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관점전환
신간
관점전환
저자
이석재·이종서
역자
-
분야
상담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09.30
장정
무선
페이지
308P
판형
신A5판
ISBN
979-11-7279-159-9
부가기호
93180
강의자료다운
-
색도
2도
정가
21,000원

초판발행 2025.09.30

들어가는 글

지금 결정적 관점으로 보는가

“우리를 짜증나게 하는 다른 사람의 모든 것은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길로 이끌 수 있다.”

- 칼 구스타프 융(C. G. Jung), 분석심리학자

관점(perspective)을 바꾸는 것은 삶의 변화를 시도하는 것과 같습니다. 관점이 바뀌면 세상을 달리 보고 다른 삶을 추구하는 변화를 스스로 만들기 때문입니다. 고유한 관점은 그 사람의 정체성을 대변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관점의 기저에는 자기중심성이 있습니다. 자기 자신의 고유함을 특징 짓는 근원적 심리입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관점에 따라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합니다. 관점은 인식의 대상을 보고 이해하는 특정한 방식입니다. 자기 자신을 포함해 타인과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의 근간입니다. 이 때문에 관점은 쉽게 바뀌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흔히 삶에서 중차대한 해결 과제에 직면합니다. 결혼, 취업, 경력개발,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관리, 이직과 창업 등과 같이 자신의 삶의 방향과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제를 지혜롭게 해결해야 합니다. 당신은 이러한 과제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까? 결론부터 말하면 당면한 삶의 과제가 아니라 당신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그 이후의 내용이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결정적 관점(critical perspective)을 가져야 합니다. 결정적이란, 처한 맥락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속성을 뜻합니다. 따라서 결정적 관점은 당신이 처한 삶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가치와 의미를 갖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차근차근 관점 전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관점 전환이 중요한 이유

당신이 선택한 관점 전환이 삶의 질을 결정합니다. 삶에서 관점 취하기(perspective taking)는 당면한 상황을 당신의 관점에서 보는 것 이외에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따라서 결정적 관점을 취하는 것은 관점 전환을 촉진합니다. 여기서 관점 전환(perspective shifting)은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영향요인입니다. 관점 전환은 자기중심성으로부터 벗어나는 치열한 노력의 결과로, 더 나은 내가 되는 길로 들어서는 것과 같습니다. 또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한 잠재성을 발견하는 기회를 갖는 것이며 무한한 가능성을 여는 자기주도적 활동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삶에서 관점 전환이 갖는 중요성에 비해 관점 전환의 심리학적인 작동 원리나 효과적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알기 어려웠습니다. 또 아직까지 관점 전환에 대한 코칭 이론이나 관련 전문 서적은 부재합니다.

앞으로 이 책에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설명하겠지만 결정적 관점의 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우리는 흔히 삶에서 무엇인가를 기다립니다. ‘기다리다’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사람이나 때가 오기를 바라다’입니다. 수동적으로 고대하고 기대하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성과중심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김대기 팀장은 회사가 제공하는 리더십 코칭 프로그램에 참가했습니다. 그는 코칭 중반에 ‘기다린다는 것’은 ‘상대방을 배려하는 것’이라고 자각했습니다. 업무를 조급하게 처리했고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데 있어 늘 성과중심이었습니다. 어느 날 자신의 관점에서만 보고 행동하는 편협한 자신의 모습을 보며 알아차렸습니다. 여기서 ‘배려’는 결정적 관점입니다.

김 팀장이 자각한 배려는 타인의 관점에 주의를 기울이는 적극적인 활동입니다. 그는 자기중심의 관점을 내려놓을 때 비로소 타인을 받아들일 여유를 가졌습니다. 기다림에 대한 기존 관점(수동적, 자기중심)에서 벗어나 결정적 관점의 선택에 따라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고 이해하는 관점 전환(능동적, 타인중심)을 경험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그는 성과중심의 리더에서 성과도 챙기면서 타인을 존중하는 존재중심의 리더로 변모했습니다.

리더의 관점 전환이 세계인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사례를 주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반도체의 기술적 중요성과 영향력을 간파하고 반도체 개발에 전사 역량을 집중한 삼성전자,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에 대한 관점을 움직이는 컴퓨터로 정의한 테슬라, 정보기술의 편집과 통합으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해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한 애플, 초연결 사회로의 환경 변화를 읽고 과감한 투자로 유통 왕국을 구축한 아마존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들 기업의 최고 경영자가 보여 준 근원적 경쟁력은 관점 전환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삶의 방식과 사고를 송두리째 바꿔 놓았습니다.

수년 동안 글로벌 위기가 지속되고 새 정부가 들어선 지금도 우리 삶 전반에 관점 전환이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누구나 각자 당면하는 삶의 주제를 다른 관점에서 보고 관점 전환을 통해 더 나은 삶의 환경을 개척할 수 있습니다. 관점을 바꾸는 방법을 배우면 더 균형 있는 관점으로 삶을 대할 수도 있습니다. 상황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이라는 이분법적인 생각을 버리고 시스템적이며 통합적 시각에서 바라볼 때 지혜롭게 삶의 문제에 대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관점 전환이 항상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하던 일을 멈추고 처한 상황을 분석하고 자신의 감정을 살펴야 합니다. 지금까지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밖으로 향하던 실행중심(doing)의 시선을 자기 내부로 돌리는 존재중심(being)의 시선으로 바꿔야 합니다. 아쉽게도 이러한 시선 바꾸기 조차 친숙하지 않습니다.

기존 관점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꾸는 것은 불편한 일이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일회적인 시도로 관점을 바꾸는 것도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변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일관되고 지속할 수 있는 관점 전환을 이루는 방법을 학습해야 합니다. 이것이 원하는 삶을 사는 데 꼭 필요한 의사결정입니다. 또한 이러한 의사결정이 원하는 삶으로 이어지려면 변화하려는 용기와 다짐, 나아가 자기주도적 실행이 필요합니다.

관점 전환을 완성하는 6단계 프로세스

관점 전환은 자기주도적으로 할 수 있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전문코치이며 사회심리학자로서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바꾸는 심리기제를 연구해 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대인관계 심리학의 관점 취하기(Epley et al., 2004)와 관점 전환(Mezirow, 1978) 등을 효과성 코칭(이석재, 2014; 2020a)의 시각에서 재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6단계 관점 전환 프로세스를 개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관점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관점 변화의 시작이라는 점을 간파했습니다. 따라서 관점 전환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점을 탐구해야 합니다. 이러한 학습과 관점 전환 프로세스를 토대로 지난 23년 동안 기업의 리더, 부부, 학생, 경력 단절자 등을 대상으로 관점 전환을 도왔습니다.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존 관점을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관점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이러한 작업을 ‘관점 코칭’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이석재, 2014; 2023).

관점 전환이 일어나는 심리 기제는 단기적인 영향력을 갖는 얕은 수준과 장기적이며 지속적인 영향력을 갖는 깊은 수준이 있습니다. 후자는 구조화된 프로세스를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일부 프로세스를 실행해도 일시적인 관점 전환이 일어납니다. 이 책은 후자에 초점을 맞춥니다. 관점 전환을 위한 6단계를 구성하는 개념들의 대표적 속성은 인식변화를 준비하는 관점 탐구와 탐구한 관점을 삶에서 실현하는 것입니다. 이들 두 범주는 각각 3가지 구체적인 실행으로 구현되며 각 실행은 단계적으로 전개됩니다. 각 실행을 이 책의 제1장부터 제6장의 제목으로 사용했습니다.

관점 탐구관점 실현1. 현재 관점을 파악한다.2. 관점을 자기 내면과 연결한다.3. 시스템적 관점으로 확대한다.4. 탐구한 관점을 수용한다.5. 결정적 관점을 선택한다.6. 선택한 관점을 삶에 적용한다.

관점 전환의 6단계 프로세스(이석재, 2014; 2023)

관점을 바꾸고자 할 때 내면은 본능적으로 저항합니다. 이때 사람들은 감정을 꾸며 내거나 사실이 아닌 것을 진실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미팅에서 상대방이 갑자기 핸드폰을 들고 대화에 집중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모습은 결례이며 당신을 무시하는 행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 사람은 아픈 가족에게 문자를 보내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당신을 만나기 전부터 대화에 집중하지 못하는 어려움에 처해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이때 당신이 기존의 관점을 모든 가능성에 열어 두면 상대방의 행동이 갖는 의미가 눈에 들어옵니다.

각자 처한 삶에서 관점을 탐구하면 불편한 상황에서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부정적인 생각에 휘둘리지 않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또 삶을 통해 학습한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내려놓고 성장 지향의 사고방식을 키워 보는 기회로 받아들일 수도 있습니다. 이전보다 더 긍정적인 사람으로 자신을 재창조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입니다.

“지금 당신의 결정적 관점은 무엇인가?”

이 질문은 간단하지만 촌철살인의 힘을 갖고 있습니다. 결정적 관점은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입니다. 당신도 이 책을 읽고 본인만의 결정적 관점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책의 집필 이유와 구성

이 책을 쓰게 된 주된 이유는 앞서 제시한 관점 전환을 돕는 6단계 실행을 누구나 쉽게 자신의 삶에서 적용하도록 알리기 위해서 입니다. 아울러 이 책을 통해 23년의 코칭 경험과 축적한 지식, 현장 검증을 통해 정립한 관점 코칭을 당신과 상세하게 공유하고자 합니다. 또 HR 컨설팅 전문가인 공동 저자와 시스템적 시각에서 필요한 전략과 기술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관점에 묶여 심리적 불안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로 인해 무기력해지는 삶을 극복하도록 돕기 위함입니다. 나아가 원하는 삶을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자기만의 관점을 찾을 수 있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이 책은 총 2개의 부로 구성했습니다. 제1부에서는 관점 전환이 일어나기 위한 준비 단계에서 필요한 관점 탐구활동을 소개했습니다. 이어서 제2부에서는 새로운 관점을 수용하고 선택한 후 개인의 삶에 적용하도록 돕는 관점 실현활동을 제시했습니다. 당신은 개인생활과 일터에서 총 여섯 가지 단계별 실행을 활용해 관점 전환을 전개하고 삶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 각 단계별 실행이 관점 탐구와 실현에 부합하도록 사용하는 대표적인 다섯 가지 기술(skill)을 제시했습니다. 아울러 당신이 단계별 실행과 실용적인 기술을 쉽게 이해하도록 현장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주인공의 이름을 가명으로 했고 담당 직무도 문맥에 맞게 수정했습니다.

관점 전환을 삶에 적용하기

삶의 과제를 대하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 행동을 근본적으로 바꿔 보고 싶은 강렬한 소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관점 전환을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삶에서 새로운 자유를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구상하고 잠재성을 끌어내어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또 코치, 상담사, 조직 리더, 인재개발 담당자, 교육 담당자, 교사, 간호사 등 다른 사람의 변화와 성장을 돕는 모두에게 이 책이 실행 지침서이며 참고서가 되길 소망합니다.

<6단계 관점 전환 프로세스 사례>

지금부터 관점 코칭으로 전개한 6단계 관점 전환 프로세스를 이해하도록 전체 진행을 개관할 수 있는 사례를 간략히 소개합니다. 당신도 사례의 주인공인 김지원 상무(코칭 고객)라고 생각하고 코치와의 대화를 따라가 보시기 바랍니다.

단계 1: 현재 관점을 파악한다

코치는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대화를 시작합니다.

“상무님, 오늘 어떤 말씀 나누고 싶으십니까?

“해외 신규 시장 개척에 대한 의견 차이로 다른 임원과 갈등이 있습니다.”

“의견 차이가 이슈인가요, 아니면 갈등이 이슈인가요?”

“오늘은 의견 차이에 대해 말씀을 나누고 싶습니다.”

“그럼, 해결하고 싶은 주제를 한마디로 요약해 보십시오.”

“해외 신규 시장 개척에 대한 의견 차이입니다.”

“의견의 어떤 차이를 보는 것일까요? 상무님이 보는 것은 무엇입니까?”

“사업 전망입니다. 저는 이미 검토한 사안이고, 추진한다고 해도 경쟁력이 없기 때문에 사업 전망은 비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업 전망을 보시는 데 지금의 관점은 비관적이라고 말할 수 있네요.”

“그렇습니다.”

첫 단계에서 고객이 해결하고 싶은 주제(이슈, 문제 등을 뜻함)를 찾습니다. 이어서 그 주제를 바라보는 고객의 관점을 도출하고 고객은 주도적으로 자신의 관점에 이름(예: 비관적 사업 전망)을 붙입니다.

단계 2: 관점을 자기 내면과 연결한다

관점은 특정 대상이나 현상에 대한 고객의 시각이며 이해하는 방식입니다. 코치는 질문과 경청을 통해 밖을 향한 고객의 시선을 내면에 두도록 안내합니다. 이때 고객의 정신 모형(mental model)이 의식에서 작동합니다. 정신 모형은 내적으로 표상된 사고 체계(또는 인지 구조)로 고객이 자신과 주위 환경을 보고 이해하는 인식 틀로 쓰입니다. 이것을 바탕으로 시선을 밖에 둘 때 관점이 드러납니다. 관점과 정신 모형의 연결은 고객과 코치가 서로 대화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 이 단계에서 고객의 학습과 성장이 이루어지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사업 전망을 비관적으로 볼 때 어떤 느낌을 갖습니까?”

“답답합니다. 한편 짜증이 나기도 하고. 종종 있는 일이라서 저는 괜찮습니다.”

“답답함을 느끼시는군요. 또 괜찮다고 하는 말씀에는 내면에 무엇인가 억누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억누르는 그것은 무엇일까요?”

“사실 저는 이미 작년에 같은 제안이 있을 때, 회사 차원의 결정이 확실히 내려졌다고 생각합니다. 현실성이 없다고 보고, 추진하지 않는 것입니다. 저는 무용하다고 생각합니다.”

코치는 이러한 대화로부터 고객이 조직 리더로서 책임 있는 의사결정을 할 의무에 충실하겠다는 태도를 읽었습니다. 코치는 의견 차이에 대한 비관적 관점을 명료하게 자각하도록 질문합니다. 또 코치는 고객이 이후에 어떤 행동을 했는지, 그 행동의 결과는 무엇인지, 결과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를 질문합니다. 이러한 질문을 통해 고객은 자신의 현재 관점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생각합니다. 이러한 생각이 명료할수록 변화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계 3: 시스템적 관점으로 확대한다

이 단계에서는 앞의 두 단계에서 전개한 활동을 다른 관점에도 적용합니다. 고객이 해결하고 싶은 주제를 여러 측면에서 보도록 시스템적 접근을 사용합니다. 새로운 관점은 고객이 선택할 수 있고 코치가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코치가 ‘새로운 기회’라는 관점을 제시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대화를 시작합니다.

“현재 상황이 당신에게 새로운 기회가 되도록 만들려면, 무엇이 필요합니까?”

“지금의 경영 실적으로 보면, 저 개인보다 회사 차원의 변화가 필요한 것은 사실입니다. 지금까지 보수적인 경영 전략으로 경쟁사에 밀린다는 경영진의 자성도 있고, 적어도 해외 시장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변화와 혁신의 모범 사례를 만들어야 한다는 요구와 관련 논의가 있습니다.”

“상무님의 말씀을 들으니, 새로운 도전을 무조건 반대하는 것은 아니군요.”

“그렇습니다. 저는 해외 시장을 선별하여 도전해 보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상무님이 생각하시는 선별 기준은 무엇입니까?”

“잠재적인 시장 규모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코치가 ‘새로운 기회’라는 관점을 제시하고 고객이 생각한 ‘잠재적 시장 규모’라는 새로운 관점을 찾았습니다. 이어서 새로운 관점의 가치, 느낌, 행동 등을 탐구합니다. 추가적인 관점을 찾아보기 위해 고객과 브레인스토밍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고객의 관점을 끌어내고 그 관점을 탐구하는 것입니다. 관점 전환을 위한 인식변화의 토대를 단계 1부터 단계 3까지에서 마련합니다. 이어서 단계 4부터는 관점 전환을 위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집니다.

단계 4: 탐구한 관점을 수용한다

고객이 탐구한 여러 관점은 이후 그의 생각과 느낌, 행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코치는 고객이 탐구한 관점이 지속적인 영향력을 갖도록 도움을 줍니다. 근본적인 도움은 고객의 관점을 그가 가지고 있는 삶의 목적과 연결하는 것입니다. 탐구한 관점에 대한 수용은 결정적 관점을 선택하기 위한 의사결정입니다. 수용을 통해 현실 인식을 마무리 짓고 내면의 저항을 해소합니다. 또 원하는 결과를 만들 가능성을 높이는 결정적 관점을 주도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로 옮겨 갈 심리 상태를 조성합니다.

“잠재적 시장 규모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당신의 삶의 가치와 어떤 관련이 있습니까?”

“코치님이 중요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저는 공정성을 중요한 삶의 가치로 설정하고 준수하고 있습니다. 지금 상황에서는 저의 관점보다 회사의 관점에서 공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임원으로서 저의 생각과 언행이 회사에 기여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고객의 관점을 그가 추구하는 삶의 목적(가치와 의미, 결과, 선한 영향력)과 연결한 후 다음 단계에서 효과성이 높은 관점을 선택하도록 생각을 정리하고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하도록 도와줍니다.

단계 5: 결정적 관점을 선택한다

이 단계에서 고객은 탐구한 여러 관점을 살펴보고 효과성이 높은 관점을 최종 선택합니다. 효과성이 높은 관점이란 고객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관점을 말합니다. 이와 같이 수용과 선택은 중요한 의사결정이며 밀접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 저와 살펴본 관점들을 간단히 돌이켜 보겠습니다(각 관점과 주요 내용을 리뷰한다). 어떤 관점이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무래도 잠재적 시장 규모를 고려하는 것입니다.”

코치는 고객이 가져온 해결하고 싶은 주제의 성격에 따라서 선택에 필요한 기준을 창의적으로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 살펴본 관점들 중에서 가장 울림을 주는 관점은 무엇입니까?”와 같습니다. 이어서 “잠재적 시장 규모를 고려한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무엇을 해 보시겠습니까? 언제까지 해 보시겠습니까? 당신이 그렇게 했다는 것을 코치가 어떻게 알 수 있겠습니까?”와 같은 질문을 통해 실행계획을 수립하도록 도와줍니다.

단계 6: 선택한 관점을 삶에 적용한다

코치는 마지막 단계에서 고객이 수립한 실행계획의 실천을 독려합니다. 또 관찰자의 입장에서 고객의 실천을 모니터링하고 피드백을 합니다. 실행이 궤도를 벗어나는 경우 교정이 필요한 점을 구체적으로 피드백해서 원하는 결과를 얻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고객은 관점 전환을 완성합니다. 외부 전문가의 도움 없이 진행하는 경우 당신 스스로 점검하고 피드백 합니다.

고객은 해외 신규 시장을 개척하는 데 있어 ‘사업 전망’에 집중하던 기존 관점을 ‘공정성’ 가치를 반영한 ‘잠재적 시장 규모’로 전환했습니다. 이러한 관점 전환에 따른 새로운 관점은 다른 임원과 후속으로 갖는 대화 내용에 적용되고 판단의 준거가 됩니다.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관점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루면 기존의 정신 모형을 보완하고 수정하게 됩니다.



<저자 소개>

이석재(Sukjae Lee)

코칭 펌인 코치올(Coachall) 대표 코치이며, 전문코치 1세대로 23년 이상 개인과 조직의 성공을 돕고 있다. 이를 위해 효과성 코칭 이론을 창안하고, 이론과 검증을 바탕으로 한 증거 기반 코칭을 실천하고자 효과적 리더십 진단(ELA), 팀 효과성 진단(TEA), 조직 효과성 진단(OEA)을 개발했다. 뉴욕 주립대학교(올바니)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씽킹 파트너등이 있다.

sukjae505@daum.net

https://thinkingpartner.co.kr

 

이종서(Jongseo Lee)

글로벌 컨설팅 펌인 Mercer Korea 수석 컨설턴트이며, PwC 등에서 국내외 기업을 대상으로 HR 컨설팅을 다년간 수행한 전문가이다. 해외 기업 M&A, 전략적 인력운영계획 수립, 인사제도 개선, GHR 등 다양한 HR 주제를 다루며 C-Level과 팀장들의 현실적 고민과 이슈를 해결했다. 최근 컨설팅과 코칭을 연계한 컨설팅적 코칭을 연구하고 있다. 영국 Leeds 대학교 대학원에서 인사관리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jslee907@outlook.com

<차례>

들어가는 글: 지금 결정적 관점으로 보는가 1

PART 1 어떻게 관점 전환을 탐구할 것인가

CHAPTER 01 현재 관점을 파악한다 18

관점을 명확하게 인식하기 19

같은 상황도 다르게 보려면 26

역발상을 통해 보기 34

타인을 통해 나를 보기 40

삶을 피하기보다 직면하기 46

CHAPTER 02 관점을 자기 내면과 연결한다 52

관점과 내면의 연결에서 변화 요구의 쓰임 53

방어심리의 변화에 집중하려면 74

내면의 긍정 자원을 자각하기 86

관점이 전하는 감정을 온전히 느끼기 91

관점이 내게 말하는 것을 기록 97

CHAPTER 03 시스템적 관점으로 확대한다 100

다차원의 시각에서 보는 방법 101

기존의 안전지대에서 벗어나기 112

호기심으로 질문하고 답하기 124

마음이 떠도는 심리와 관점 변화 133

판단을 멈추고 전체로 보기 147

PART 2 어떻게 관점 전환을 실현할 것인가

CHAPTER 04 탐구한 관점을 수용한다 160

관점과 삶의 목적을 연결하는 방법 161

비판하지 않고 관점을 마주하기 169

나를 온전히 받아들이는 심리 177

유연한 마음 갖기 186

효과적인 역할자의 수용 심리 197

CHAPTER 05 결정적 관점을 선택한다 208

효과성이 높은 대표적인 관점 209

중요하고 의미 있는 관점에 집중 216

변화를 이끌고 주도하기 222

잠재성을 끌어내어 발휘하기 232

더 나은 내가 되는 삶 추구 239

CHAPTER 06 선택한 관점을 삶에 적용한다 248

다짐을 공개적으로 선언하기 249

결정적 행동을 완성하는 5단계 방법 253

실행의도를 효과적으로 강화하기 259

실행의 과정과 결과를 점검하기 270

관점 전환의 성공 사례 분석 278

나가는 글: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291

참고문헌 294

불법복제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