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현대사회와여성상담
신간
현대사회와여성상담
저자
Suzanne Degges-White
역자
이슬기
분야
상담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08.31
장정
무선
페이지
520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7279-142-1
부가기호
93180
강의자료다운
-
색도
2도
정가
27,000원

초판발행 2025.08.31

여성이 각자 고유하게 경험하는 삶의 이야기는 상담실 안에서 조용히, 그러나 진한 울림을 전하며 삶에서 삶으로 이어집니다. ??현대사회와 여성상담??은 여성이 살아가며 겪는 다양한 어려움에 문화적으로 민감하고 임상적으로 섬세하게 개입할 수 있도록 돕는 상담적 관점을 제시합니다. 이 책은 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여성의 경험을 중심에 두는 상담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상담 및 임상전문가, 심리학을 공부하는 학부생과 대학원생은 물론, 여성으로 살아가며 질문을 품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이 통찰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현대사회와 여성상담??은 여성주의 이론의 기초에서 출발하여 청소년기부터 노년기까지의 생애주기별 상담을 포함해 진로, 가족, 사회적 지지, 우울·불안·중독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 장애여성의 삶, 간병과 돌봄 등 상담에서 흔히 마주하는 주제를 폭넓고 깊이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마지막 장에서는 상실과 애도에 초점을 맞추며 어머니, 배우자, 자녀 등 사랑하는 존재를 떠나보낸 여성들의 이야기를 사례 중심으로 풍성하게 담아냅니다. 각 장에 제시된 구체적인 사례와 개입은 이론과 실제를 잇고, 이러한 연결이 상담자 전문성을 높여 상담 실천으로 이어지기를 소망합니다.

 

이 책의 바탕에는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에서 받은 가르침과 상담 훈련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상담심리학의 유성경 교수님, 안현의 교수님, 설경옥 교수님께서 전해주신 학문적·실천적 유산이 번역 작업에 필요한 지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강의실과 상담실에서 만나는 생명력 있는 학생들과 내담자들은 이 책을 옮기기로 마음먹게 된 동기이자 영감이었습니다. 자신의 자리에서 묵묵히 내담자들을 성심으로 마주하는 동료 상담자들께 존경의 마음을 전합니다. 끝으로, 책의 편집과 완성, 출간에 이르기까지 힘을 더해주신 박영스토리 이선경 부장님과 조영은 대리님, 그리고 우리 가족에게 고마움과 다정한 마음을 전합니다. 저 역시 이 책에 머무르며 그랬던 것처럼 고통과 회복, 침묵과 저항, 상실과 창조의 여정을 걷는 이들이 ??현대사회와 여성상담??이 전하는 정직한 통찰 속에서 피어나는 위로를 경험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20258

이슬기

 

편저자 약력

 

 

Suzanne Degges-White, PhD. 노던일리노이대학교(Northern Illinois University) 상담 및 고등교육학과교수이자 학과장으로 재직 중이며, 성인기 전반과 삶의 전환기를 겪는 여성상담에 전문성을 가진 공인 상담 전문가다. 우정과 가족관계를 비롯한 대인관계를 주제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집필하였으며, Psychology Today의 초청 블로거이자 자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Marcela Kepic, PhD. 애리조나대학교(University of Arizona) 장애 및 심리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부부와 성인 생애주기 상담에 전문성을 가진 공인 상담전문가다. 공인 임상수퍼바이저로서 학생, 상담자, 수련생을 지도하며 논문과 저서 집필은 물론, 학술대회에서 활발히 발표하고 있다.

 

Wendy Killam, PhD. 스티븐 F. 오스틴 주립대학교(Stephen F. Austin State University) 휴먼서비스학과에서 상담 및 학생지원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교수다. 재활상담 자격을 갖춘 공인 상담전문가로서 성인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상담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대학생 상담에 전문성이 있다. 상담 및 학생지원 분야를 주제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집필하였다.

 

 

역자 약력

 

이슬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상담심리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여성가족부 청소년상담사 1급과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2급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에서 상담교수로 재직 중이며, 상담심리학, 현대사회와 여성상담을 가르치고 있다. 미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에서 포스터 발표로 수상하였고, 한국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미래의 사회 및 성격심리학자상과 박사학위논문 우수학위논문상을 받았다. 박사과정 중 미래인재장학금과 우수연구장학금을 수여받아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젠더와 상담심리 분야 논문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사회과학연구에 발표하였다.

 

 

 

Part 1 이론적 관점과 기초

CHAPTER 1 여성상 재구성: 여성의 복합적 정체성 3

CHAPTER 2 여성주의치료의 이론과 실제 20

CHAPTER 3 관계문화치료의 이론과 실제 34

 

Part 2 생애주기와 발달

CHAPTER 4 여성 청소년 51

CHAPTER 5 청년 여성 69

CHAPTER 6 중년 여성 89

CHAPTER 7 노년 여성 112

 

Part 3 진로 발달

CHAPTER 8 여성의 생애 진로 139

 

Part 4 가족과 관계

CHAPTER 9 원가족 문제 163

CHAPTER 10 불임을 경험하는 부부 176

CHAPTER 11 현대가족의 다양성과 변화 194

CHAPTER 12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 219

CHAPTER 13 사회적 지지체계 형성 232

 

Part 5 정서와 정신건강

CHAPTER 14 신체이미지 249

CHAPTER 15 낮은 자존감 265

CHAPTER 16 우울 276

CHAPTER 17 불안 293

CHAPTER 18 중독 307

 

Part 6 자기돌봄과 타인돌봄

CHAPTER 19 장애가 있는 여성 327

CHAPTER 20 가족을 간병하는 여성 340

 

Part 7 상실과 애도

CHAPTER 21 어머니를 사별한 여성 365

CHAPTER 22 배우자를 사별한 여성 390

CHAPTER 23 유산 및 사산을 겪은 여성 416

CHAPTER 24 자녀를 사별한 여성 433

 

참고문헌 450

찾아보기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