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정보화시대를 위한 디지털경제
정보화시대를 위한 디지털경제
저자
최동수
역자
-
분야
경제학 ▷ 경제학일반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07.06.10
장정
페이지
519P
판형
4X6배판
ISBN
978-89-10-20494-7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색도
정가
30,000원
초판 2007. 6. 10.
"인터넷시대를 위한 디지털경제"의 개정판입니다.

21세기 들어 가장 두드러진 현상들은 컴퓨터 및 통신 분야의 급속한 기술혁신, 그리고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등의 신기술,신사업의 출현 및 확산, 세계화의 진전, 대규모 위험투자자본의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 등으로 급격한 기술적,경제적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디지털기술에 기반을 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에 연결되면서 인터넷의 상업적 활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반 경제활동에 대한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의 의존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인프라의 확충과 인터넷 사용의 급증으로 인해 세계는 지금 지식정보사회, 국경이 없는 무한경쟁시대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디지털혁명으로도 불리는 이러한 변화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 걸쳐 각 경제주체의 가치관이나 행동양식, 의사결정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활패턴을 총체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한 파급효과 또한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산업경제체제하에서는 경제가 성장하면 물가가 오르고 물가인상은 인플레를 초래함으로써 경제성장이 둔화될 수밖에 없는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미국의 경우에 장기호황을 누리면서도 물가는 오히려 안정되는 경제구조가 지속되자 사람들은 경제패러다임의 변화에 관심이 쏠리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경제학자들은 전통경제(traditional economy), 현대경제(modern economy), 산업경제(industrial economy), 또는 자본주의경제(capitalistic economy) 등으로 불려 왔던 기존의 경제적 구조에 심상치 않은 구조적 대전환(structural transformation)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아차리게 되었다. 그러나 새로이 등장하는 경제의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었던 경제학자들은 디지털기술에 바탕을 둔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의 확산에 따라 나타나기 시작한 새로운 경제패러다임을 대체로 디지털경제(digital economy)라고 부르고 있다. 디지털경제에서는 디지털기술을 직접 활용하는 전자, 정보, 통신산업 등의 일부 제조업과 서비스산업과 관련하여서만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정보네트워크의 형성으로 경제활동의 합리성을 결정하는 원리 자체가 근본적으로 달라지는 경제시스템 전반의 변화로 이해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제질서의 변화는 정치, 사회, 문화 등의 삶의 모든 면에서 새로운 질서와 변화가 구축되는 것으로까지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경제체제하에서는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의 혁신적 발전과 더불어 생산된 디지털재화와 서비스가 전체 생산물(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는 경제체제이며 한편으로는 기존의 모든 경제활동이 디지털화된 가상공간의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지금까지 우리가 생각해 왔던 기존의 경제학 분야로서 통화금융론, 국제무역론, 농업경제학, 국제금융론, 경제발전론, 경제성장론 등을 논의할 때는 일반적으로 경제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디지털경제는 경제학의 한 분야로 인식하기보다는 경제학의 모든 분야에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의 도입 및 활용을 통해 경제의 각 분야에 대한 효율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야기시키는 경제학의 분야로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제2부 제12장으로 구성되는데, 제1부는 디지털경제의 총론적인 내용을, 제2부에서는 디지털경제의 분야별 내용을 담고 있다.

끝으로 이 책의 출판을 가능하게 해 준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과 황인욱 전무님, 그리고 최선을 다해 꼼꼼히 편집작업에 노력을 아끼지 않으신 홍석태 차장님과 항상 웃음을 아끼지 않고 업무에 최선을 다하는 김중용 과장님의 노고에 이 자리를 빌어 진심으로 감사의 뜻을 전한다.

2007년 6월
월하 연구실에서
최 동 수
호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전공 교수
choi@howon.ac.kr

[주요 저서 및 연구실적]
“An Empirical Study on Determinating Exchange Rates under the Purchasing Power Parity Approach”로 1991년에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저서로는 1997년에『경제학원론』(3인 공저/박영사) 초판을 출간하고, 제2판(1999년), 제3판(2004년)을 출간하였다. 그 이후 정보와 지식에 대한 사회과학적 및 경제적 분석을 위해 연구한 결과『정보사회의 이해』(법문사)의 초판을 출간하게 되었으며, 제2판(1999년), 제3판(2002년), 제4판(2007년)을 출간하였다. 또한 경제의 모든 분야에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의 도입 및 활용을 통해 경제의 효율성 및 생산성의 향상과 경제성장을 야기시키는 경제학의 분야로 파악되는『디지털경제』(박영사)는 2007년에 출간하게 되었다. 주요 연구실적으로는 총 34편 중에서 정보통신연구원의 정보통신학술 연구과제로 “우리나라의 주요 지역별 정보화지수의 측정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제1장 디지털시대의 지식과 정보
제1절 지식이란 무엇인가 5
제2절 정보란 무엇인가 14
제3절 지식과 정보의 관계 34

제2장 디지털혁명과 정보화
제1절 디지털과 디지털혁명의 개념 및 요인 41
제2절 디지털혁명의 전개 52
제3절 정 보 화 59
부 록Ⅰ 정보의 전달방식 70
부 록Ⅱ 정보의 디지털화 75

제3장 디지털경제란 어떤 경제를 말하는가
제1절 디지털경제의 개념과 출현배경 81
제2절 디지털경제의 선행조건 및 특징 99
제3절 디지털경제의 경제주체 117
제4절 디지털경제의 성과 127

제4장 디지털재화와 디지털시장
제1절 디지털재화란 무엇인가 141
제2절 디지털시장은 어떤 시장을 말하는가 152
제3절 디지털시장의 제품판매방식 165
부 록 멜칼프의 법칙 180

제5장 디지털경제의 거시경제변수
제1절 생산성 및 경제성장,고용 187
제2절 물가,임금 및 소득격차,산업구조 214

제6장 디지털경제의 기업과 산업정보화
제1절 기업과 산업정보화의 개요 227
제2절 기업의 정보화 235
제3절 산업별 정보화 242

제7장 디지털경제의 정보산업화: 정보통신산업
제1절 정보통신산업의 개요 273
제2절 정보통신산업의 규제와 경쟁 283
제3절 정보통신관련 정보정책 287

제8장 디지털경제의 노동과 고용
제1절 노동의 공급 303
제2절 노동에 대한 수요 310
제3절 노동시장의 구조 316
제4절 노동과 관련된 쟁점사항 321
보 론Ⅰ 전자상거래시대의 유망직종 331
보 론Ⅱ 불확실성과 정보 332

제9장 디지털경제의 전자상거래와 e-비즈니스
제1절 e-비즈니스의 정의와 출현 347
제2절 e-비즈니스의 거래상품과 유형 362
제3절 e-비즈니스의 전자결제시스템 370
제4절 e-비즈니스의 파급효과 375
제5절 e-비즈니스모델 378
제6절 M-commerce와 T-commerce 387
부 록 전자상거래의 시스템보안 390

제10장 디지털경제의 전자무역
제1절 전자무역의 개요 399
제2절 전자무역의 특징과 효과 406
1. 전자무역의 특징 406
2. 전자무역의 경제적 효과 411

제3절 전자무역의 기본요건 및 성공전략 413
1. 전자무역의 기본요건 413
2. 전자무역의 성공전략 415

제4절 전자무역의 실무절차와 결제시스템 418
1. 전자무역의 실무절차 418
1.1 해외시장조사 및 거래처의 발굴 418
1.2 거래제의 및 신용조사 419
1.3 매도계약서의 발송 419
1.4 신용장의 개설 420
1.5 수출물품의 확보 420
1.6 통 관 421
1.7 선적과 보험 421
1.8 수출대금의 회수 422
2. 전자무역의 결제시스템 422
2.1 인터넷 네고 423
2.2 무역카드(TradeCard) 시스템 425
2.3 볼레로(Bolero) 프로젝트 427



제11장 디지털금융과 전자화폐
제1절 디지털금융 437
1. 디지털금융시대의 도래 437
2. 디지털금융의 발전과정 439
2.1 금융업무의 온라인화 및 업무자동화단계 439
2.2 금융네트워크 구축 및 서비스의 확대단계 441
2.3 전자화폐, 인터넷뱅킹 및 모바일뱅킹단계 444

제2절 전자화폐 450
1. 전자화폐의 등장배경 450
1.1 지불수단의 편리성을 위한 기능적 측면 450
1.2 지불수단의 보안성을 위한 기술적 측면 452
2. 전자화폐의 개념 및 특성 454
2.1 전자화폐의 개념 및 정의 454
2.2 전자화폐의 특성 456
3. 전자화폐의 유형 459
3.1 IC카드형과 네트워크형 459
3.2 개방형과 폐쇄형 468
3.3 온라인형 및 오프라인형 469
4. 전자화폐와 통화정책 469



제12장 디지털경제의 쟁점사항 및 문제점
제1절 정보과잉 479
1. 정보과잉의 개념 및 정의 479
2. 정보과잉에 따른 경제적인 문제 481

제2절 정보격차 483
1. 정보격차의 개념 및 정의 483
2. 정보격차의 발생원인 487
2.1 개인별 사회경제적인 차이 487
2.2 성별,연령별 차이 489
2.3 커뮤니케이션의 능력과 컴퓨터 해득력의 차이 489
3. 우리나라의 정보격차 현황 490

제3절 국제적 정보격차 493
1. 문화적 제국주의 문제 494
2. 원격탐사의 문제 495
3. 전파월경의 문제 496


제4절 정보화에 따른 빈부격차 498

제5절 사생활침해와 사이버범죄 500


참고문헌 507
찾아보기 511








강의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강의지침서를 별도의 CD로 제작할 예정입니다.

인터넷시대를 위한 디지털경제의 강의 자료는 준비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강의하시는 학교, 연락가능한 전화번호, 우편물을 받을 주소 등을 적어 pys@pakyoungsa.co.kr 로 메일 보내 주시면 확인 후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