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미래소비사회와 상품
신간
미래소비사회와 상품
저자
김시월
역자
-
분야
경영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4.25
장정
무선
페이지
312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2296-4
부가기호
93320
강의자료다운
-
색도
1도
정가
19,000원

초판발행 2025.04.25


머리말


우리 모두의 공통점은 소비시장의 일원으로서 반드시 소비를 해야만 하는 소비자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는 과거를 살았고, 현재를 살며, 미래를 살아야 하는, 과거의 구성원이자 현재의 소비자이며 미래의 중요한 일원입니다.

소비자는 프로슈머, 크리슈머, 리뷰슈머, 리서슈머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의 마음속에 자연스럽게 융화되어 ‘생산과 소비를 함께하는 이익을 추구하는 소비자’로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생산자가 타당성을 평가하는 신상품 개발의 프로세스도 중요한 바, 이는 바로 소비자 힘이 강화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4차산업혁명을 통한 기술변화로 새로운 제품의 시장진입 기간이 짧아지고, 소비자의 역량에 따라 순응하고 적응하는 기간이 매우 달라질 것입니다. 소비자에 따라 순기능적인 장점이 각각 다릅니다. 그중에서도 소외감, 부적응, 무력감,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이 원만하지 못해 발생하는 양극화적인 소비문화 변화에 대응하는 기능적, 편익적, 편의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심리적으로 반영된 소비자중심적인 상품과 서비스 개발이 매우 필요합니다. 아울러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구성하고, 계획하고, 그리고 직접적인 제안과 효과를 검증해 보는 전 과정의 경험은 매우 중요합니다.

본서에서는 이토록 중요한 프로슈머로서의 소비자와 시장 환경의 변화를 이해하고, 소비자의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와 물적 제품을 개발해 보고, 소비자서비스 제공 방안에 대해 학습합니다. 시장에서 생산자는 소비자에게 수동적으로 제공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 경제의 보다 높은 가치를 공유하고, 사회적으로 환원하고,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공유가치창출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시장경제에서 소비자의 기여는 매우 중요한 가치가 되고 있습니다.

이에 이 책에서는 시장에서 소비자의 역할 증가를 이해하고,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생산자가 타당성을 평가하는 신상품 개발의 프로세스를 익힙니다. 그리고 4차산업혁명의 일반화를 대비한 소비문화의 변화에 대응하는 상품과 서비스 개발을 구체적으로 실행해 보며, 프로슈머로서의 소비자와 시장환경의 변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제안하고, 생산에 반영하는 기법들을 익히고자 합니다.

시장이 디지털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그 변화 주기는 극히 짧아지고 있으며, 신상품의 생산주기 또한 짧아지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이제 4차산업혁명이 일반화되면,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의 역량, 연령, 그리고 세대별 차이가 가져올 지극히 소외적인 양극화를 고려하여야 하며, 보다 소비자 중심적인 상품의 개발, 그리고 맞춤 서비스 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아울러 소비자 소외를 감소하고 어떤 소비자가 언제 어디에 거주하든 동질의 상품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시장의 균등화 및 질적인 향상이 더욱더 필요합니다. 그야말로 우리 사회의 소비자는 소비시장에서 대접받는 소비자시민으로 향상되어야 합니다.

본 도서를 통해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시장에서의 소비자 역할 증가를 이해하고,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생산자가 타당성을 평가하는 신상품 개발의 프로세스를 익히는 것입니다. 그리고 4차산업혁명의 일반화를 대비하고 소비문화의 변화에 대응하는 상품과 서비스 개발을 구체적으로 실행해 보며, 프로슈머로서의 소비자와 시장의 변화를 이해하고,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서의 구성은 5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부는 소비사회 변화와 소비자 중심의 상품으로, 4개의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장 미래 소비사회의 변화와 소비자 중심의 신상품과 서비스 개발, 제2장 고도의 소비사회와 상품, 그리고 서비스 관계, 제3장 소비자중심적 생산의 변화, 프로슈머, 제4장 소비자와 상품, 그리고 서비스의 생산 등을 다루어 보았습니다.

제2부는 소비심리와 소비시장으로, 제5장 소비자심리, 상품의 수명주기, 제6장 소비시장, 소비자정책의 변화, 그리고 제7장 소비문화와 소비자 심리로 구성하였습니다.

제3부는 소비자의 삶의 질과 신기술로, 제8장 소비자의 삶의 질, 제9장 신기술 시대와 소비자로 구성하였습니다.

제4부는 소비자와 소비가치로, 제10장 지속가능소비와 소비자, 제11장 소비자와 라이프스타일, 소비가치의 예로 구성하였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제5부는 미래소비사회의 변화와 상품으로, 제12장 미래소비사회의 변화, 제13장 초연결기술과 소비자로 구성하였습니다. 

본 도서는 각 장별 학습동기부여를 위하여 동화의 일부분을 첨가하여 동화로 배우는 소비를 도입 부분에 활용하였고, 각 장별 생각해 볼 거리와 퀴즈를 첨가하였으며, 다양한 현황과 사례를 함께 찾아보는 잠깐의 전환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습니다.

본 도서의 출판을 지원해 준 건국대학교, 아울러 출판물로 나오게끔 기여해 주신 박영사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오랜 기간 동안 함께하면서 본 도서의 결실을 맺게 도움을 준 조향숙 박사님께도 감사 드리며, 끝으로 본문의 동화 그림을 멋지게 그려준 강정민 작가님께도 감사드립니다.


2025년 3월 1일

김시월


김시월(건국대학교 교수) 


소비자 중심으로 세상을 읽는 데 주력하고 있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학회로부터 최우수 논문상 2회, 학술 공로상, 그 외 학교와 KMOOC으로부터 최우수 강의상, 강의우수교수상 등 을 받았다. 

한국소비자학회 회장,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회장, 한국금 융소비자학회 부회장, 소비문화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또 공정거래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한 국소비자원, 금융감독원, 신용회복위원회, 소비자단체 등에서 관련 전문위원을 지낸 바 있다. 소비자교육 공헌으로 ‘근정포 장(대통령)’, 기획재정부장관 표창, 방송통신위원회와 공정거 래위원회의 공로패 등을 받기도 했다. 

저서로는 『기술변화와 소비시장의 융합』 (공저), 『빅데이터와 소비자만족』, 『소비자교육의 기초』, 『소비자가 세상을 움직인다』 외 25권이 있다.


PART 01

소비사회 변화와 소비자 중심의 상품


CHAPTER 01 내 동생 / 서울 쥐와 시골 쥐

미래 소비사회의 변화와 소비자 중심의 신상품과 서비스 개발

1. 소비자, 소비, 그리고 시장 _8

2. 미래 소비사회의 변화와 소비자 중심의 신상품과 서비스 개발 _11

✓ 생각해 볼 거리 _22

✓ 퀴즈 _23


CHAPTER 02 황금 알을 낳는 거위

고도의 소비사회와 상품, 그리고 서비스 관계

1. 소비자와 소비사회 _29

2. 고도소비사회의 특성 _35

3. 상품의 개념 _39

4. 소비자와 상품, 그리고 서비스 _42

✓ 생각해 볼 거리 _44

✓ 퀴즈 _45


CHAPTER 03 허영심 많은 까마귀

소비자중심적 생산의 변화, 프로슈머

1. 프로슈머의 등장과 어원 _51

2. 프로슈머의 개념 _55

3. 프로슈머의 다양한 유형의 예 _61

4. 기업의 프로슈머 효과 _64

5. 프로슈머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_65

✓ 생각해 볼 거리 _66

✓ 퀴즈 _67


CHAPTER 04 당나귀와 바보 부자

소비자와 상품, 그리고 서비스의 생산

1.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 결정 _74

2. 기업의 프로슈머 마케팅 _77

3. 소비자와 기업의 역할 및 관계 변화 _83

✓ 생각해 볼 거리 _91

✓ 퀴즈 _92


PART 02

소비자심리와 소비시장


CHAPTER 05 신데렐라

소비자심리와 상품의 수명주기

1. 소비자의 욕구 관련 이론과 접근 _102

2. 상품수명주기 _109

3. 상품수명주기 단축의 원인 _111

4. 상품수명주기 단축의 문제점 _113

5. 신제품과 계획적 진부화 _114

✓ 생각해 볼 거리 _115

✓ 퀴즈 _116


CHAPTER 06 헨젤과 그레텔

소비시장, 소비자정책의 변화

1. 소비시장의 변화와 소비자교육 _122

2. 소비시장과 소비자정책의 변화 _126

✓ 생각해 볼 거리 _135

✓ 퀴즈 _136


CHAPTER 07 피리 부는 사나이

소비문화와 소비자심리

1. 소비의 변화 _142

2. 소비문화의 의미 _145

3. 소비문화의 역할 _146

4. 소비문화의 형성 및 변화 _147

5. 소비자와 소비심리 _148

6. 소비환경의 영향요인 _150

✓ 생각해 볼 거리 _153

✓ 퀴즈 _154


PART 03

소비자의 삶의 질과 신기술


CHAPTER 08 햇살 한 줌

소비자의 삶의 질

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소비변화 _161

2. 삶의 질에 대한 재인식 _164

✓ 생각해 볼 거리 _174

✓ 퀴즈 _175


CHAPTER 09 혹부리 할아버지

신기술 시대와 소비자

1. 4차산업혁명과 소비자 _182

2. 신기술과 소비자 _188

3. 4차산업혁명 관련 실증 연구 _190

✓ 생각해 볼 거리 _201

✓ 퀴즈 _202


Part 04

소비자와 소비가치


CHAPTER 10 소금장수, 우산장수

지속가능소비와 소비자

1. 지속가능소비와 소비자 _210

2. 지속가능소비 관련 현황 조사 _212

3. 지속가능소비의 장애요소 _213

4. 지속가능소비의 실천을 위한 장애의 해결 _216

✓ 생각해 볼 거리 _222

✓ 퀴즈 _223


CHAPTER 11 아기돼지 삼 형제

소비자와 라이프스타일, 소비가치의 예

1. 소비자의 소비성향과 라이프스타일 _230

2. 소비자 조사 및 분석을 위한 다양한 방법 _239

✓ 생각해 볼 거리 _241

✓ 퀴즈 _242


PART 05

미래소비사회의 변화와 상품


CHAPTER 12 브레멘 음악대

미래소비사회의 변화

1. 트렌드와 소비자 _250

2. 소비트렌드와 소비자 _254

✓ 생각해 볼 거리 _261

✓ 퀴즈 _262


CHAPTER 13 참나무와 갈대

초연결기술과 소비자

1. 초연결기술의 변화 _268

2. 초연결기술의 과제 _274

✓ 생각해 볼 거리 _275

✓ 퀴즈 _276


CHAPTER 14 늑대와 일곱 마리 양

신상품의 개발

1. 신기술과 소비시장의 융합 _283

✓ 생각해 볼 거리 _291

✓ 퀴즈 _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