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거시경제학(제4판)
개정판
거시경제학(제4판)
저자
이종화,신관호
역자
-
분야
경제학 ▷ 미시/거시/국제경제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4.01.01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784P
판형
국배판
ISBN
979-11-303-1877-6
부가기호
93320
강의자료다운
정가
42,000원

제4판 2024.01.01

중판 2021.08.27

제3판 2019. 3. 1

중판 2017. 8. 30
제2판 2014. 2. 25.
수정판 2011. 2. 28.
초판 2009. 9. 20.


거시경제학 3판이 나온 지 이미 4년이 흘렀다. 그 동안 한국과 세계 경제는 이전에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경험을 겪었다. 2020년초에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은 총수요와 총공급을 모두 위축시켜 경제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다. 이에 대응하여 세계 각국의 정부는 무너져가는 경제를 살리고 국민들의 고통을 덜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실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경제학적인 분석이 얼마나 유용한 도구인지 다시 한번 깨달을 수 있었다. 경제학적 원리에 기반한 정책 대응이 없었다면 세계 경제는 더 큰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코로나 팬데믹을 겪는 과정에서 각국의 정부 당국자와 경제학자들은 팽창적 거시 정책으로 발생할 수 있을 인플레이션의 위험을 과소평가하는 실수를 범했다. 물가가 빠르게 상승하고 이자율도 함께 오르면서 높아진 기대인플레이션을 낮추고 인플레이션율을 다시 안정시키는 것이 시급한 숙제로 떠올랐다. 이러한 변화를 겪으면서 우리는 거시경제학 교과서를 개정해야 할 필요성을 이전보다 더욱 강하게 느꼈다. 그 결과가 이 번의 4판 개정판으로 탄생했다. 개정판에서는 독자들이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특징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거시 경제현상을 이해

하고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추가하였다. 본 개정판에서 주목할 만한 변경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본문, , 그림 등에서 실제 데이터 수치가 사용되는 경우 모두 가장 최신의 자료로 수정하였다. 둘째, 7장에서는 인공지능과 로봇과 같은 신기술이 경제 성장과 고용에 미칠 영향을 설명하고 인적자본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였다. 셋째, 8장에서 경기변동을 다루면서 고용 없는 회복을 새로운 사례연구로 포함하였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초래된 노동시장의 구조변화를 고용이 쉽게 회복되지 않는 원인 중 하나로 설명하였다. 넷째, 10장에서는 기대 인플레이션의 결정이 거시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기대 인플레이션이 통화정책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다섯째, 10장에 새로운 IS-LM 모형을 추가하였다. 이 모형은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결정하는 대신 이자율을 직접 결정하는 보다 현실적인 경우를 가정한다. 여섯째, 11장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총수요 및 총공급 충격을 설명하고 이에 대응한 정부의 정책을 다뤘다. 이를 통해 경제가 어떻게 회복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인플레이션이 심화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일곱째, 11장에서는 글로벌 가치사슬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총공급충격의 확대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에 관한 설명을 추가하였다. 여덟째, 13장에서는 국제수지표의 변경된 기준에 따른 설명을 보강하였다. 아홉째, 15장에서는 미국의 소비형태 변화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비 붐이 지속된 원인을 분석하였다. 열 번째, 19장에서는 비전통적 통화정책 중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벗어난 후에도 계속 활용되고 있는 선제적 지도정책이 적절하게 사용되지 않을 경우 중앙은행의 신뢰에 미칠 영향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최근 국가고시와 한국은행의 기출문제 등을 새로운 연습문제로 추가하였다. 이번에 책을 개정하면서 고려대학교 대학원과 학부 학생들의 많은 도움을 받았다. 김종원 박사과정 학생과 이재원 석사과정 학생은 새롭게 업데이트된 그림과 표를만들어 주었다. 또한, 박연수 석사과정 학생은 개정된 부분을 세심하게 읽으며 어색한

부분을 수정하고 오탈자를 찾아 주었다. 그 동안 수업에서 책을 교재로 사용한 많은 강사분들과 학생들은 이해가 어려운 부분을 알려주었다. 그리고 박영사의 배근하 차장과 편집부 직원들은 표지 디자인을 제시해 주고 교정 작업을 빈틈없이 진행해 주었다. 이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2312

이종화 · 신관호



이 종 화, Jong-Wha Lee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석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경제학 박사)

하버드대, 컬럼비아대, 호주국립대, 북경대 초빙교수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 이코노미스트 겸 지역경제통합국장

청와대 국제경제보좌관

한국경제학회 회장

현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교수

주요 저서

“Education Matters. Global Schooling Gains from the 19th to the 21st Century.”(with Robert J. Barro),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IMF Programs: Who Is Chosen and What Are the Effects?”(with Robert J. Barro),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2, October 2005.

“How Does Foreign Direct Investment Affect Economic Growth?”

(with Eduardo Borensztein and Jose De Gregorio),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45, June 1998.

“International Measures of Schooling Years and Schooling Quality.”(with Robert J. Barro), American Economic Review, May 1996.

“Capital Goods Imports and Long-Run Growth.”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48, September 1995.

 

신 관 호, Kwanho Shin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석사)

미국 UCLA (경제학 박사)

캔자스대학교 조교수

미국 UCLA, Claremont대학, 일본 오사카대학교 초빙교수

테셋(TESAT) 출제위원장

CESifo Fellow, University of Munich, Germany

현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교수

주요 저서

“Noncore Bank Liabilities and Financial Vulnerability.”(with Joon-Ho Hahm and Hyun Song Shin)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45 (s1), 3-36, August 2013.

“A Semiparametric Cointegrating Regressio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ge Distributions on Consumption and Saving.”(with Joon Y. Park and Yoon-Jae Whang), Journal of Econometrics, 2010.

“The Role of a Variable Inp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stment and Uncertainty.”(with Jaewoo Lee), American Economic Review 90, June 2000.

“Risk Sharing by Households Within and Across Regions and Industries.”(with Gregory D. Hess),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45, June 2000.

PART I 거시경제학의 소개

01 장 거시경제학이란

02 장 국민경제의 구조와 거시경제변수들의 이해

PART II 완전고용하에서의 소득, 고용, 물가의 결정

03 장 완전고용하에서의 국민소득 결정

04 장 노동시장과 실업

05장 화폐와 인플레이션

PART III 경제성장

06장 장기경제성장: 솔로우(Solow)모형

07장 장기경제성장: 내생적 성장이론

PART IV 총수요·총공급 단기거시모형

08장 경기변동현상과 장 · 단기균형

09 장 거시경제의 총수요 결정

10 IS -LM 모형과 정부의 총수요관리정책

11 장 총수요 · 총공급모형: 기본개념

12 장 총수요 · 총공급모형: 기대의 도입과 필립스곡선

PART V 개방경제모형

13장 개방경제의 거시이론: 기본개념과 장기모형

14 장 개방경제의 거시이론: 단기모형

PART VI 총수요의 미시적 기초

15 장 소 비

16 장 투 자

17 장 정부 재정

PART VII 거시경제이론의 최근 동향

18 장 최근의 경기변동이론

19 장 금융, 통화정책과 거시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