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공공가치 창출을 위한 현대조직론
신간
공공가치 창출을 위한 현대조직론
저자
박광국, 조경호, 이정욱
역자
-
분야
경영학 ▷ 인사/조직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1.08.25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444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1333-7
부가기호
93350
강의자료다운
정가
20,000원

초판발행 2021.08.25


21세기 조직을 둘러싼 환경은 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급변하고 있으며, 해결할 수 없는 수많은 사회문제들이 속출하고 있다. 전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기후위기와 인구폭발, 빈부 격차 문제는 가까운 시일 안에 해결책을 찾지 못하면 인류의 멸절까지도 초래할 가공할 위험으로 다가오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여기에 청년 실업, 저출산?초고령화, 지방 소멸, 그리고 북핵 문제 등이 더해져 국가를 비롯해 수많은 조직을 책임지고 있는 CEO들로 하여금 솔로몬의 해법을 찾는 데 골몰하게 하고 있다. 그나마, 다행스럽게도 4차 산업혁명의 열매로 등장하고 있는 빅데이터,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의 비약적 도움으로 지금까지 불가능하게 보였던 사회난제들의 해결책에 대한 서광이 조금씩 비쳐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조직관리자가 이러한 짓궂은 문제들(wicked problems)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려면, 전통적 조직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소위 토마스 쿤이 언급한 혁명적 패러다임으로의 방향 전환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 관료제로 대변되는 전통적 조직관리 방식은 조직 내 생산성 제고에만 관심을 기울인 나머지 조직 간,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다루는 데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점이 없지 않았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환경변화는 조직관리자로 하여금 조직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조직구조나 인간의 행태 변화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인간과 컴퓨터, 인간과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더 많은 관심을 갖도록 만들고 있다. 특히 작년부터 시작된 COVID-19로 인해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직시하고, 이번 「공공가치 창출을 위한 현대조직론」집필자들은 기존의 조직론 교재 집필 방식에서 완전히 탈피하여 앞으로 미래 조직 관리에서 유념해야 할 이슈 중심으로 책을 집필하기로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이러한 합의에 쉽게 도달할 수 있었던 것은 집필자 모두가 미국 조지아 대학교 출신 동문으로서 상당한 정도의 이론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 집필진들의 학문적 멘토인 현 조지아 대학교 오툴 교수님은 특별 기고 원고를 통해 교재 집필 방향을 명료화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그의 기고문을 요약해 보면, 앞으로 유능한 미래 조직관리자는 급변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6가지 핵심 주제인 전문성과 과학의 필요성; 대표성, 다양성, 포용성의 가치 제고; 과업성과 관리; 혁신과 변화관리의 중요성; 디지털 세계에서의 공공관리; 조직과 공공관리의 국가 간 비교분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자세한 내용은 오툴 교수의 원고에 대한 편저자의 논평을 참고해 볼 것). 5명으로 구성된 집필진 소위원회에서는 이러한 방향성을 조직 내(Intra Organizations), 조직 간(Inter Organizations), 조직-환경 간(Extra Organizations)관점에서 4가지로 범주화하고 해당 원고를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I부는 조직관리 방향과 조직철학, II부는 조직 내 관리, III부는 조직 간 관리, IV부는 조직 외부환경 관리로 구성되었다.
이 책에 관심있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장별로 살펴보면, 2장 <조직철학>은 가톨릭대 박광국 교수에 의해 집필되었다. 일찍이 페로우에 의해 인류의 최대 발명품이라고 극찬받던 관료제는 21세기에 들어와 기후변화를 비롯한 수많은 행정난제에 직면하면서 그 효용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었다. 여기에서는 관료제가 기초하고 있는 모더니티가 존재론적, 인식론적, 행정윤리적, 인간 본성의 전제 측면에서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가를 개관하고 그 대안으로서 현상학과 포스트 모더니티가 주목하는 상상, 해체, 탈영역화, 그리고 타자성 개념에 대한 사유를 통해 행정난제들의 창조적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 3장 <공공조직의 목표모호성>은 서울대 행정대학원 전영한 교수에 의하여 집필되었는데, 여기에서는 민간조직에 비해 공공조직의 목표 모호성이 높은 이유를 조직이 생산하는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시장 부재, 주요 이해관계자 간 정치적 타협의 필요성, 정책문제의 복잡성, 조직의 규모와 역사 등에서 찾고 있다. 이 중에서도 시장의 부재와 정치적 타협의 필요성은 목표 모호성을 유발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목표 모호성의 존재는 조직 관리자의 성과향상을 저해하는 측면이 있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구합리성에 지나치게 의존한 행정개혁은 공공조직의 정치적 성격을 간과함으로써 많은 한계점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한다. 4장 <공공조직의 구조설계: 현재와 미래>는 성균관대 박성민 교수에 의하여 집필되었다. 박 교수는 먼저 조직구조와 조직설계에 대한 내용을 총체론적(holistic) 시각을 통해 조망하고 이어서 우리나라 공공조직의 구조혁신과 조직재설계에 대한 이론과 쟁점을 미래지향적 관점에 입각해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박 교수가 지향하는 바람직한 조직구조 개편은 예측성과 회복 탄력성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공공 거버넌스 체제 개념의 도입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5장 <조직몰입>은 국민대 조경호 교수와 서울대 행정대학원 이수영 교수에 의하여 공동 집필되었다. 이들은 조직몰입을 조직에 대한 구성원들의 긍정적 태도와 행동을 총체적으로 표현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며 조직현상을 이해하는데 매우 귀중한 지표로 간주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 포스트 코로나, MZ 세대의 공직 유입 등 급변하는 행정 환경 변화 속에서 조직 몰입의 올바른 형성과 관리의 문제는 조직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장은 조직몰입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관리방안에 대해 밀도있는 논의를 전개하는 데 할애되었다. 6장 <공공조직의 리더십>은 이화여대 최유진 교수에 의하여 집필되었다. 여기서는 행정학적 관점에서 공공리더십의 이론과 쟁점을 정리하고 향후 조직관리자가 주목해야 할 과제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주류 리더십 이론과 공공리더십이론의 차별성을 시스템 중심으로의 변화, 공공 관점의 강조, 공공리더십의 복잡성, 공공조직이 처한 문화적 맥락의 관점에서 조망하고 있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바람직한 미래형 공공리더십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많은 화두를 던져 주고 있다.
7장 <조직문화>는 가톨릭대 박광국 교수에 의해서 집필되었다. 인간의 행동이 의식적 요인보다는 무의식적 요인에 의해서 더 많이 좌우된다는 프로이트, 융, 아들러의 이론에 힘입어 조직론 분야에서도 1980년대 이래로 많은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 조직문화에 기초하고 있는 문화상징적 관점은 조직 내의 다양한 활동들, 즉 기획, 의사결정, 재조직화, 평가, 목표 설정, 의사전달 등이 도출된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것보다는 그러한 행위가 조직 구성원들에게 부여하는 의미생성에 더 많은 관심을 둔다고 본다. 이러한 조직문화는 리더십, 전략, 조직구조, 인적자원관리 분야와 상호작용하면서 조직 변화와 혁신이 의도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8장 <조직과 환경>은 연세대 유상엽 교수가 집필하였다. 이 장은 행정의 정체성을 정치와 경영의 차이에서 조망하고 행정 및 정부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불확실성 속에서 행정조직의 생존과 바람직한 미래정부의 모습을 구현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거시적 환경분석 기법과 SWOT분석기법을 소개하고 인사관리차원과 조직관리차원으로 구분하여 정부관리전략을 제시한다. 본 장을 통해 독자들은 보다 전략적으로 정부조직을 진단하고 불확실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정부관리전략을 도출할 수 있는 역량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9장 <조직 미션의 이해와 관리>는 연세대 이정욱 교수와 유은지 박사에 의하여 공동 집필되었다. 이 장의 목적은 조직 내외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수단인 조직 미션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조직은 미션을 통해 그 존재이유를 표명하고 조직의 존립과 활동에 필요한 정당성을 부여받는다. 동시에 조직 구성원으로 하여금  조직목적과 가치를 내재화하도록 해 줌으로써 조직성과와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저자들은 미션을 단순히 수립·선언·공표하는 것을 넘어서 다양한 전략과 수단을 통해 이를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에 필요한 관리전략에 대해 폭넓은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10장 <네트워크와 네트워킹>은 북일리노이대 노은주 교수에 의하여 집필되었다. 노 교수는 현대 행정서비스가 다양한 행위자들과 조직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면서, 전통적 계층 구조 안에서의 공공관리자의 역할과 복잡하게 얽힌 네트워크 환경 안에서의 공공관리자의 역할이 어떻게 다른가를 예리한 시각으로 분석해 내고 있다. 이 장에서는 네트워크에 관한 주요 이론을 소개하는 한편 관리적 네트워킹을 결정짓는 요인 및 네트워킹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최근의 연구동향을 조망하고 이들 연구가 갖는 함의에 대해서도 폭넓은 사유를 보여주고 있다. 11장 <조직권력>은 국민대 조경호 교수에 의하여 집필되었는데 그는 기존의 조직권력에 대한 관점에서 벗어나 코로나 팬데믹과 4차 산업혁명의 대전환기에 등장할 새로운 권력현상에 대해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 분명 조직과 조직 간 경쟁 속에서 대두될 권력의 원천은 기존의 권력 원천과는 판이하게 다를 것이며, 이런 급변하는 환경 하에서 조직관리자가 경쟁 조직에 비해 우위를 계속 점해 나갈 수 있는 대응 방안에 대해 심도있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12장 <행정조직의 변화와 혁신: ICT의 도입>은 한국행정연구원 우하린 박사에 의하여 집필이 기획되고 완성되었다. 이 장에서는 ICT 기술이 대국민 행정서비스 질을 제고하기 위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 이를 위해 전통적 관료제 조직구조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또한 조직 과정적 측면에서 책무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의사결정과 업무 수행 방식이 ‘증거기반행정’에 기초해야 한다는 점을 설득력있게 강조하고 있다. 13장 <적극행정: 공직윤리와 갈등관리>는 수원대 김정인 교수에 의하여 다루어졌는데 김 교수는 이 장에서 미래 적극행정이 필요한 당위성을 언급하고 이를 위해 공직자들은 공직윤리와 갈등관리에 관한 전반적 소양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민을 위해 봉사하고 공익을 추구해야 하는 것이 공직자의 본연의 의무이지만 개인적, 조직·제도적,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고 분석하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고 있다.
14장 <공공 조직의 다양성 관리>는 경희대 최성주 교수에 의하여 집필되었는데 여기서는 우리 사회 내 다양한 집단들의 이해와 가치를 공공정책에 어떻게 공평하게 반영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정부의 바람직한 역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최 교수의 분석에 의하면, 2000년대 이후 우리 정부는 관료조직의 대표성과 다양성을 제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온 결과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본다. 하지만, 최근 행정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정부의 균형인사정책은 새로운 형태의 다양성을 반영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국면에 접어들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제도적 기반과 관리적 노력이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15장 <공공서비스 비정부 전달체계: 자원봉사 활용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는 뉴멕시코대 강성철 교수에 의하여 기획되고 집필되었다. 강 교수에 의하면, 현 시대 많은 정부조직들은 공공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해 직접 서비스 이외에 타 정부 기관, 민간 기업, 비영리단체 등과의 계약 및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전달방식 체계를 선호하고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자원봉사 및 클라이언트와의 공동생산과 같은 협력체계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공공서비스를 전달하는 방안으로까지 공공서비스 전달체계는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이 장에서는 자원봉사 활용에 대한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효과적 서비스 전달체계, 역할 분담, 그리고 조정체계 방안 구축에 대해서도 설득력있는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 책이 기존 조직론 교재와의 차별성을 갖는 점은 바로 주제 중심의 기술을 탈피하고 이슈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다 보니 조직론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할 동기, 의사결정, 의사전달 이론 등은 생략하고 급변하는 환경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조직관리자가 다루어야 할 핵심 주제에 집중해서 전반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특히, 급변하는 환경에서 <공공조직의 목표모호성>이나 <조직미션의 이해와 관리>에 대한 이해가 조직의 성패를 좌우하는데 얼마나 중요한지를 조직 관리자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별도의 장으로 독립시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15개 주제를 4부로 나누어 조직관리 방향과 조직철학, 조직 내 관리, 조직 간 관리, 조직-환경 간 관리로 범주화해서 배치하였다. 조직 관리에 있어 이러한 범주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 얽힘(imbroglios)을 통해서 기능할 때, 조직 전반의 목표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은 조직론을 전공한 조지아대 동문들의 협업의 산물이지만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앞으로도 계속 환경변화에 따른 새로운 주제를 발굴하고 그 내용에 대해 천착할 것을 독자들에게 약속드린다. 그렇게 하기 위해, 퇴임한 교수들은 집필진에서 제외되고 젊은 동문 학자들이 새로운 집필진에 참여하여 책의 내용을 계속 수정하고 보완할 생각이다. 본 교재는 어느 누구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독자들이 함께 주제를 제시하고 논의하는 담론의 장으로 기능할 때, 지속가능한 생명력을 유지해 갈 수 있다고 확신한다. 본 교재가 나오기까지 원고가 많이 지체되었음에도 하염없는 인내를 가지고 원고작업을 독려해 준 박영사 안상준 대표에게도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도 다른 교재들처럼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부인하지는 않는다. 앞으로, 독자들의 따끔한 질책과 비판에 힘입어 이 책이 수정판을 거듭할수록 더욱 질적으로 내용이 충실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2021년 8월

학문의 전당인 아덴스 조지아대 캠퍼스를 생각하며
대표집필 가톨릭대 박광국 교수

강 성 철
학력: University of Georgia 정치학사/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공공행정학 석사/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박사
경력: 한국행정연구원 위촉연구원
     (현) New Mexico State University 정부학과 조교수


노 은 주
학력: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사/Texas A&M University 행정학 석사/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박사
경력: (전) University of Akron 행정학과 조교수
     (현)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행정학과 부교수


김 정 인
학력: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행정학 석사/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박사
경력: 한국인적자원연구센터 선임연구원
     (현) 수원대학교 법행정학부 부교수


박 광 국
학력: 서울대학교 영문학사/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박사
경력: 한국행정학회 회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현) 가톨릭대 행정학과 교수


박 성 민
학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사/Columbia University 국제행정학 석사/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박사
경력: (전)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UNLV) 행정대학원 조교수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C) 정책대학원 교환교수
    (현)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겸임교수,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국정전문대학원 교수


우 하 린
학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사/IT정책전문대학원 공공정책학 석사/University of Missouri 행정학
     석사/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박사
경력: Institute of Public Policy Research Fellow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강사
     (현) 한국행정연구원 정부업무평가지원센터 수석연구원


유 상 엽
학력: 고려대학교 학사(영문학/행정학)/Carnegie Mellon University 공공정책학 석사/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박사
     (전) International University of Japan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현)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유 은 지
학력: 단국대학교 법학사/연세대학교 행정학 석사/박사
경력: (현) 연세대학교 공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원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BK21 교육연구단 박사후 연구원
 

이 수 영
학력: 서울대학교 문학사/행정학 석사/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박사
경력: 인사혁신처 자체평가위원
     기획재정부 공기업 경영평가위원
     (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국가리더십연구센터장


이 정 욱
학력: 연세대학교 행정학사/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박사
경력: (현)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원장


전 영 한
학력: 서울대학교 심리학사/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박사
경력: 행정안전부 정책자문위원
     서울대학교 조직진단평가연구센터 소장
     (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조 경 호
학력: 고려대학교 영문학사(행정학부전공)/SUNY-Albany 행정학 석사/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박사
경력: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장, 사회과학대학장 역임
     한국인사행정학회 회장, 서울행정학회 회장,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역임
     (현)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최 성 주
학력: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사/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University of Michigan-Ann Arbor
     정책학 석사/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박사
경력: 인사혁신처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자문단 위원
     Kennesaw State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현)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최 유 진
학력: 이화여대 행정학사/서울대, University of Georgia 행정학 석사/Syracuse University 행정학 박사
경력: 2019 Fulbright Scholar
     미국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조교수
     (현) 이화여대 행정학과 부교수

1부

조직관리 방향과 조직철학


특별기고 Special Contribution 조직관리 방향(특별기고)  3
제2장 조직철학 27
1. 들어가며 29
2. 과학적 방법론에 입각한 모더니티의 주요 특성들 31
3. 과학적 방법론의 특성과 그 한계들 33
4. 모더니티에 입각한 대안적 접근법들 35
5. 포스트 모더니즘을 탄생시킨 주요 철학자들 38
6. 포스트 모더니즘의 주요 관점들 43
7. 나가며 49



2부

조직 내 관리


제3장 공공조직의 목표모호성 57
1. 들어가며: 목표특성 연구의 특성 59
2. 목표모호성의 개념 62
3. 공공조직 목표모호성의 원인 64
4. 목표모호성과 조직성과  72
5. 나가며 76
제4장 공공조직의 구조설계: 현재와 미래 79
1. 들어가며 81
2. 조직구조: 개념과 특징 82
3. 조직구조설계: 의의와 유형 90
4. 미래형 공공조직 구조설계: 전략과 방향 96
5. 나가며 101

제5장 조직몰입 105
1. 들어가며: 몰입이란? 107
2. 조직몰입의 동인 113
3. 조직몰입의 결과 116
4. 나가며: 몰입에 대한 새로운 시각 116

제6장 공공조직의 리더십 123
1. 들어가며 125
2. 리더십의 개념과 접근방법 126
3. 공공리더십(public leadership) 이해하기 130
4. 나가며: 공공리더십의 연구 방향 134

제7장 조직문화 145
1. 들어가며 147
2. 조직문화 이해하기 149
3. 조직문화 관리하기 159
4. 나가며 166

3부

조직 간 관리


제8장 환경변화와 정부조직의 대응: 인사 및 조직관리 전략 175
1. 들어가며 177
2. 행정의 이해 178
3. 정부조직을 둘러싼 환경과 제도 182
4. 환경과 사람: 인사관리 188
5. 환경과 조직: 조직관리 193
6. 나가며 199

제9장 조직 미션의 이해와 관리 203
1. 들어가며 205
2. 미션이란? 206
3. 미션의 기능성 210
4. 미션의 기능성과 관련된 개념 215
5. 미션 기능성 제고를 위한 수단: 미션 선언문 219
6. 나가며: 어떤 미션 선언문이 필요한가? 미션 선언문 완결성 228

제10장 네트워크와 네트워킹(Networks & Networking) 239
1. 들어가며 241
2. 네트워크 관련 연구의 흐름 243
3. 관리적 네트워킹(Managerial Networking) 이해하기 249
4. 나가며 265


제11장 미래 공공조직의 권력 273
1. 들어가며 275
2. 권력의 과정과 관점들 278
3. 하드파워 vs 소프트파워의 원천 285
4. 권력의 분포 290
5. 나가며: 권력의 확보 전략을 중심으로 292



4부

조직 외부환경


제12장 행정조직의 변화와 혁신: ICT의 도입 301
1. 들어가며 303
2. 정보통신기술과 행정조직의 특징 305
3. 현재의 조직변화 309
4. 데이터 기반 행정(Data-driven Public Administration) 316
5. 나가며 323

제13장 적극행정: 공직윤리와 갈등관리 327
1. 들어가며 329
2. 적극행정 331
3. 공직윤리 337
4. 갈등관리 343
5. 나가며 351


제14장 공공 조직의 다양성 관리 355
1. 들어가며 357
2. 이론적 배경 358
3. 한국의 다양성 정책과 현황 366
4. 한국의 다양성 정책 발전 방향 377
5. 나가며 380

제15장 공공서비스 비정부 전달체계: 자원봉사 활용을 중심으로 387
1. 들어가며 389
2. 공공서비스의 비정부 전달 개요 391
3. 공공영역의 자원봉사 개요 401
4. 나가며 416

색 인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