25년 8월

저자들을 대표하여

노종호

노종호

미국 Florida State University 행정학 박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좋은사회연구소장 역임

한국거버넌스학회 연구부회장, 한국인사행정학회 연구이사 역임

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강민성

미국 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행정학 박사

World Bank (WB) 및 United Nations (UN) 정책컨설턴트 역임

한국 KDI 국제정책대학원 조교수 역임

현)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김상묵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정치학 박사

한국행정학회 총무위원장, 한국정책과학학회 편집위원장 역임

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김태희

미국 School of Public Affairs and Administration, Rutgers University-Newark 행정학 박사

미국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행정학과 조교수 역임

미국 National Center for Public Performance Managing Director 역임

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 겸 국제교류처 부처장


박현희

미국 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행정학 박사

한국정책학회 총무위원장, 정책분석평가학회 연구위원장 역임

현)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심동철

미국 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행정학 박사

미국 San Jose State University 교수 역임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편집위원장 역임

현)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윤태원

미국 Florida State University 행정학 박사

현) 한국행정연구원 정부조직디자인센터 연구위원


이단비

미국 School of Public Affairs and Administration, Rutgers University-Newark 행정학 박사

University of Nebraska at Omaha 조교수 역임

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이슬기

미국 New York University 행정학 박사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사회과학대학 조교수 역임

현)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이승혁

미국 Indiana University 행정학 박사

미국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행정학과 교수 역임

한국행정학회 국제학술지 편집위원회 이사 역임

현)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전소희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행정학 박사

미국 Central Michigan University 조교수, 부교수 역임

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부교수


조병우

미국 University of Nebraska at Omaha 행정학 박사

현) 건국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


최한별

서울대학교 행정학 박사

국립군산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역임

현) 전북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제1부 공공관리의 토대

제 1 장 공공관리의 기초 (김상묵)

제 2 장 공공관리의 기원과 진화 (노종호)

제 3 장 공공관리에서의 책무성 (이슬기)


제2부 조직과 자원

제 4 장 공공관리에서의 목표와 이해 (윤태원)

제 5 장 공공부문의 성과관리 (김태희)

제 6 장 공공관리 관점에서의 예산과 재정 (조병우)

제 7 장 디지털전환 시대의 공공관리: 전자정부에서 인공지능(AI)까지 (최한별)


제 3 부 사람과 행태

제 8 장 공공관리에서의 동기이론 (심동철)

제 9 장 공공관리와 공직윤리 (전소희)

제 10 장 공공관리와 조직공정성 (강민성)


제 4 부 거버넌스와 네트워크

제 11 장 공공관리와 거버넌스 (이승혁)

제 12 장 공공관리에서 시민의 역할과 과제: 참여와 협력 (이단비)

제 13 장 공공관리와 정책네트워크 (박현희)


제 5 부 공공관리의 미래

제 14 장 공공관리의 전망과 방향 (전체 저자)

불법복제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