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플랫폼 경제학
신간
플랫폼 경제학
저자
Robin Mansell, W. Edward Steinmueller
역자
김병근, 옥주영, 강민정, 김규환, 김종석
분야
경제학 ▷ 경제학일반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2.01.15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244P
판형
신A5판
ISBN
979-11-303-1408-2
부가기호
93320
강의자료다운
정가
16,000원

초판발행 2022.01.15


이 책은 디지털 플랫폼이 출현한 배경을 소개하고 플랫폼 기업들이 현재 및 가까운 장래에 국내외 경제는 물론 정치, 사회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개념과 관점들을 잘 정리한 교과서로서 추상적인 경제이론을 배우지 않은 독자들도 이해하고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네이버, 카카오, 쿠팡, 구글, 아마존, 애플, 페이스북, 알리바바, 텐센트… 이 책의 독자라면 국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디지털 플랫폼에 관한 질문을 받으면 위에 열거한 기업들 가운데 적어도 한두 개 정도는 즉시 머리에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 플랫폼, 또는 줄여서 플랫폼을 설명하라고 요구받으면 쉽게 답하기 어려울 것이다. 플랫폼이라는 용어는 강의 연단, 기차역의 플랫폼, 소프트웨어 플랫폼, 자동차 플랫폼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데, 이러한 기존의 플랫폼 개념을 연상하는 것은 디지털 플랫폼의 이해를 방해한다. 따라서 디지털 플랫폼을 기존의 플랫폼과 관련이 없는 개념으로 생각하는 것이 편리하다.
저자들은 디지털 플랫폼을 (1)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2) 플랫폼 유지 및 개선 비용을 지불하는 비즈니스 모델, (3)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의 수집, 보존 및 사용, (4) 보조 서비스의 제공 등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정의한다. 이 정의는 경제 또는 경영 관련 문헌에서 다루는 플랫폼 전략(중개 모델)을 완전히 포괄하지 못한다. 저자들이 다소 좁은 정의를 선택한 것은 디지털 플랫폼을 경제뿐 아니라 정치, 사회에 두루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현상으로 다룰 의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저자들의 의도는 디지털 플랫폼을 보는 관점으로 차별적인 세 가지 경제 분석의 전통 ? 신고전파 경제학, 제도학파 경제학, 비판적 정치경제학을 함께 고려하려 하는 것이다. 주류 경제학의 전통을 잇는 신고전파 경제학은 정교하고 추상적인 도구들을 사용하여 순수한 경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초점을 둔다. 반면에 비주류에 속하는 두 접근은 사회?문화적 맥락(제도학파 경제학)과 정치적 갈등의 관점(비판적 정치경제학)에서 경제 현상을 이해하려 한다. 저자들은 세 가지의 접근을 병행하여 디지털 플랫폼의 정치, 경제, 사회에 걸친 현실적?잠재적 영향력을 분석하고 적절한 제도와 규칙의 방향을 검토한다.
기존에 국내에 출판된 디지털 플랫폼에 관련된 책들이 주로 글로벌 기업의 플랫폼 전략을 소개하거나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면 이 책은 디지털 플랫폼의 대두가 가져올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디지털 플랫폼은 어떻게 사회적 불평등과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초래하고 민주주의를 위험에 빠지게 할 수 있는가? 이 문제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사회적 합의와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가? 이 책은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독자들을 위한 최고의 입문서이다.

저자 약력

로빈 만셀(Robin Mansell)
로빈 만셀(Robin Mansell)은 런던정경대학(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그녀는 커뮤니케이션,  정보 및 인터넷 정책에 관한 연구 회의인 TPRC(Research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Information and Internet Policy)의 이사이며, 국제 미디어 및 통신 연구 협회인 IAMCR(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의 전 회장이다. 그녀의 연구는 기술 혁신, 디지털 플랫폼 거버넌스 및 이들의 사회 정치적 및 경제적 결과에 중점을 둔다. 그녀는 1984년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학교(Simon Fraser University)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1988-2000년에는 서식스대학교 SPRU대학원(the Science Policy Research Unit)에서 정보 통신 기술 정책의 부교수와 교수를 역임하였다.

에드워드 스타인뮬러(Edward Steinmueller)
에드워드 스타인뮬러(Edward Steinmueller)는 스탠포드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스탠포드 경제정책연구소 부소장을 역임하였다. 1994년 유럽으로 이주한 이후 마스트리히트대학교(Maastricht University)의 교수를 재직하였으며 현재는 서식스대학교 SPRU 대학원 혁신경제학 R.M. 필립스 체어(R.M. Phillips Chair)를 맡고 있다. 그는 주로 소프트웨어, 집적 회로 및 통신 산업을 연구하였다. 현재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 및 경제의 근본적인 전환에서 디지털 기술의 역할과 사회적 요구 및 큰 도전을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정책의 재편 등이다.


역자 약력

김병근
김병근 교수는 영국 서식스(Sussex)대학교 과학기술정책대학원(SPRU)에서 과학기술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서식스(Sussex)대학교 Research Fellow를  거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기술경영경제학회장(2012년)과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의 편집위원장(2013년-2019년)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기술혁신경영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옥주영
옥주영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주식회사 데이콤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에서 근무하였다.

강민정
강민정 교수는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하였으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술혁신경영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였고, 현재 고려대학교 BK21경영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김규환
김규환 교수는 서울시립대학교에서 도시행정학 박사를 취득하였고,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인적자원개발위원회를 거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술혁신경영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

김종석
김종석 교수는 영국 맨체스터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술혁신경영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였고, 현재는 지식집약비즈니스서비스기업인 KJS & Group의 학술연구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01 도입 · 3

1.1 디지털 플랫폼의 새로운 점은 무엇인가? 4
1.1.1 디지털화⦁5
1.1.2 이동성⦁7
1.1.3 데이터화와 인공지능⦁8
1.2 디지털 플랫폼의 정의 10
1.3 플랫폼의 결과들 12
1.3.1 기술 및 사회적 변화⦁13
1.3.2 사회 질서에 대한 도전들⦁15
1.4 책의 구성 18


02 디지털 플랫폼 기원과 참신성 · 23

2.1 도입 23
2.2 급진적인 혁신으로서의 디지털 플랫폼 24
2.2.1 공고한 연결성⦁25
2.2.2 공통의 웹 기준⦁25
2.3 공개와 상업성의 가상화 26
2.3.1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 과정⦁27
2.3.2 전자상거래와 온라인 판매⦁29
2.3.3 온라인 검색과 색인⦁29
2.4 디지털 플랫폼의 작업 정의 31
2.5 디지털 플랫폼 요소 검토 34
2.5.1 사용자가 바라는 콘텐츠⦁34
2.5.2 플랫폼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35
2.5.3 저장, 유지와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의 이용⦁40
2.5.4 보조서비스의 제공⦁42
2.6 디지털 플랫폼, 규범과 가치 43
2.7 결론 46


03 플랫폼의 경제분석 · 51

3.1 도입 51
3.2 신고전파 경제분석 52
3.2.1 다측 시장의 경제학⦁55
3.2.2 규모의 경제 결과들⦁58
3.2.3 자연 독점 주장과 반대 주장⦁59
3.2.4 미디어 산업⦁63
3.2.5 전자상거래⦁64
3.2.6 신고전파 경제분석의 한계⦁65
3.3 제도학파 경제분석 67
3.4 비판적 정치경제학 분석 71
3.5 결론 74


04 기술과 데이터화 실행 · 79

4.1 도입 79
4.2 왜 인공지능은 플랫폼과 관련되는가? 80
4.2.1 인공지능 예측은 믿을 만한가?⦁85
4.2.2 인공지능 “무기 경쟁”이 존재하는가?⦁87
4.3 플랫폼 기반 인공지능은 인간을 밀어낼 것인가? 89
4.4 변화 협상하기 92
4.5 콘텐츠의 형성, 취득, 활용 95
4.6 결과들 98
4.7 결론 102


05 자율 규제 및 대안 비즈니스 모델들 · 107

5.1 도입 107
5.2 플랫폼 자율 규제 전략 108
5.2.1 글로벌 시장 확대⦁108
5.2.2 표준의 전략적 사용⦁111
5.2.3 서비스 약관과 실행 강령⦁113
5.2.4 전략적 콘텐츠 조정⦁116
5.2.5 외부 규제에 대한 대응⦁118
5.3 윤리적 원칙 및 관행 119
5.4 대안적 플랫폼의 지형 122
5.4.1 데이터 통제에 관한 공적·사적 경계의 변화⦁124
5.4.2 플랫폼 제공에서 공적·사적 경계의 변화⦁126
5.5 결론 134


06 정책, 규제, 대안 플랫폼 공급 · 139

6.1 도입  139
6.2 규제 개입의 합리성 140
6.3 플랫폼 운영과 시장 규제 144
6.3.1 정부가 위임한 책임⦁144
6.3.2 데이터 및 개인 정보보호⦁147
6.3.3 실행 강령⦁149
6.3.4 기술 및 훈련 정책⦁151
6.4 구조적 개입과 대안 플랫폼 공급 153
6.4.1 경쟁정책과 반독점⦁153
6.4.2 대안적 플랫폼 공급⦁155
6.5 결론 158


07 글로벌 관점 · 163

7.1 도입 163
7.2 도태  164
7.3 디지털화와 데이터화 실행의 차이  167
7.3.1 완화 조치들⦁167
7.3.2 도약 전략⦁172
7.4 중국의 디지털 비전  175
7.5 결론    180


08 결론 · 185

8.1 도입 185
8.2 디지털 플랫폼 문제 재검토 186
8.3 앞으로의 길 192
8.4 결론 197

완화 조치를 포함하여 플랫폼 개발에 대한 수많은 유용한 관찰에 대해 후안 마테오스 가르시아에게 감사드립니다.
중국 플랫폼 및 전략에 관한 토론에 대한 도움과 의견을 준 멍빙춘(孟冰純), 문헌 검토에 도움을 준 파비엔 칸테, 그리고 자신들의 모국에서 경제 이론이 디지털 “파괴”를 설명하기 위해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도움을 준 학생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저자들이 소속된 각 대학 동료들의 지원에 감사드리고 책을 집필할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초기 책 초안에 대해 매우 건설적인 논평을 해주신 요하네스 바우어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오류나 누락에 대한 책임은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로빈 만셀과 에드워드 스타인뮬러
런던, 2020년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