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초등학생 학부모·교사 고민 상담
신간
초등학생 학부모·교사 고민 상담
저자
김미자
역자
-
분야
학술 단행본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06.10
장정
무선
페이지
320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7279-123-0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색도
4도
정가
20,000원

초판발행 2025.06.10


머리말


“아이의 고민은 곧 어른의 고민입니다.”


초등학교 시절은 인생의 뿌리를 내리는 시기입니다.

아이들은 학교라는 새로운 사회 속에서 친구를 사귀고, 선생님과 관계를 맺고, 수많은 감정과 상황을 경험하며 자신만의 세상을 만들어갑니다. 어떤 날은 웃으며 집으로 돌아오고, 또 어떤 날은 말없이 눈물을 머금고 잠드는 날도 있습니다.

이 모든 순간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보는 존재가 바로 부모와 선생님입니다.


부모는 아이의 삶을 처음으로 안내하는 사람이고, 선생님은 아이의 삶을 세상 속으로 확장시켜주는 사람입니다. 부모와 선생님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아이를 바라보지만, 결국 같은 마음으로 아이를 생각합니다.


“어떻게 하면 이 아이가 더 행복해질까?”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까?”

“이러한 행동 뒤에는 어떤 마음이 숨어 있을까?”


하지만 정답은 없습니다.

아이의 성격, 환경, 발달단계, 감정 상태에 따라 같은 문제도 다르게 다가오고, 부모와 교사의 역할 또한 그때그때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즉, 학교에서 보는 아이와 집에서 보는 아이는 같으면서도 다릅니다. 때로는 학교에선 잘 지내는 아이가 집에서는 불안정해 보이기도 하고, 집에서는 밝은 아이가 학교에서는 말수가 줄어들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한쪽의 시선만으로는 아이를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이 책은 그런 질문들과 마주한 교사와 학부모 모두를 위한 ‘공감의 안내서’입니다.

아이의 문제 행동이나 감정 변화에 당황할 때, 그 안에 담긴 신호를 어떻게 읽을 수 있을지. 아이의 말 속에 담긴 마음을 어떻게 더 잘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을지.


또한 이 책에서는 감정조절이 어려운 아이, 또래 관계에서 힘들어하는 아이, 공부에 흥미를 잃은 아이, 늘 억울해하는 아이, 충동적인 아이,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아이들에 대한 실제적인 고민과 대응 방안을 담았습니다.

각 장마다 부모와 교사의 입장에서 나누어 구체적인 태도와 역할을 함께 제시하여, 각자 자신의 자리에서 실천할 수 있는 지침이 되도록 했습니다.


이 책은 정답을 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함께 방향을 찾아갑니다.

아이를 바라보는 시선을 넓히고, 감정을 이해하는 힘을 키우고, 어른으로서의 말과 행동이 아이의 하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깨닫는 여정이 될 것입니다.

교실에서, 거실에서, 아이와 마주하는 수많은 순간들이 조금 더 따뜻하고, 부드럽고, 단단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엮었습니다.


이미 아이에게 좋은 어른인 부모님과 선생님,

이 책이 당신의 고민을 덜고, 마음을 다독이는 작은 위로가 되길 바랍니다.


2025. 6. 저자 김미자

김미자


학력·학위

•서울교대 국어교육과

•서강대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영상 전공


주요 경력

•2019-2022 서울시교육청 인문소양독서지원단, 기초학력지원단, 학습부진상담, 심리 지원단, 꿈실지원단, 미래교육지원단, 수업코칭 지원단 등

•중앙연수원 원격연수 강의(2015 개정교육과정편, 과정중심평가편, 미래교육편)(2021)

•서울시교육연수원 원격연수 강의(협력학습, 스토리텔링, 미디어교육 편), 제1장 연수-국어교육 강의, 신규교사, 복직교사, 영양교사-교수학습 강의, 수석교사 대상-문학수업 강의

•2016-2017 검정고시 문제출제(초등국어)


저서

•「초등학교 입학, 1학년 생활의 모든 것」(2023. 1. 박영스토리)

•「원격수업시대」(2021. 1. 박영스토리)

•「인지기능향상 가이드북」(2021. 3. 서울시교육청)

•「한 손에 잡히는 기초학력」(2021. 서울시교육청)

•「기초학력 원픽 지원 자료집」(2021. 강서교육지원청)

•「기초학력 오롯이」(2020. 9. 서울시교육청)

•「On 교육과정 재구성」(2020. 5.)

•<안전교육교재 개발>(2018. 교육부)

•<공감교육교재 개발>(2015개정교육과정, 3-4학년, 교육부, 서울시교육청)

•<실력 쑥쑥 마음 활짝>(2006. 서부교육청)

•<과정중심평가 통지양식>(2017. 서울시교육청)

•<서초 언어영재반 워크북>(2012. 강남교육청)

•<국어과 부진아지도 아이디어북>(2007. 강서교육청 외)

•<공부틀 다지기>(2013. 서울시교육청)


칼럼

•<경향> 잡지 교육 칼럼(2015.1-2017.12 집필), 웅진 <엄마는 생각쟁이> 칼럼, <더 칼럼니스트> 칼럼, 교육플러스 신문 칼럼 등

Chapter 01

부모의 역할과 부모·자녀 유형


01 부모 역할 3

1. 부모 역할의 필요성 3

2. 부모 역할의 목적 4

3. 좋은 부모 역할 5

4. 발달 단계에 따른 부모의 역할 7


02 부모 유형과 자녀 유형 11

1. 부모 유형 11

2. 자녀 유형 14


Chapter 02

이런 고민이 있어요


01 학습·인지영역 23

1. 초등학생 인지·성장 발달 단계 23

2. 지능이 낮고 이해가 느린 아이 25

3. 말이 느리거나 더듬는 아이 29

4. 무얼 해도 오래 걸리는 아이 33

5. 학교 가기 싫어하는 아이 37

6. 학습이 부진한 아이 42

7. 수포자(수학 포기한)인 아이 46

8. 한글을 익히고 입학해야 하나요? 51

9. 발표할 때 쭈뼛거리는 아이 56

10. 책을 읽지 않는 아이 61


02 감정·정서영역 65

1. 초등학생 정서·감정 발달 단계 65

2. 왕따 피해자인 아이 70

3. 자존감이 낮은 아이 75

4. 거짓말하는 아이 81

5. 항상 억울해하는 아이 85

6. 참을성 없는 아이 89

7. 욕하고 소리 지르는 아이 93

8. 다툼이 잦은 아이 96

9. 사춘기 아이 100

10. 이성에 관심이 많은 아이 106

11. 반항하는 아이 111

12.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아이 116

13. 우울증이 심한 아이 120

14. 늘 불안해하는 아이 125

15. 눈치가 없는 아이 129

16. 애착물을 떼놓지 못하는 아이 133

17. 아무것도 하지 않는 아이 137

18. 거절을 못하는 아이 141

19. ‘툭’ 하면 우는 아이 145

20. 고자질하는 아이 149


03 사회·관계영역 157

1. 초등학생 사회성 발달 단계 157

2. 소셜(social) 페인(pain) 163

3. 협동하지 못하는 아이 168

4. 혼자 있기를 좋아하는 아이 172

5. 친구가 없는 아이 176

6. 자기 주장이 강한 아이 181

7. 지나치게 관심을 끌려는 아이 185

8. 경쟁심이 지나친 아이 189

9. 책임감이 없는 아이 194


04 예절·건강영역 199

1. 무례한(버릇이 없는) 아이 199

2. 남을 괴롭히는 아이 205

3. 남의 물건에 손대는 아이 209

4. 학폭: 아이들 싸움이 어른 싸움으로 213

5. 약속 시간을 안 지키는 아이(시간 개념이 부족한 아이) 218

6. 정리정돈 안 하는 아이 223

7. 혼자 못 자는 아이 227

8. 초등학생 신체적 발달 단계 231

9. 운동을 못 하는 아이 236

10. 뚱뚱한 아이 240

11. 시력이 나쁜 아이 244

12. 학교 급식을 먹기 싫어하는 아이(편식) 248

13. 외모 꾸미기에 집착하는 아이 252

14. 성기를 만지거나 모서리에 비비는 아이 257


05 기타 영역 263

1. ADHD 아이 263

2.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 270

3. 꿈이 없는 아이 275

4.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80

5. 게임에 빠진 아이 283

6. 스마트폰을 손에서 떼지 않는 아이 290

7. 돈에 대한 경제관념이 부족한 아이 295

8.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차이 301

9. 공립학교와 사립학교의 차이 305

10. 늘봄(돌봄)학교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