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9.30
머리말
미래 사회 인재 양성을 위해서 교육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에 대한 범지구적 논의와 함께 OECD에서 <DeSeCo 프로젝트>, <교육 2030 프로젝트>를 연이어 발표하자, 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역량이 무엇이며, 어떻게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지 교육계의 오랜 논의가 있었으나, 역량의 의미와 역량 함양의 방법이 명쾌하게 결론나지는 않았다. 다만 역량이 총체성을 지닌다는 합의점에 도달하였다. 이는 역량이 지식, 기능, 태도의 모든 요소가 필요에 맞게 총체적으로 발현되는 능력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에서 반드시 학습해야 할 내용 요소를 지식 · 이해, 과정 · 기능, 가치 · 태도로 범주화하였는데, 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이 세 가지 범주가 모두 필요한 상황에서 전이될 수 있어야 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처럼 학습의 내용이 역량으로 발현될 수 있는 올바른 학습의 상태를 ‘깊이 있는 학습’으로 명명하며, 학습 전이의 중요성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깊이 있는 학습을 통해 핵심역량 함양을 가능하게 하는 교수 · 학습의 원리로 ‘탐구’를 제시한다. 학생들이 교과 지식을 단순히 기억하고 암기하는 수준을 넘어, 각 교과의 고유한 탐구 방식을 익혀 핵심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를 통해 세계를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습자의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탐구 학습이 강조되면서, 학교 현장에서는 ‘핵심 아이디어’와 ‘탐구 질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단원의 핵심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구 질문을 개발하여 탐구 단원을 설계하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각종 연수나 장학 자료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교육과정의 철학과도 맞닿아 있으며, 깊이 있는 학습을 통한 역량 함양이라는 교육적 이상을 실현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탐구 학습 실행에 여러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학생들은 탐구가 무엇인지, 탐구 과정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탐구의 각 과정에서 어떤 전략이나 기능을 활용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배우지 못한 채 ‘탐구’라는 이름의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이는 수업을 설계하는 교사 역시 탐구 학습에 대한 모호한 인식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학교 교육은 주로 지식을 다루어 왔으며, 기능의 경우에도 단순한 기술 습득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그 결과,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학습 전반에 걸쳐 학습자가 자신의 사고와 전략을 점검하고 성찰하는 탐구 기반의 학습’이 실제 수업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드러나는 것이다.
현재의 교육 현장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서는 전이 가능성이 높은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 중심으로 어느 정도 합의에 도달하였으나,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과 실천 사례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진정한 의미에서 탐구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이 탐구의 전체 과정을 인식하고, 각 과정에서 수행해야 할 기능을 이해하며, 그에 적합한 전략을 적용할 수 있도록 명시적인 기능학습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능은 지식 이해를 돕는 단순한 보조 요소가 아니라, 탐구 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적 구성 요소로 재조명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탐구 학습에 대한 담론을 형식적 차원에서 벗어나 교육과정 실행으로 실현하기 위해 탐구에 필요한 기능을 5가지로 유목화하고, 각 기능을 습득하기 위한 탐구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탐구 기능은 특정교과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교과 학습뿐 아니라 범교과 주제의 탐구에서도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6가지 핵심역량과도 맞닿아 있다.
1장에서는 개념 기반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로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문해력을 먼저 다루었다. 이어 깊이 있는 학습의 필요성과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핵심인 지식과 과정의 구조를 중심으로 수업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단계별 수업 예시를 풍부하게 담고 있어, 교사들이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제공한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2장에서는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탐구 기능의 이론적 근거와 함께 5가지 기능과 하위 기능을 소개한다. 또한 학생들이 각 탐구 기능을 활용하여 주도적으로 학습하도록 돕기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안내한다. 이는 교사들이 수업 기법의 차원을 넘어 교실 환경과 탐구 문화를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3장에서는 5가지의 탐구 기능 습득을 돕는 실질적인 탐구 기법을 소개한다. 한 가지 탐구 기능당 탐구 기법을 10가지씩 제시하며, 기법에 대한 안내와 함께 교육과정 내에서의 적용 사례를 다양하게 수록하여 현장 교사들에게 실용적인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이 책은 교실에서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탐구 수업이 보다 의미 있고 수월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앞으로 이 책이 책장 속에 고이 꽂아 두는 책이 아닌, 항시 책상 위에 펼쳐져 많은 현장 교사들의 수업 설계에 활용되는 가이드북으로 역할하기를 바란다.
2025년 9월
저자 일동
저자소개
조호제
(현) 고려대학교 연구 교수
(현) 국가교육위원회 교육과정 전문위원
한국형 개념 기반 수업 설계, IB PYP, MYP, DP 등 국가 교육과정 총론, 대안적 고교 학점제 운영 방안,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등을 주요 관심 분야로 삼고 연구해 왔다.
김혜숙
(현) 서울탑동초등학교 교사
(현) 경인교육대학교 강사
IB PYP 교사 자격 획득(2024), 개념 기반 탐구학습 수업 설계, 교수 · 학습 설계 및 평가 등에 관심을 가지고 전문성을 키웠다.
박은하
(현) 서울대도초등학교 교사
개념 기반 탐구학습 수업 설계, 교수 · 학습 설계 및 평가 등에 주목하며 탐구하고 있다.
박혜수
(현) 완주봉서초등학교 교사
개념 기반 탐구학습 수업 설계, IB PYP, 개념 기반 탐구학습을 적용한 초등 음악수업 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중이다.
안은정
(현) 서울신미림초등학교 수석교사
(현) 수업관찰수석교사연구회 부회장
개념 기반 탐구학습 수업 설계, IB PYP, 교사 교육과정 및 국가 교육과정, 교육 평가, 수업 관찰 및 수업 분석, 수업 컨설팅 등에 관심이 있으며 연구 및 실천을 지속 중이다.
유현진
(현) 운현초등학교 교사
백워드 설계를 통한 개념 기반 탐구 수업을 실천하며 탐구 질문 개발과 탐구 기능의 명시적 지도를 연구하고 있다. IB PYP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였고, 초등학생을 위한 성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은아
(현)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IB PYP와 개념 기반 교육과정, 음악교육철학과 교수법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목차
PART 01 • 1
교육과정의 이해 및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설계
1. 교육과정의 이해와 수업 3
2. 깊이 있는 학습의 의미와 필요성 8
3.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의 의의 12
4. 지식의 구조와 과정의 구조에 의한 수업 설계 방법 21
5. 개념 기반 탐구학습 6단계와 순환적 학습 절차 41
6. 개념 기반 수업 설계를 위한 참고 사항 63
참고문헌 70
PART 02 • 71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탐구 기능
1. 구성주의 74
2. 학습자 주도성과 메타인지 75
3. IB의 교수 접근 방법과 학습 접근 방법 76
4. 탐구 기능 79
참고문헌 89
PART 03 • 91
깊이 있는 학습으로 이끄는 탐구 기법
-탐구 기능과 탐구 기법
1.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기능과 탐구 기법 활용 93
2. 기능 및 탐구 기법 개요 94
-사고 기능
1. 관점의 원(Circle of Viewpoints) 97
2.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What makes you say that?) 102
3. 주장-근거-질문(Claim-Support-Question) 106
4. 보기-생각하기-궁금해하기(See-Think-Wonder) 111
5. 3-2-1 다리(3-2-1 Bridge) 116
6. 의사결정 매트릭스(Decision Making Matrix) 120
7. 질문 열기(Question Starts) 125
8. 사례 비교(Case Comparison) 129
9. 연꽃(Lotus Blossom) 134
10. 나침반 침(Compass Points) 139
-조사 및 연구 기능
1. 3Q 조사툴 146
2. 4요소 분석법(OPVL) 151
3. 트리맵(Tree Map) 157
4. 육각형 사고(Hexagonal Thinking) 161
5. 정보그물(Info Web) 165
6. 써클맵(Circle Map) 170
7. 이야기 피라미드 175
8. 비교 렌즈 179
9. 3 Whys 질문법 184
10. 개념지도(Concept Mapping) 189
-협력적 소통 기능
1. 듣고 수행하기 195
2. TPS(Think-Pair-Share) 200
3. 회전 인터뷰(Carousel Interview) 205
4. T.A.G. Peer Feedback 209
5. 피드백 사다리(Ladder of Feedback) 213
6. 분필 대화(Chalk Talk) 218
7. 어항 토의(Fish Bowl) 223
8. 직소(Jigsaw) 228
9. 공청회 역할극(Public Meetings) 232
10. 디지털 협업 프로젝트(패들렛 활용) 237
-표현 기능
1. Y 차트 243
2. 11시강통키 247
3. CSI(Color-Symbol-Image) 251
4. 말하는 조각상 255
5. 핫시팅(Hot Seat) 259
6. RAFT 역할극 263
7. 4C 267
8. 바르손눈미 271
9. PREP 말하기 275
10. 연결-확장-도전(Connect-Extend-Challenge) 279
-성찰 및 관리 기능
1. 자기평가(Self-assessment) 284
2. 동료평가(Group Member Evaluation) 288
3. 출구 티켓(Exit Ticket, Exit Slips) 292
4. 예전에는, 지금은(I Used to Think, Now I Think) 296
5. 별 둘 소원 하나(2 Stars & 1 Wish) 300
6. 탐색 과정 자기 성찰(I Search Process Reflection) 304
7. 하이쿠 성찰(Haiku Reflective) 308
8. 장미와 가시(Rose & Thorn) 312
9. 나의 하루 관리(Daily Planner) 316
10. 자기 성찰 빙고(Self Reflection Bingo) 320
참고문헌 325
찾아보기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