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수퍼비전의 필수요소: 주요사건 수퍼비전 모델
신간
수퍼비전의 필수요소: 주요사건 수퍼비전 모델
저자
Nicholas Ladany,Myrna L. Friedlander,Mary Lee Nels
역자
신성만․김향미․추교현․이영희
분야
상담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06.10
장정
무선
페이지
188P
판형
신A5판
ISBN
979-11-6519-357-7
부가기호
93180
강의자료다운
-
색도
1도
정가
17,000원

초판발 2025.06.10


추천사


훈련 중인 수퍼바이저나 수퍼비전 과정을 진행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꼭 읽어볼 것을 권합니다. 이 책의 저자들은 전문 수퍼바이저이자 교육자이며, 연구자입니다. 이들은 수퍼비전에 있어서 경험적인 근거를 가진 아이디어들을 제공합니다. 이 책은 읽기 쉽고, 권위 있으며, 관심이 커지고 있는 이 분야의 중요한 선택이 될 것입니다. 

-Clara E. Hill, PhD, 메릴랜드 대학교 심리학부 


저자들은 심리치료 수퍼비전을 수행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현명한 로드맵을 제공하기 위해 수퍼비전 분야에서 중요한 공헌을 한 수퍼비전 문헌들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매우 매력적인 이 책은 ‘주요 사건’이 수퍼비전의 중심 ‘내용’으로 등장합니다. Ladany, Friedlander 및 Nelson은 수퍼비전에서 이러한 주요한 사건을 포착하고 성공적으로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습니다. 

그들은 이 책을 통해 모델 개발과 임상 사례 제시를 균형 있게 제공하였고, 이는 초보 혹은 경험 많은 수퍼바이저 모두에게 환영받을 것입니다. 

-Janine M. Bernard, PhD, 시러큐스 대학교 상담 및 상담 교육 명예 교수, 상담 교육 및 수퍼비전 협회의 레거시상 수상자, 

임상 수퍼비전 모델 시리즈의 공동 저자 

Ladany, Friedlander 및 Nelson은 임상 장면에서 수퍼바이저가 실제로 직면하게 되는 과제에 공감할 수 있는 리소스를 제공했습니다. 수퍼비전의 네 가지 주요한 사건은 이 책의 기초이며 수퍼비전 과정의 복잡성을 크게 상기시킵니다. 수퍼비전에서의 역할 갈등, 기술 결여, 병렬 과정 및 문화적 감수성에 대한 저자들의 개념화와 해결은 수년간의 경험적 작업과 실천적 지혜에 기반합니다. 실무자들은 딜레마에 빠졌을 때 이 책을 참조하여 해결을 위한 신중하고 명확한 접근 방식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Elizabeth L. Holloway, PhD ABPP, 앤티오크 대학원 박사


이 책은 실증적 연구와 저자의 광범위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퍼비전을 위한 매우 유용하며 접근 가능한 모델을 제시합니다. 그리고 사례 예시와 대본을 사용하여 어려운 상황을 설명함으로써 실제 수퍼비전 진행에 대한 명확하고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저는 이 책을 수퍼바이저와 초심 수퍼바이저 모두에게 강력히 추천합니다. 

-Tony Rousmaniere, PsyD, 워싱턴 대학교, 임상 교수


역자 서문


이 책의 저자인 니콜라스 라다니, 미나 L. 프리드랜더, 마리 리 넬슨은 유능한 수퍼바이저들로 수퍼바이저들을 위한 수퍼바이저이다. 이들은 수퍼비전에서 특정 딜레마적 상황을 유능하고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수퍼비전 모델을 개발하였다. 수퍼비전 상황에서 일어나는 역할 갈등, 기술 부족 및 역량 문제 해결, 병렬과정, 다문화 인식의 제고와 같은 이슈를 이 책의 모델(핵심 원칙과 기술, 구조와 과정)을 통해 해결하는 과정을 사례를 들어 이해하기 쉽도록 제시하였다. 책 초반에 저자의 개인적인 여정에서 언급하듯이 이들 모두는 더 나은 수퍼비전에 대한 갈망이 있었고, 효과적인 수퍼비전에 대한 지속적인 호기심과 탐구심을 가지고 전념하였다. 이 책은 이러한 저자들의 헌신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책의 역자들 또한 다양한 장면에서 수퍼비전을 제공하면서 좀 더 나은 수퍼비전에 대한 갈망이 있었다. 하지만 국내에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수퍼비전 기술을 익힐 수 있는 수퍼바이저를 위한 자료, 도서, 연구 등이 아직은 미비하다. 책에서 언급하듯이 나쁜 수퍼바이저는 좋은 수퍼비전을 하기가 어렵다. 수퍼바이저의 퇴보는 곧 낮은 질의 수퍼비전 제공과 수퍼바이지, 나아가서는 내담자의 복지까지 위협하게 된다. 유능한 수퍼바이저가 되는 길은 끊임없이 자신의 역할에서의 유능성을 확보하고 성장하는 것이다. 어느 정도의 전문성을 가진 것에 만족하지 않고 더 배우고 자라는 수퍼바이저로서의 갈망이 현재의 책을 함께 번역하게 된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 

다양한 수퍼비전 모델 중 이 책에서 언급되는 모델의 탁월한 부분은 과업 분석 접근 방식인데, 수퍼비전에서 일어나는 ‘주요 사건’이라는 이름으로 일어나는 딜레마적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전략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차를 타고 목표한 곳을 가려고 할 때 내비게이션은 훌륭한 길잡이가 된다. 특히나 길을 잃었을 때 내비게이션만큼 귀한 도구가 어디 있겠는가. 수퍼바이저도 때론 길을 잃을 때가 있으며, 목표를 눈앞에 두고도 방황할 때도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수퍼바이저들에게 훌륭한 내비게이션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심리치료 및 상담 영역의 수퍼비전이라는 고도로 전문적인 영역의 저서를 번역하는 것은 쉽지 않은 도전이지만, 역자들의 전문성을 적절히 녹여내어 독자들이 원서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하도록 번역하려고 노력하였다. 이 책의 역자들인 김향미, 추교현, 이영희는 박사과정의 제자들이면서, 동시에 유능한 상담가들이기도 하다. 함께 수고의 즐거움과 기쁨을 나눌 수 있어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귀한 책을 출판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은 박영스토리의 노현 대표님과 전채린 차장님 그리고 김다혜 대리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25년 봄

포항 연구실에서 

역자 대표 신성만

신성만 (현) 한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주요 경력

현)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대학원장

현) 한국중독상담학회 학회장

전) 하버드 의대 케임브리지병원 정신과 연구원

주요 저서 및 논문

역서: 불안장애를 위한 동기강화상담, 정신재활, 실존치료, 중독상담, 용서치료


김향미 (현) 김천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주요 경력 

현) 한국상담학회 1급 수퍼바이저

현)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외래교수

현) 한국중독상담학회 사례연구위원장

현) 한국상담학회 대구경북상담학회 총무이사 

주요 저서 및 논문

저서: 최신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실존치료


추교현 (현) 김천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주요 경력

현) 한국중독상담학회 자격관리위원장

현) 한국상담학회 대구경북상담학회 교육연수위원장 

현)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외래교수

현) (주)마인드메이트 대표

전) 선린대학교 겸임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저서: 최신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실존치료


이영희 (현) 토닥토닥심리상담센터 센터장

주요 경력

현) 한국상담학회 1급 수퍼바이저

현) 한동대학교 외래교수

현) 대구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외래교수

현) 대구광역시 중구청 통합사례관리 심리상담 분야 자문위원

주요 저서 및 논문

저서: 최신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실존치료


임상 수퍼비전 모델 시리즈 소개   vii

서론   1


01 주요 사건 모델 개요   11

02 수퍼비전 관계에서의 모호함과 갈등: 역할의 중요성   41

03 기술적 곤란과 기술적 결여 및 역량 문제 다루기   69

04 병렬과정을 통한 과업 및 다문화 인식 제고: 하나의 가치에 대한 두 가지 주요한 사건 107

05 연습 및 교육에서 주요 사건 모델 사용하기 141


유용한 자료들 158

참고문헌 164

찾아보기 165

저자에 관하여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