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미래를 여는 교육학(제2판)
개정판
미래를 여는 교육학(제2판)
저자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진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4.03.15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584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6519-989-0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정가
29,000원
제2판발행 2024.03.15
초판발행 2019.02.28


머리말

우리나라만큼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사가 높아 교육관련 소식이 한결같이 각종 포털 상단에 포진하고 모두가 학업성취에 대한 의욕을 보이는 나라는 드물 겁니다. 아마도 대한민국 국민의 대부분은 교육입국敎育立國의 신화를 신뢰하며 그동안의 국가발전을 견인해 온 원동력으로 교육을 거론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겁니다. 국가 차원에서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은 미래의 국가적 안위와 직결되어 엄중한 글로벌 환경 속에서 경제적, 기술적 발전을 통한 비교우위를 확보하는 가장 기초적인 생존 전략으로 이해됐습니다. 개인 차원에서 교육은 사회적 지위와 영향력을 획득하는 과정으로 인식되고, 이에 따라 자녀교육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문화적 가치 또한 널리 공유되어 왔습니다. 실제로 많은 학부모가 교육전문가를 자처할 만큼 교육과 관련해 해박한 지식과 확고한 교육관을 피력하고, 교사들의 전문성과 자존심 또한 그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습니다. 정치가들은 국정운영 역량을 교육문제 타개와 연관지어 평가받기도 하고, 경제인들은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상을 부단히 학교에 요구합니다. 

――
이처럼 다양한 층위에서 교육에 대한 기대가 큰 만큼, 이러한 열망에 부응하기 위한 관심과 노력의 이면에 파생된 문제점들 또한 다양한 양상으로 불거져 나왔습니다. 특히 기술적, 문화적, 환경적 변화의 양상이 갈수록 가속화하고 예측하기 어렵게 전개되어 가고 있는데, 이에 대한 교육현장의 대응은 여전히 미덥지 못합니다. 무엇보다 교육을 둘러싼 관심과 걱정에도 불구하고 정작 교육을 학문의 장으로 끌어와 시대적 맥락에서 다각도로 조망하려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빈약합니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교육적 지향이 성과와 서열화에 치우쳐 있고, 교육을, 시대를 선도하는 주체가 아닌, 주로 발전 담론을 떠받드는 도구로 간주하려는 집단적 사고방식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육 관련 사회적 논의가 왜곡되거나 소모적이지 않기 위해서는 교육을 학문의 테두리 안에서 분석하고 이해하는 교육학적 근간이 튼튼하게 뿌리내릴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교육학적 시도가 다양한 교육문제에 대한 우려를 단번에 불식시킬 수는 없지만, 많은 이들을 학문적 논의에 동참하게 할 수 있다면 집단지성을 통해 다양한 혜안을 얻으리라는 희망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은 보다 많은 사람이 교육학에 입문하고 학문적인 관심을 키울 수 있도록 구상을 거친 후 2019년 2월에 처음 발간되었습니다. 초판에서 필진으로 참여했던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진은 우리 시대에 교육학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고민을 공통의 출발점으로 삼아, 개별 교수의 전문 분야 소개를 통해 교육학의 다원적이며 종합학문적 성격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했습니다. 무엇보다도 교육학에 관심을 갖고 입문하려는 독자에게 친절한 안내와 함께 전문영역별 탐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내용과 구성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본 개정판에서 각 장별로 필요한 업데이트나 첨삭이 이루어졌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변화는 정년퇴임으로 필진을 떠나신 강상진, 김혜숙 교수님의 글이 빠지고, 새로 합류하신 김남주, 류지훈, 이무성 교수님의 글이 추가된 부분입니다. 주지하다시피 초판 발행 이후 코로나-19를 겪고, 동시에 정보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해 교육 방법과 실행에 새로운 도전과 기회가 발생한 가운데 21세기 교육 담론 또한 확대되고 다채로워졌습니다. 그 가운데 변하지 않는 사실은 교육이 곧 미래이고 어떤 미래를 만들어 갈지는 교육 주체들에게 달려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우리에게 당면한 교육적 과제에 대응하여 교육의 장에서 생산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번 개정판이 길잡이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2024. 3. 2.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진 일동
저자약력

김남주
연세대학교 교육학과/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공학을 전공하였다. 미국 
유타주립대학교에서 교육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마이애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수, 
응용학습과학 대학원 디렉터로 재직하였다. 2023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교육공학
/AI의 교육적 활용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Frontiers in Education과 Frontiers in Psychology 
저널의 부편집장, 미래교육학연구의 편집장을 맡고 있다. 
이메일: namjukim@yonsei.ac.kr

김성원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교육학(국제교육정책 및 Human 
Development)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교수로 있
다, 2016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비교교육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sungwkim@yonsei.ac.kr

류지훈
경북대학교에서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Maine에서 수학 석사와 미국 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양적연구방법(Quantitative Methods in Education)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2010년부터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에서 박사후 연구원, 2012년
부터 University of Virginia에서 조교수, 2018년부터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부교수로 근무한 뒤, 2020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부교수, 2023년부터 교수로 교육통
계 · 측정 · 평가의 양적연구방법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 미국교육학회
(AERA) 산하 재미교육자협회(KAERA) 회장을 역임하였다. 
이메일: ryoox001@yonsei.ac.kr

박순용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Stanford University에서 국제개발교육 석사와 인류학 석사
를 마친 후 University of Wisconsin-Madiosn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5년
부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인류학, 질적 연구방법, 국제이해교육 분야를 담당하고 있
다. 한국교육인류학회 학회장,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학회장,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편집위원장을 역임했고 현재 UNESCO에서 주도하는 세계시민교육 
확산을 위한 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이메일: paks@yonsei.ac.kr

서영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상담심리학전공으로 석
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8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상담교육
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기업상담학회 회장, 한국상담심리학회 부회장, 한국상담학회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편집장 등을 역임하였다. 
이메일: seox0004@yonsei.ac.kr

오석영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어바나-삼페인)에서 인적자원교육전공
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2017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성인학습, 
조직학습, 중소기업 일터학습 관련 연구 및 교육을 하고 있다. 현재 한국산업교육학회장을 맡고 
있으며, 미래를여는청소년학회 부회장,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편
집위원 등으로 활동중이다.
이메일: syoh@yonsei.ac.kr

이규민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University of Iowa에서 교육측정통계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Iowa Testing Programs 연구원, CTB/McGraw-Hill 
책임연구원, 계명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일한 뒤, 2006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
측정평가, 통계와 연구방법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교육과학대학장, 한국교육평가학회장, 한국
교육과정평가원장을 역임하였다. 
이메일: guemin@yonsei.ac.kr

이명근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모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교육공학 · 기업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4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교육공학 및 기업교육공학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기업교육학
회 회장, 외교통상부 교육훈련정책, 공군 교육정책 자문위원을 역임하였다. 
이메일: mglwin@yonsei.ac.kr 

이무성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6년 반 동안 교사로 재직했다. 서울대학교와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석사과정을 마치고, Fulbright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교육행정 및 정
책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홍콩교육대학교(조교수), 홍콩대학교(부교수), 호주 
캔버라대학교(백주년기념 종신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교육행정/정책이며, 미국교육학회 교육행정부문(Division A) 신진학자상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선임부편집장 및 Multicultural Education 
Review 편집장을 맡고 있다.
이메일: leemoosung@yonsei.ac.kr

이병식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교육경제학과 경영학을 공부한 뒤 미국 정부 장
학금(Fulbright)을 지원받아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고등교육(조직행동 및 경영)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삼성전자 인재연구소 리더십개발센터, 한국교육개발원, UCLA 고
등교육연구소에서 일한 뒤, 2008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고등교육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대학IR협의회 회장, 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 부회장,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장, 대학원 부원장, 교육연구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고등교육학회장을 맡고 있다. 
이메일: beyoung@yonsei.ac.kr
이희승
연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CLA에서 심리학(인지심리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
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카네기멜론 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한 뒤, 2014년부터 연세
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교육심리학, 학습과학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hslee00@yonsei.ac.kr

장원섭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1996년에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박사학
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일하였다. 2001년부터 연세
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인적자원개발(HRD)과 일의 교육학 분야를 담당하고 있
다. 한국산업교육학회 회장과 한국성인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CJ나눔재단 이사를 
맡고 있다.
이메일: wchang@yonsei.ac.kr

홍원표
서울대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교육과정 및 교사교육 전공
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원을 거쳐 2011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육
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관심은 교육과정의 이론적 토대, 지구화 · 다문화 시대 
학교 교육과정의 역할 등이다. 
이메일: eduhong@yonsei.ac.kr

황금중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거쳐 교육사 · 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
다. 2003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교육철학, 교육사, 마음교육 분야를 담
당하고 있다. 한국교육사학회의 학회장을 역임했고 한국교육철학학회의 이사로도 활동해 오고 
있다. 
이메일: hkj@yonsei.ac.k
PART01
교육과 교육학의 토대
CHAPTER01  교육철학과 교육사학: 교육현상을 보는 철학과 역사의 눈
황금중
1. 교육철학: 교육현상을 보는 철학의 눈_4
 교육철학의 개념과 교육학적 위상_4
 ‘철학의 눈’과 교육철학_5
2. 교육사학: 교육현상을 보는 역사의 눈_12
 교육사학의 개념_12
 ‘역사의 눈’과 교육사학_13
3.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관계, 그리고 교육사상사_18
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관계_18
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접점으로서의 교육사상사_19
4. 역사 속의 교육철학의 조류들_22
 진보주의(Progressivism)_26
 본질주의(Essentialism)_29
 항존주의(Perennialism)_32
 비판이론(Critical theory)_36
 실존주의(Existentialism)_39
 자연주의(Naturalism)_43

――
 마음주의(Mindfulism)_47
CHAPTER02  교육인류학: 문화적 과정으로서의 교육현상에 대한 탐구
박순용
1. 교육인류학의 특징과 기원: 인류학과 교육의 만남, 그 이상_56
 19세기_60
 20세기 초·중반_61
 20세기 후반(1980년대~1990년대)_62
 21세기 현재_63
2. 인류학의 문제의식과 교육현장 새로 보기_65
3. 문화기술지 연구의 접근방식과 활용: 왜 애쓰노그래피 (ethnography)인가?_69
4. 결론: 교육인류학의 과제와 미래_72

CHAPTER03  교육심리학: 교육에 내재하는 인간 행동과 사고에 대한 과학적 탐구
이희승
1. 교육심리학 이해하기_82
 교육심리학이란? 교육심리학은 교육학의 분과학문인가, 심리학의 응용분야인가?_82
 교육심리학의 역할: 교사에게 교육심리학이란?_85
 교육심리학자의 역할: 여러분도 아마추어 교육심리학자! 교육심리학자가 당신과 다른 이유 _90
2. 교육심리학의 연구 방법_94
 기술연구(Descriptive studies)_94
 상관연구(Correlational studies)_96
 실험연구(Experimental studies)_98
3. 교육심리학 연구 살펴보기 _102
 기대 및 신념과 학습_103
 시험과 학습_105
 개인차와 학습: 학습양식 원리_112
4. 결론_115
CHAPTER04  교육과정: 교육과정 연구의 기원과 전개, 과제
홍원표
1. 복합적 개념으로서의 교육과정_124
 교육과정의 복합적 의미_124
 교육과정의 다양한 영역_126
 교육과정의 다층적 수준_128
2. 교육과정 연구의 두 가지 접근_131
 교육과정 개발_132
 이해 패러다임의 등장과 한계_136
3. 우리 교육과정의 변화와 과제_141
 국가 교육과정의 변천_141
 최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_144
 우리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과제_149
4. 결론_153

CHAPTER05  교육평가: 정보수집과 교육적 의사결정 과정
이규민
1. 교육평가의 개념_161
2. 교육평가의 주요 동향 1: 기준설정 방법의 적용_164
 규준참조방식과 준거참조방식_164
 준거참조방식과 기준설정 방법의 적용_166
 북마크 기준설정 방법_169
3. 교육평가의 주요 동향 2: 컴퓨터화 검사의 실용화_171
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_171
 컴퓨터화 검사의 상용화_176
4. 교육평가의 주요 동향 3: 수행평가의 활성화_180
 수행평가의 대두_180
 수행평가의 유형과 특성_182
5. 결론_185
PART02
교육과 교육학의 실천적 확장
CHAPTER06  교육행정: 교육과 학습 지원을 위한 이론과 실천
이무성
1. 교육행정의 개념과 연구_192
 정의_192
 정치·행정 이원론 vs. 정치·행정 일원론_193
 교육행정과 교육정책_195
 교육행정의 주요 연구 영역_198
 교육정책 연구와의 관계_199
2. 교육행정의 핵심 영역으로서 학교조직_202
 개방적 사회체제로서 학교_202
 학교조직의 변화과정에 대한 네 가지 관점_203
 학교효과성 연구_209
 학교효과성 연구 비판_211
 학교개선 연구_213
 학교효과성과 학교개선의 상보성_215
 학교혁신_217
3. 학교조직에서의 리더십_222
 고전적 리더십 이론_222
 학교(장) 리더십_224
 수업 리더십_225
 분산적 리더십_227
 교사 리더십_228
 학교장 리더십에 대한 시간 연구_229
4. 맺음말_231



CHAPTER07  교육공학: 교수학습에의 체제접근
이명근
1. 교육공학의 태동_242
2. 현대 교육공학의 발전_246
3. 교육공학과 교수설계_253
 교수학습조건 설계이론_257
 교수학습조건 설계이론의 적용_270
4. 4차 산업혁명 시대에의 도전과 전망_272

CHAPTER08  에듀테크, 교육의 ‘미래’를 향해
김남주
1. 에듀테크의 개념과 정의_283
2. 에듀테크의 발전 현황_286
 교수주의 기반 에듀테크_289
 구성주의 기반 에듀테크_291
3. 에듀테크의 과제_310
4. 마치며_315

CHAPTER09  상담교육: 치유와 성장을 지향하는 상담전문가 양성
서영석
1. 상담은 사회적 현상이다!_326
2. 상담은 소통이다!_328
3. 상담사는 조력자, 내담자는 주력자이다._329
4. 상담사의 지향_332
 공감: 내담자의 심리정서적 고통을 경청과 이해로 함께 버텨 주기_332
 진솔성: 가면이 아닌 솔직함으로, 과장하지 않은 채 전문가의 길을 묵묵히 걸어가기_335
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조건 없이 있는 그대로 사람을 수용하기_337
5. 상담사의 전문적 역량_338
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지식_341
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기술_342
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태도_344
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옹호_345
 수행으로서의 상담 역량_348
6. 결론: 상담, 생존과 도약을 위한 과제_349
 학문적 정체성 확립과 지식기반 확충_349
 우리 몸에 맞는 상담 윤리 마련_352
 역량 있는 상담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자격제도 정비_353

CHAPTER10  고등교육: 챗GPT를 활용한 고등교육의 이해
이병식
1. 고등교육의 기초_360
 고등교육의 의미와 경계_361
 고등교육의 목적_363
 고등교육의 변화_364
 고등교육의 가치와 역할_367
2. 현대 대학의 이해_369
 복잡한 조직_369
 전쟁터 같은 교육과정 curriculum_371
 멀티플레이어 교수의 특권_374
 모호한 테크놀로지_375
3. 고등교육학 – 새로운 교육학들의 교육학_378
 대학총장을 위한 학문?_379
 왜 새로운 지식이 필요한가_380
 어떤 새로운 지식이 필요한가_381
 대학원에서 고등교육 전문가는 어떻게 길러지는가_382
 고등교육 지식은 어떻게 활용되는가_384
 고등교육 전문가는 어떻게 지식을 나누는가_388
4. 결론_389
부록 A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독특함_390
 보편화: 모든 사람을 위한 고등교육을 지향하며_391
 민영화: 높은 사립대학 의존도와 교육비 사부담_392
 정부주도(통제)형_393
부록 B  어떤 책을 더 읽어볼까?_394

CHAPTER11  인적자원개발: 일터에서의 학습과 실천
오석영
1. 인적자원개발이란 무엇인가?_404
 인적자원개발의 정의_404
 인적자원개발과 관련영역과의 관계_410
2. 인적자원개발의 실천영역_413
 개인개발_413
 조직개발_421
 경력개발_428
3. 결론_434

CHAPTER12  일의 교육학: 평생학습시대의 일과 배움
장원섭
1. 평생학습의 시대_442
 경제사회적 변화_442
 학교교육의 위기_446
 평생교육의 전개_448
2. 일의 교육학_456
 일하는 존재로서 인간_456
 교육과 일의 관계_460
 일의 교육_463
3. ‘오래된 미래’를 향한 일과 배움_471
 효율이 아닌 의미의 시대_471
 일과 배움의 전범으로서 장인_473
 장인성 형성의 평생학습_474

CHAPTER13  비교교육학: 교육의 국제화, 새로운 패러다임
김성원
1. 비교교육,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_485
 비교교육학의 목적과 필요성_485
 비교분석의 본질과 의미_486
 교육학의 ‘로컬’한 접근방법: 무엇을 왜 비교하는가?_487
 국제와 비교의 상호 보완적 관계_489
2. 비교교육학의 자리매김_491
 비교교육학의 역사적 발전과 변화_491
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_493
 비교교육학의 대표적 정의와 기본 영역_495
3. 비교교육학의 최신 이론과 연구 동향_498
 국제교육개발_499
 교육환경과 문화 비교연구_501
 교육정책의 비교연구_504
4. 비교교육학 연구의 쟁점_507
 국가 중심적 분석법의 한계_508
 비교연구자의 역량과 자질_510
 비교적 접근방법_511
5. 결론_514
PART03
교육연구의 방법론적 이해
CHAPTER14  교육통계·데이터사이언스(Educational Data Science): 양적 연구 방법론의 적용
류지훈
1. 들어서기_524
2. 교육통계_526
 1단계: 연구문제의 설정 및 모집단의 정의_527
 2단계: 연구방법의 설계_528
 3단계: 연구실행_535
 4단계: 연구결과의 해석 적용_537
3. 데이터사이언스_537
 데이터사이언스의 이해와 적용_537
 EDS를 활용하여 개발한 개인별 맞춤형 교육플랫폼_542
4. EDS의 발전과 전망_547

CHAPTER15  교육의 질적연구방법: 연구철학과 유용성
박순용
1. 질적 연구의 역사: 포스트정초주의와 질적 연구의 확산_552
2. 질적 연구의 정의와 특징_557
 질적 연구의 정의_557
 질적 연구의 특징: 양적 연구와의 비교_559
 질적 연구의 한계와 이에 대한 보완 노력_563
3. 질적 연구에서의 글쓰기_566
4. 질적 탐구를 위한 접근방법(문화기술지 연구, 내러티브 연구, 현상학적 연구, 근거이론 연구, 사례연구)_568
 문화기술지 연구(ethnographic research)_570
 내러티브 연구(narrative research)_571
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_571
 근거이론 연구(grounded theory research)_572
 사례연구(case study research)_573

색 인_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