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7.31
“가장 좋은 교육은 학습자가 스스로 배우도록 돕는 것이다.”
이 교육 명언은 교사의 역할이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데 있음을 보여준다. 마부가 말을 물이 있는 곳으로 이끌어 줄 수 있지만 그 물을 마시고 마시지 않는 것은 그 말의 자유 의지다. 교육자는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꿈을 심어 주고, 꿈을 이루기 위한 효율적인 학습 전략을 잘 안내해 주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따라서 교육심리학은 인간이라는 학습자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공부할 이유를 찾고, 나태의 유혹에서 벗어나 참삶의 진정한 자기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자기 통제력을 길러 주는 안내서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하여 평생을 공부하며 살아가야 할 존재로 태어났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생애 단계별로 발달과업을 이해하고 단계별로 과업 달성을 위해 어떤 노력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스스로 발견하도록 도와준다.
우리나라 속담에 “세 살 버릇 여든 간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라는 교육적 의미를 담은 가르침이 있다. 이 두 가지 속담은 무엇보다 인간 교육에 있어서 생애 단계별 적기 교육의 중요성을 깨우쳐 준다. 부모의 유년기 과잉보호는 자녀를 파멸로 이끌 수 있다. 이 책 제4장 84쪽에서 아들러(Alfred Adler)는 부모의 유년기 ‘과잉 사랑’의 결과가 자녀를 타인과 타협할 줄 모르는 독재자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경고한다. 또한 젊어서 고생을 체험하지 않은 사람은 삶의 위기를 만나서 당황하고, 어른이 되어서도 어려움이나 자신의 책임을 회피할 확률이 높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 책의 집필진 대부분은 교육 현장에서 30년 이상의 풍부한 경험과 관련 교육이론을 부단히 공부한 교육 분야 전문가들이다. 일생을 교육이라는 두 글자를 화두로 삼아 살아온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가장 잘 가르치는 것일까? 고민하면서 하루하루를 살아 온 참 교육자들이다. 이 책은 인간 교육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키는 무엇이고 가르치는 일에 종사할 미래의 교육자나 부모들이 꼭 알아 두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 가르쳐준다. 그래서 미래 교육자나 예비 부모님들에게 감히 이 책의 독서를 권해보고 싶다.
이 책은 교육심리학의 전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총 10장으로 이루어졌다. 각 장은 내용에 따라 가급적 그 분야에 전문성 깊은 전문가들이 집필을 담당하였다. 무엇보다 이 책은 어렵고 복잡한 교육이론보다는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예비 교육자와 부모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이론과 내용을 골라 정제하였다. 또한, 새로운 교육환경과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고자 노력했다. 전통적인 교육심리학의 핵심 이론의 바탕 위에서 현재와 미래의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꼭 필요한 내용으로는 제9장 ‘스트레스의 이해’와 제10장 ‘정신건강의 이해’를 포함했다. 각 장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제1장 교육심리학의 기초(전상준, 정두배, 조창영), 교육심리학(pedagogical psychology)은 교육의 문제를 심리학적 측면에서 연구하여 그 원리를 정립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준다. 제1장은 이 책의 첫 장으로서 교육심리학의 개념, 성격, 발달 과정, 영역, 연구 방법 등을 살펴본다.
제2장 발달의 이해(김회엽, 서동기, 전상준, 정수애, 조남미, 조창영), 인간의 발달은 유아기로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생애주기 동안 지속적이며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단계별로 발달과업과 그 특징들이 존재한다. 이 장에서는 발달의 개념, 관점, 원리, 기저, 그리고 발달단계와 발달과업의 특징들을 살펴본다.
제3장 인지발달(전상준), 인지(cognition)란 지식을 획득하여 사물을 이해하는 과정과 이해한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정신적 활동을 말한다. 이 장에서는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제4장 성격발달(조창영), 인간의 성격발달(personality development)은 ‘상황적 요인’과 ‘삶을 변화시키려는 자기 경험 요인’에 따라 후천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이
장에서는 프로이트의 5단계 심리성적, 에릭슨의 8단계 심리사회적, 아들러의 6가지 요인 중심, 융의 4단계 자아실현 중심의 성격발달 이론들을 살펴본다.
제5장 도덕성 발달(정수애, 정두배), 도덕성의 발달은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화 규범에 따라 행동하도록 배우고 받아들이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장에서는 피아제(J. Piaget)와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을 중심으로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자기통제능력의 습득 과정을 살펴본다.
제6장 인지적 특성(조혜영, 서경란), 인지적 특성(Cognitive characteristics)은 학습자가 정보를 습득하고, 처리하며, 활용하는 방식과 관련된 심리적 속성을 의미한다. 이 장에서는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지능(Intelligence), 창의성(Creativity), 인지양식(Cognitive style), 자아개념(Self-concept) 등을 살펴본다.
제7장 정의적 특성(조남미, 김회엽), 인간의 정의적 특성(Affective characteristics)은 성취동기, 흥미, 적응, 불안 등의 정서적 요인들로 그 영역이 넓고 다양하다. 이 장에서는 학습자의 흥미, 성취동기, 성취욕구, 욕구결핍, 적응, 불안 등 인간의 정서적 기제와 학습 사이의 관계들을 살펴본다.
제8장 학습이론(서동기), 학습이론(Learning theory)은 인간이 어떻게 배우고, 정보를 습득하며, 행동을 변화시키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 장에서는 효과적인 교수 · 학습의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주요 학습이론으로 행동주의, 인지주의, 정보처리 이론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9장 스트레스의 이해(김회엽, 서동기, 전상준, 정두배, 정수애, 조남미, 조혜영), 인간의 스트레스(Stress)는 단순히 감정적 긴장이나 불편함에 그치지 않고, 신체, 정서, 인지, 행동 등 다양한 차원에서 복합적인 반응을 유발한다. 이 장에서는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스트레스 반응을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등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제10장 정신건강의 이해(서동기, 정두배, 정수애, 조남미, 조창영, 조혜영),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health)은 단순히 질병이나 장애가 없는 상태뿐만 아니라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사회적으로 양호(well-being)한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인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신체적, 심리 정서적, 가족 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 책의 저자들은 ‘더나눔학술 · 문화재단’의 회원들이다. 이 책은 우리 재단의 열아홉 번째 도전으로 힘들게 집필한 책이다. 다수의 저자들에 의해서 이 책이 저작된 관계로 다소 통일성이 부족할 수 있다. 독자 여러분들의 넓은 이해와 따뜻한 포용을 바란다. 아울러 이 책이 독자 여러분들의 관심과 조언으로 더욱 다듬어지기를 소망한다. 저를 포함한 이 책의 저자들은 언제든지 독자 여러분의 훌륭한 충고와 조언을 받아들일 충분한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다. 이 글을 쓰는 이 순간에도 우리 재단이 다음으로 내놓을 스무 번째 책을 집필하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을 접하는 모든 분의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이 필요하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한 단어, 한 문장을 놓고 고심한 집필진들과 뒷바라지 해준 가족과 학회 회원님들에게 진심으로 고마움을 전한다. 또한 우리 재단의 책들을 구독해 주시고 조언을 아끼지 않은 선후배, 친지와 독자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무엇보다도 부족함이 많은 우리 재단 집필진들의 원고를 잘 교정해 주시고 깊은 배려로 출판을 허락해 주신 박영스토리 노현 대표님과 관계자 여러분들에게 더나눔학술 · 문화 재단 회원들의 진정 어린 감사와 따뜻한 사랑을 이 글에 담아 보낸다.
2025년 6월 20일
아름다운 정원을 품은 더나눔학술 · 문화재단 순천 사무실에서
저자 대표 조 창 영
조창영(趙昌榮)
조선대학교 대학원 영어교육학 문학박사
현) 더나눔학술 · 문화재단 이사장
전) 순천동산중학교, 광양백운고등학교 교장
저서) 교육학개론(공저, 박영사, 2025) 외 7권
정수애(丁秀愛)
순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평생교육)전공 박사과정 수료
현) 여수시청 공무원, 여수 한영대학교 외래 교수, 더나눔학술 · 문화재단 홍보팀장
저서) 교육학개론(공저, 박영사, 2025) 외 11권
조남미(趙南美)
순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교육철학)전공 박사과정 수료
현) (사)행복가교 이사장, 더나눔학술 · 문화재단 부이사장
저서) 교육학개론(공저, 박영사, 2025) 외 8권
조혜영(曺惠永)
국립순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상담심리)전공 박사과정 수료
현) 부산교육대학교 수석상담관, 더나눔학술 · 문화재단 학술팀장
저서) 교육학 개론(공저, 박영사, 2025) 외 17권
서동기(徐東基)
국립경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교육방법)전공 교육학 박사
현) 순천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외래 교수, 더나눔학술 · 문화재단 기획팀장
저서) 교육학 개론(공저, 박영사, 2025) 외 17권
김회엽(金會葉)
순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상담심리)전공 박사과정 수료
현) 전라남도고흥교육지원청, 더나눔학술 · 문화재단 부이사장
저서) 교육학 개론(공저, 박영사, 2025) 외 17권
전상준(田尙準)
국립순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교육과정)전공 박사과정 수료
현) 청암대학교 외래교수, 더나눔학술 · 문화재단 사무국장
저서) 교육학 개론(공저, 박영사, 2025) 외 17권
정두배(鄭斗培)
세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광신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현) 세한대학교 스포츠융합합부 디지털경영학과 학과장, 더나눔학술 · 문화재단 부이사장
저서) 교육학개론(공저, 정민사, 2021) 외 7권
서경란(徐京蘭)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 박사과정 수료
현) 여수교육지원청 Wee센터 전문상담사
저서) 상담의 이론과 실제(공저, 박영사, 2025)
CHAPTER 01 교육심리학의 기초
1 교육심리학의 개념 .................................................................. 13
2 교육심리학의 성격 .................................................................. 14
3 교육심리학의 발달 과정 .......................................................... 16
4 교육심리학의 영역 .................................................................. 18
5 교육심리학의 연구 방법 .......................................................... 19
◈ 연습문제 ........................................................................... 27
CHAPTER 02 발달의 이해
1 발달의 개념 ........................................................................... 33
2 발달의 관점 ........................................................................... 34
3 발달의 원리 ........................................................................... 39
4 발달의 기제 ........................................................................... 40
5 발달단계와 발달과업 ............................................................... 41
◈ 연습문제 ........................................................................... 45
CHAPTER 03 인지발달
1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 51
2 비고츠키의 사회 · 문화적 인지발달 이론 .................................... 57
3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의 비교 ............................................. 61
4 인지발달 이론의 교육에의 적용 ................................................ 62
◈ 연습문제 ........................................................................... 63
CHAPTER 04 성격발달
1 프로이트의 성격발달 이론 ....................................................... 71
2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 이론 .................................................... 75
3 프로이트와 에릭슨의 성격발달이론 비교 ................................... 79
4 아들러의 요인중심 성격발달 이론 ............................................. 87
5 융의 자아실현중심 성격발달 이론 ............................................. 92
◈ 연습문제 ........................................................................... 95
CHAPTER 05 도덕성 발달
1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 103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 107
◈ 연습문제 ......................................................................... 114
CHAPTER 06 인지적 특성
1 지능 .................................................................................... 119
2 창의성 ................................................................................. 125
3 인지양식 ............................................................................. 128
4 자아개념 ............................................................................. 131
◈ 연습문제 ......................................................................... 137
CHAPTER 07 정의적 특성
1 동기 .................................................................................... 143
2 흥미 .................................................................................... 147
3 욕구......................................................................................151
4 적응......................................................................................153
5 불안 .....................................................................................158
◈ 연습문제 ......................................................................... 165
학습이론 08 CHAPTER
1 행동주의 학습이론..................................................................171
2 인지주의 학습이론..................................................................178
3 정보처리이론.........................................................................182
◈ 연습문제 ......................................................................... 186
CHAPTER 09 스트레스의 이해
1 스트레스의 개념.....................................................................191
2 스트레스의 원인.....................................................................193
3 스트레스의 반응.....................................................................195
4 스트레스의 대처 방안..............................................................198
◈ 연습문제 ......................................................................... 203
CHAPTER 10 정신건강의 이해
1 정신장애의 개념.................................................................... 209
2 교육심리학의 성격................................................................. 209
3 정신건강의 개념.................................................................... 215
4 정신건강의 요인.................................................................... 216
5 정신건강 증진 방안................................................................ 219
◈ 연습문제 ......................................................................... 223
■ 참고문헌 ................................................................................. 225
■ 색인 .......................................................................................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