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6.30
서문
진로란 단순히 직업의 선택을 넘어 개인의 삶과 사회적 역할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청년기는 진로 개발과 선택의 과정에서 핵심적인 시기로, 학생들이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발견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시간입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청년들은 혼란과 불안을 느끼며, 진로와 관련된 선택의 무게에 짓눌리곤 합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책은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나-우리-미래』는 청년들이 자기 탐색과 진로 설계 과정을 통해 보다 주체적이고 의미 있는 삶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이 책은 개인의 내적 성찰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탐구하는 데서 출발합니다. 또한, 사회적 관계와 환경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이해하고, 미래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과정을 제안합니다.
본 책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됩니다. 첫째, 자신을 깊이 이해하고 탐색하는 과정에서 자기 인식과 성장을 촉진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둘째,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자신과 타인의 관계를 이해하며 협력과 경쟁의 균형을 배우는 과정을 안내합니다. 셋째, 자신의 가치와 비전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진로를 설계 및 개발하는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이 책은 독자들이 단순히 직업 세계에서의 성공을 넘어, 자신의 삶에 대한 주체적인 통제와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현재와 미래를 아우르는 균형 잡힌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끝으로, 교육자와 상담가, 부모님들도 이 책을 통해 청년기의 대학생, 내담자, 또는 자녀 진로 지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그들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대표 저자 양지웅
양지웅(yang@kmu.ac.kr)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교육학과 이수
University of Mississippi 박사
한국진로교육학회 이사
이현진(hyun4057@kmu.ac.kr)
계명대학교 학생상담센터 교수
인제대학교 박사
한국상담학회 제13대 자격관리위원장
안성식(sungsik.ahn@kmu.ac.kr)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고려대학교 박사
한국커리어개발협회 이사
Ⅰ“나”
1. 나는 누구인가? 16
1) 생물학적 수준에서의 나 ........................................ 16
2) 사회문화적 수준에서의 나 ..................................... 18
3) 자기개념 ............................................................ 20
4) 세 가지 자기 인식 ................................................ 27
5) 나의 가치관 ........................................................ 28
6) 나의 태도 ........................................................... 32
2. 나의 성격 37
1) 성격 5요인 ......................................................... 38
2) 기질과 성격 ........................................................ 44
3. 성격 강점 49
1) 성격 강점 ........................................................... 50
4. 성격과 정서 56
1) 정서의 특성 ........................................................ 57
2) 부정 정서 ........................................................... 60
3) 정서와 관련된 성격 특성 ....................................... 67
4) 사회적 상호작용과 정서 ........................................ 69
5. 성격과 인지 72
1) 방해가 되는 사고 방식 .......................................... 75
2) 부적응적 인지 패턴과 적응적 인지 양식의 변화 ......... 79
3) 자기개념 ............................................................ 82
4) 인지도식 ............................................................ 84
6. 성격과 동기 87
1) 동기의 의미 ........................................................ 87
2) 동기의 성질 ........................................................ 88
3) 동기의 개인차 ..................................................... 89
7. 성격과 행동 94
1)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95
8. 성격과 관계 101
1) 관계의 이해 ...................................................... 102
2) 성격과 인간관계 ................................................ 106
9. 성격과 직업 109
1) 긴즈버그(Ginzbeg)의 직업선택 단계 ...................... 110
2) 수퍼(Super)의 진로자기개념 이론 ......................... 112
3) 직업만족 .......................................................... 112
4) 직무수행 .......................................................... 113
5) 성격과 직업 ...................................................... 114
6) 직업적 성취 유형 ............................................... 116
7) 직업적 성취의 조건 ............................................ 117
10. 성격과 스트레스 대처 119
1) 스트레스의 이해 ................................................ 121
2) 스트레스 발생의 심리적 과정 ............................... 123
3) 스트레스의 대처 ................................................ 124
Ⅱ“우리”
1. 대인동기 132
1) 동기의 위계적 발달 ............................................ 132
2) 대인동기의 종류 ................................................ 133
3) 부적응적인 대인동기와 인간관계 .......................... 135
2. 대인신념 137
1) 자기에 대한 신념 ............................................... 137
2) 타인에 대한 신념 ............................................... 139
3. 대인지각 142
1) 인상형성 .......................................................... 143
2) 대인지각에서 발생하는 오류 ................................ 145
3) 대인지각의 한계와 인간관계 ................................ 146
4. 대인사고, 대인감정, 대인행동 148
1) 대인사고의 정의 ................................................ 148
2) 대인사고의 두 가지 주요 과정 .............................. 148
3) 역기능적 대인사고의 극복 ................................... 149
4) 대인사고가 대인감정과 대인행동에 미치는 영향 ...... 150
5. 좋은 인간관계 152
1) 좋은 인간관계의 의미 ......................................... 152
2) 나의 인간관계 ................................................... 154
3) 좋은 인간관계가 필요한 이유 ............................... 155
4) 좋은 인간관계 형성의 어려움 ............................... 156
5) 좋은 인간관계의 요건 ......................................... 160
6)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필요한 방법 ........................ 164
6.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 167
1) 의사소통의 개념 ................................................ 167
2)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 168
3) 의사소통 방해물 ................................................ 169
4)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자세 ............................ 171
7. 상대방을 수용하는 의사소통 기술 174
1) 의사소통 과정에서 상대방 수용의 중요성 ............... 174
2) 상대방을 수용하는 의사소통 기술 ......................... 175
8. 자기를 표현하는 의사소통 기술 183
1) 의사소통 과정에서 자기 표현의 중요성 .................. 183
2) 자기를 표현하는 의사소통 기술 ............................ 184
9. 인간관계에서 갈등에 대처하기 189
1) 갈등이란? ........................................................ 189
2) 갈등의 불가피성 ................................................ 194
3) 갈등을 넘어 성장으로 ......................................... 195
4) 무패적 방법 ...................................................... 200
10. 합리적인 생각으로 전환하기 202
1) 인지적 재구성 ................................................... 202
2) 당위성 ............................................................. 202
3) 비합리적 신념 ................................................... 203
4) ABCDEF 모델 .................................................... 204
Ⅲ “미래”
1. 진로개발의 개념 211
1) 진로개발이란?................................................... 211
2) 진로개발, 꼭 해야 할까? ...................................... 213
2. 진로개발 이론 219
1) 나와 직업을 매칭하는 이론(특성-요인 이론) ........... 220
2) 전생애 진로개발(진로발달이론) ............................ 224
3) 나-삶에 대한 의미부여(21세기 진로개발이론) ......... 227
3. 나의 흥미는? 239
1) 흥미의 정의와 중요성 ......................................... 239
2) 홀랜드의 여섯 가지 흥미 유형 .............................. 242
3) 대표적인 흥미검사: 직업선호도검사 ...................... 248
4. 나의 직업가치는? 255
1) 직업가치란 무엇인가? ........................................ 255
2) 직업가치 우선순위의 중요성 ................................ 257
3) 직업가치의 구분(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 .......... 260
5. ‘나’ 종합하기 266
6. 나의 미래를 그려보자 270
1) 가능한 자기(Possible Selves) ................................ 270
2) 꿈 목록 만들기(버킷리스트 만들기) ....................... 271
3) 나의 이상적인 하루 상상하기 ............................... 276
4) 나의 비전 만들기 ............................................... 280
7. 나의 비전을 현실로 만들기 286
1) 목표와 계획 수립하기 ......................................... 286
2) 실행과 적응하기 ................................................ 287
참고문헌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