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 자료 분석 가이드
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 자료 분석 가이드
저자
한유리
역자
-
분야
통계/연구방법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18.07.31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176P
판형
변신A5판
ISBN
979-11-89005-23-8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
정가
14,000원

중판발행 2022.01.11

중판발행 2020.08.10

초판발행 2018.07.31


이 책은 기본적인 질적 자료 분석방법에 초점을 두고 있다. 질적 연구 설계나 글쓰기 등은 이미 많은 책에서 다루고 있으므로 포함하지 않았다. 질적 연구자라면 대부분 테마를 도출하고 해석과 결론을 제시하는 과정을 거친다. 언뜻 듣기에 단순해 보이는 이 과정은 사실 연구자의 깊은 사고와 이해가 요구되는 연구의 핵심이다. 하지만 초보 연구자는 무언가 의미 있는 결과가 나와야 한다는 강박이나 걱정에 결과를 도출하는 데에만 마음이 급해진다. 그래서 충분한 시간을 들여 분석과정을 찬찬히 살펴볼 때 얻을 수 있는 통찰을 놓칠 때가 많다. 또한 질적 분석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다면 그 밖의 분석방법을 익히고 적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이 책에서는 다루지 않지만 질적 연구와 분석방법은 다양하다. 방대하다는 표현이 더 적절할 것이다. 다양한 분석방법에 따라 현상의 다른 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는 걸 아는 연구자만이 자신의 연구 결과가 오직 하나의 진실이라고 주장할 우려에서 벗어날 수 있다.

Melissa, 2017.
프롤로그

한 유 리
조지아 대학(The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GA)
Learn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Programs, 박사
이화여대 상담심리, 석사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저서
질적연구입문, 박영Story, 2015

역서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박영Story, 2017

qualresearch@naver.com
https://blog.naver.com/qualresearch

프롤로그 / 3


 제1부  질적 분석방법에 대한 전체적 그림

 1 질적 자료를 분석한다는 것 10
자료 분석은 언제 시작되나? 11 / 그렇다면 질적 자료를 분석한다는 것은 무얼 의미할까? 12
 2 연구자의 기본 가정 18
질적 연구자는 선행 지식을 완전히 비우고 현상을 새롭게 보아야 하는 걸까? 19 / 이론적 틀은 분석에서 어떤 역할을 하나? 20 / 연구자의 선입견이나 편견을 최소화하는 장치는 없을까? 23
 3 자료는 구성되고 해석되는 것 26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는 어떻게 다를까? 27 / 자료는 객관적인 증거인가? 29 / 연구자의 해석이 개입되면 현상을 객관적으로 볼 수 없지 않을까? 30 / 만약 혼자 하는 분석이 잘못될 경우는 어떻게 하나? 31 / 여러 학자가 제시한 분석 가이드라인이나 선행 연구 사례를 따르면 결과가 잘 나올 수 있나? 32 / 분석을 도와주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step-by-step 가이드는 없나? 33
 4 구체적인 자료를 추상적인 개념으로 바꿔 가기 36
구체적인 자료는 분석과정에서 어떻게 바뀌어 가나? 37 / 범주적 사고(categorical thinking): 이건 어디에 속할까? 38 / 내러티브적 사고(narrative thinking):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나? 40
 5 반복적 패턴과 테마 도출하기 44
패턴은 무엇인가? 45 / 패턴과 테마는 어떠한 관련이 있나? 47
 6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 논의하기 50
연구의 의미란 연구 결과를 말하는 게 아닌가? 51


 제2부  분석의 세부 과정

 7 자료를 정리하고 이해하기 58
분석은 언제 시작하나? 59 / 분석 노트를 준비하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무엇을 적어야 하나? 60 / 현장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62 / 인터뷰를 전사할 때 어느 정도 자세히 기록해야 하나? 62 / 인터뷰에서 참여자가 한 말을 모두 사실로 믿어야 하나? 65
 8 자료 줄이기: 코딩과 범주화 68
인터뷰 전사를 마치면 바로 코딩을 시작하는가? 69 / 코딩이란 무엇이며 반드시 해야 하는가? 71 / 코딩하는 방법은 정해져 있는가? 73 / 코드북은 어떻게 만드나? 75 / 1차 코딩, 2차 코딩 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76 / 얼마나 꼼꼼히 코딩을 해야 하는가? 79 / 좋은 코드는 어떤 것인가? 80 / 범주화는 어떻게 하는가? 83 / 범주화는 분석에서 어떤 도움이 되는가? 85 / 간혹 범주에 잘 묶이지 않는 동떨어진 코드가 생기는데 어떻게 하면 좋은가? 86
 9 패턴 탐색과 테마 도출 88
코딩을 마치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89 / 테마는 어떻게 도출하나? 93 / 테마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 95 / 만일 연구의 시작단계에서부터 테마에 대한 대략적 아이디어가 있을 경우는 어떻게 하는가? 103 / 테마를 도출한다는 것은 테마 분석을 의미하는가? 105 / 질적 연구를 통해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는가? 107 / 질적 연구는 순수하게 귀납적인 방법만 사용되는가? 112
10 연구 결과 보여주기 118
독자에게는 결과를 어느 정도로 자세히 기술해야 할까? 119 / 그렇다면 테마 내용만 간략히 요약하라는 뜻인가? 121 / 참여자를 최대한 긍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은가? 124 / 인용하기에 적절한 내용은 무엇인가? 126 / 인용문 외에도 다양한 자료 표현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가? 128 / 잘못된 질적 자료 표현 방식 132
11 연구의 질을 검토하기: 타당도 138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방법의 적절함을 설명한다 142 / 분석과정을 투명하게 밝힘으로써 분석이 엄격하고 일관되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143 / 결과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도록 다양한 증거를 제시한다 145 / 연구자의 편향을 줄이고 현실을 최대한 있는 그대로 보여주기 위해 취한 조치들을 밝힌다 150 / 연구자의 진정성과 윤리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155


 에필로그 / 158
 참고문헌 / 164
 찾아보기 /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