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8.29
역자 서문
특수교육학개론 강좌를 대학에서 가르친 지 벌써 13년이 지났다. 그동안 나는 학생들이 ‘깨달음을 기반으로 한 사고의 전환’을 통해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추고, 특수교육을 실천적 학문으로 깊이 체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중요한 교수 목적으로 삼아 왔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은 첫째, 교재의 이론을 바탕으로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고, 둘째,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 시청 및 분석을 통한 간접 학습 체험을 거쳐, 마지막으로 장애아동과 실제로 대면하여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을 직접 경험하는 입체적 학습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천적 학문인 특수교육에서는 특수한 교육적 요구를 가진 대상의 특성과 요구, 그리고 치료교육적 개입 및 중재를 증거기반으로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교재를 통한 이론 학습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내가 지향하는 입체적 교수 · 학습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지금까지는 주로 국내 저자들이 쓴 책을 주 교재로 사용했고, 해외원서나 번역서는 보완적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과 생성형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교육 현장이 급속히 변화했고, 특수교육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뉴 노멀 시대의 새로운 교육 환경에서 장애인의 삶의 질 역시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현장에서 직접 체감하였다. 이에 따라 특수교육학개론 강좌에서도 최신 이론과 실제를 균형 있게 담고 있는 시의성 높은 교재가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견한 책이 바로 『현대 특수교육학개론: 새로운 지평 제3판(원제: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Special Education: New Horizons, 3rd ed., 2024)』이다. 이 책은 특수교육학개론의 최신 연구 동향과 증거기반 실제를 균형 있게 제시할 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이후의 교육 환경 변화와 기술 혁신에 따른 특수교육 분야의 발전상까지 폭넓고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미국 특수교육의 역사와 법령, 주요 인물 및 사건을 심도 있게 소개하여 우리나라의 특수교육 법령 및 역사와 비교하며 강의하면 더욱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처음에는 미국의 역사적 배경이 다소 생소할 수 있지만, 특수교육 분야가 발달한 미국의 체계적인 발전사를 이해하는 것은 장애 및 특수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데 필수적이라고 확신한다. 이러한 내용들은 주로 1장부터 3장까지 다뤄지고 있으며, 4장부터 마지막 장까지는 각 장애 영역과 학생들의 특성 및 중재 방법을 증거기반으로 전문적이고 시의성 있게 제공하여 독자들에게 높은 만족감을 줄 것이다. 다만, 원서에 장마다 제공된 전체 111개의 비디오 링크(저자 서문에서 특정적으로 언급된 5개의 비디오 자료 링크는 각 예시 옆에 첨부하였으니 확인 바란다)와 미국 문화 및 교육 현장 사진들은, 본문과 직접 관련된 중요한 사진을 제외하고 원출판사의 동의하에 생략하였다. 본문과 직접 연관된 표, 그림, 부가 설명 박스 등은 모두 충실히 번역하여 보존하였다.
이 책의 공동 저자인 Deborah Deutsch Smith, Naomi Tyler, Kimberly Skow는 미국 특수교육 분야에서 존경받는 권위자들로, IRIS 센터(https://iris.peabody.vanderbilt.edu/)와 협력하며 특수교육의 증거기반 실제를 연구하고 보급하는 데 앞장서 왔다. 이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실제 사례와 최신 연구 결과, 구체적인 전략은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들이 특수교육학개론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실천하는 데 명확한 지침이 될 것이다. 각 장애 영역과 중재 방법, 문화적 다양성 및 형평성 이슈에 대한 실질적인 접근법뿐만 아니라 IEP 작성, 교육적 조정, 자기옹호, 자기조절 등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전략이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다. 본 교재의 장별 IRIS 모듈 정보는 저자 및 역자 소개 앞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은 특수교육학개론 강좌에 특화된 교재이다. 교직과정생들이 졸업하기 전에 장애 및 장애학생들, 나아가 특수한 교육적 요구를 가진 모든 학생들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과목이라는 점에서, 이 책의 다양하고 심도 있는 내용들은 예비교사들에게 매우 실질적이고 소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이 교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제기된 다양한 교육적 쟁점들까지 반영한 미국의 최신 특수교육학개론 교재라는 차별화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미국 교재의 특성상, 우리나라 특수교육 관련 내용이 교수 학습 과정에서 보완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을 특수교육학개론 교재로 활용하고자 하시는 교수님들께 다음과 같은 강의계획을 제안한다. 15주 강의계획 중 2~3주 정도를 한국적 맥락의 내용에 할애하여 주시기 바란다.
먼저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법적 기반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장애인복지법」을 1주에 걸쳐서 핵심 내용을 다루어 주시길 권한다. 이어서 특수교육의 주요 장애 영역별 특성과 지원 방안에 관한 내용을 1~2주에 걸쳐서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해 주시기 바란다. 이러한 한국적 맥락의 내용들이 본 교재의 이론적 토대와 결합될 때, 학생들에게 더욱 실질적이고 깊이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을 폭넓게 이해하고, 장애와 특수교육에 대한 깊고 풍부한 지식을 바탕으로 더 나은 통합사회 구현을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을 내딛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
2025년 8월 15일
나의 연구실에서
저자 서문
이 책에 관하여
『현대 특수교육학개론: 새로운 지평 제3판』은 오늘날 복잡한 학교 환경에서 다양한 예외성/예외적 특성(exceptionalities)을 지닌 학생들과 그 가족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해 집필된 교재다. 이러한 역할을 잘 수행하려면, 학생과 가족이 학교에 가져오는 고유한 학습 요구와 상황에 대한 전문적 지식, 기술, 이해가 필요하다. 이 교재는 대학생에게는 초등, 중등, 특수교육 교사 또는 학교 관리자, 관련 서비스 제공자 등 교육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첫걸음이 되는 입문 과정으로 자리 잡고 있다. 많은 경우, 이 교과목이 예외성 학생에 관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가 되기도 한다.
? 독자들에게 우리가 바라는 것은, 검증된 실제를 활용하고, 자신의 일에 몰입하며 열정을 가지고, 모든 학생을 소중히 여기는 효과적이고 역량 있는 교육자로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길을 제시하는 것이다.
? 우리가 스스로에게 세운 목적은, 가능한 한 최신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흥미로운 학습 경험을 창출하며, 그 과정에서 즐거움도 함께 나누는 것이다. 우리가 이를 어떻게 실현하는지 설명하겠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교육자가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는 도구를 갖추었을 때 자신의 일에 더 큰 만족을 느낀다고 굳게 믿는다. 그러한 도구들에는 자기조절 전략개발, 진도 모니터링, 기능적 행동사정평가(FBA)와 같은 연구기반 실제들이 포함된다. 각 장에서 그러한 실제들을 소개하고 텍스트, 표, 박스, 동영상 등을 통해 어떻게 실행되는지 설명하고 시연한다. 이 정보를 활용해, 경력 전반에 걸쳐 모든 학생의 성과를 향상시킬 더 나은 방법을 지속적으로 모색하는 독립적이고 비판적인 학습자로 성장하기를 바란다. 학교 교육과 교육 서비스는 전문가가 자신의 일에 열정을 가지고, 모든 아동을 소중히 여기며, 연구기반 및 증거기반 실제를 충실하게 적용할 때에만 진정으로 특별해질 수 있다. 이 교재가 그 여정의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
학습과 이후의 업무에 몰입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를 위해, 학습 선호도를 반영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내용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정보를 간결한 표와 그림, 그리고 학생, 가족, 그리고 그들의 특수교육 경험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사진을 통해 제시한다. 또한, 각 장의 도입 비네트와 인물 이야기 섹션에서는 Anderson Cooper, Michael Phelps, Helen Keller 등과 같이 장애를 지닌 인물들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소개한다. 더불어, 정보와 아이디어의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본문 내 인용표기를 의도적으로 제거했으며, 참고문헌은 각 장 끝에 따로 수록했다.
수년간 대학 강의, 교재 집필, 그리고 체계적으로 정보를 제시하는 온라인 IRIS 자료 개발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고, 이러한 경험을 이번 개정판에 반영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학습이 흥미롭고, 몰입할 수 있으며, 가능한 한 상호작용적이기를 기대한다. 학생들은 예외성을 지닌 개인, 그 가족, 교사의 관점을 직접 경험하길 원하며, 충실하게 실행된 효과적 실제가 짧은 정보 단위와 강력한 학습 보조자료로 제시되길 바란다. 또한 각 장이 일관된 방식으로 구성되어, 정의, 출현율 자료, 유아기·학령기·전환기·보조공학 등 다양한 정보를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 쉽게 알 수 있을 때 학습이 더 쉬워진다는 점도 발견했다.
특수교육은 정체된 분야가 아니라 역동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분야다. 따라서 이 교재는 최신 연구기반 지식에 근거해야 하며, 실제로 그렇다. 본문 내 인용표기는 없지만, 제시된 정보는 모두 고품질 연구 결과와 동료평가 학술지, 연방기관, 전문단체의 최신 지식에 철저히 기반하고 있다. 장애 출현율, 학생 인구통계, 교육적 배치에 관한 최신 자료와 함께, 거의 700건에 달하는 새로운 참고문헌이 이 교재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번 판의 새로운 내용
새로운 지평 3판의 많은 구성요소들은 새롭게 추가되었거나 크게 강화되었으며, 이는 독자의 관심을 끌고 실제로 유용하고 흥미로울 것이다. 이러한 특징 대부분은 장마다 체계적인 순서와 형식으로 제시된다. 다음에서 그중 일부를 강조한다.
장애를 가진 롤 모델에 대한 집중 강화. 각 장은 유명인, 덜 유명한 인물, 그리고 유명해져야 할 인물 등 다양한 실제 인물을 조명하는 도입 비네트(Vignette)로 시작한다. 이들은 모두 우리가 배울 수 있고 본받을 수 있는 실제 사람들이다. 각 도입부에서는 특별한 상황을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이 비네트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전투 중 두 다리와 왼팔 일부를 잃은 참전용사이자 상원의원인 태미 덕워스, 말더듬증이 있으면서도 2020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연설한 소년 브레이든 해링턴, 난독증을 가진 수상 경력의 배우 옥타비아 스펜서, 정신건강 문제를 사회적으로 알리고 있는 체조 선수 시몬 바일스, 영화 CODA에서 연기로 오스카 상을 비롯한 여러 상을 수상한 청각장애 배우 트로이 코처, 그리고 학습장애를 가진 시인이자 극작가, 옹호활동가, 강연자인 리데릭 혼 등이 있다. 이 비네트 대부분은 새롭게 추가된 것이며, 한 편을 제외한 모든 비네트에는 이들이 직접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동영상 링크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각 장애 범주별 장에 수록된 ‘개인 이야기’ 섹션에도 주목하길 바란다. 이 부분에서는 자신의 상황에서 도전에 맞서고, 타인의 삶에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는 인물들을 조명한다.
형평성과 다양성에 대한 강화된 내용. 우리는 개인적으로도, 전문적으로도 장애를 가진 학생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소외된 집단에서 온 학생들을 위한 형평성에 헌신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관련 주제의 다룸을 더욱 강화하고 풍부하게 했다. 1장에서는 미국 학교의 구성에 대해 다루며, 장애학생을 역사적으로 소외된 집단으로 강조한다. 2장에서는 오늘날 교육체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모든 학습자, 특히 다양한 집단 출신의 학생들을 다룬다. 3장은 문화적·언어적으로 다양한 학습자에 전적으로 초점을 맞춘다. 또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문화적 고려사항’ 박스에서는 소외집단 학생과 자원이 부족한 학교, 영어학습자의 학교 성취, 특정 집단 학습자의 과대·과소 판별, 인종 및 민족의 교차성, 빈곤과 환경적 위험, 흑인 학생의 불평등한 유급·정학·퇴학 경험, 두 문화(예: 청각장애문화와 루이지애나 케이준 문화)를 넘나드는 삶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새롭게 추가된 본문에서는 미국 농촌과 도시에서의 오염과 독성물질 노출 문제 등도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한다.
증거기반 교수에 대한 집중 강화. 본 교재는 연구기반 및 증거기반 실제의 활용을 일관된 주제로 삼고 있으며, ‘연구기반실제에 관한 심층적 탐구’라는 반복 박스를 통해 이를 더욱 강화했다. 이 박스에서는 자기조절, 자기옹호, 차별화교수, 점자 문해력, 기능적 행동사정평가(FBA) 및 행동중재계획(BIP), 그림교환의사소통시스템(PECS) 등 다양한 실제를 강조한다. 또한, 본문 전체에 걸쳐 이러한 박스를 뒷받침하는 별도의 섹션을 마련하여, 영어학습자를 위한 보호된 교수관찰 프로토콜(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등 다른 증거기반 실제에 대한 정보도 소개한다. 우리는 또한 ‘교사를 위한 팁’이라는 반복 박스를 통해, 실제로 효과적인 교수의 실천을 강조한다. 이 박스에서는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문화감응적·지속가능한 교수 실행,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개발, 자기옹호 기술 지도, 자기조절 기술 지도, 교실 일과·교수·환경 조정, 개별 학생의 요구에 맞춘 교수 조정, 긍정적 학습환경 조성, 일반적인 교실 문제 해결, 긍정적 사회적 상호작용 촉진, 겸상적혈구빈혈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실제적 전략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증거기반실제(EBP)는 특수교육에서 매우 중요한데, 이는 장애학생의 학업, 사회, 행동적 성과를 실제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과학적으로 입증된 교수 방법, 중재, 전략을 의미한다. EBPs는 학생의 개별적 요구와 강점, 연구 근거, 실제 적용 가능성, 가족의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적용하며, 충실하게 실행하고 학생의 진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특수교육에서 증거기반 실제를 활용하면, 학생의 학업·사회·행동적 성과가 향상되고, 모든 학생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증거기반 실제는 특수교육의 윤리적 표준이자 법적 요구사항(IDEA)으로, 교사는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의사결정을 내리고, 효과적인 교수·중재를 실현해야 한다.
다층지원체계(MTSS)에 대한 최신 내용. 이전 판에서도 다루었지만, 다층지원체계(MTSS)의 발전과 광범위한 도입으로 인해, 학업 성공을 위한 중재반응모형(RTI)과 수년간의 실패를 예방하는 조기 중재, 그리고 행동 및 정서 문제의 조기 예방과 지원을 위한 긍정적행동중재및지원(PBIS)에 대한 새로운 설명이 추가되었다. 이 혁신적인 교육 접근법은 2장에서 처음 설명되고, 6장(학습장애)과 10장(정서행동장애)에서 더 심화된다. 이러한 논의는 개별화된 데이터기반 중재와 자료 수집 체계의 실제적 설명과 함께 진행되며, 이러한 내용은 교재 전반에 걸쳐 확인할 수 있다.
부모와 가족에 대한 새로운 내용. 각 예외성 범주별 장에는 이제 최소 한 개 이상의 부모 및 가족 참여에 관한 섹션이 포함되어 있다. 주제에는 가족 구성원과의 협력, 의미 있는 학교/가정 파트너십 개발,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팀에서의 부모와 가족의 역할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자폐스펙트럼장애 장의 새로운 도입부에서는 자신의 아들을 포함한 자폐아동을 위한 혁신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어머니 Leslie Palanker를 다룬다. 이 장에는 또한 남편 Jean-Francois Dufresne와 자폐성 성인을 위한 주거 및 직업 프로그램을 개척한 그의 활동에 대한 여러 섹션이 포함되어 있다.
코로나19와 장애학생에 미친 영향에 대한 새로운 내용. 코로나19 팬데믹은 미국의 교육 전문가, 학생, 가족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그 장기적 영향은 학생의 학업 성취와 정신건강에 결코 과소평가될 수 없다. 또한 교육자들은 온라인 또는 혼합형 교수로 신속히 전환해야 했고, 이는 교육자들의 모든 노력을 다해도 충분히 대응하기 어려운 도전이었다. 따라서 본문 전반에 걸쳐, 적절한 곳에서 팬데믹의 부정적 영향?대부분 학생, 특히 도시 및 농촌 지역 학생들에게 한 해의 학습 손실, 기술(인터넷 접근, 태블릿·스마트폰·컴퓨터 등 전용 기기)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잘못된 가정, 정신건강에 미친 영향, 특히 맞벌이 가정에 가중된 혼란과 스트레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출현율 및 교육적 배치에 대한 최신 자료. 장애인교육법(IDEA)에 따라 지원받는 학생과 영재 및 재능아 학생의 출현율과 교육적 배치에 관한 최신의 정확한 국가 자료를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수록했다. 여기에는 새롭게 개발되거나 수정된 그래프, 도표, 표가 포함되어 있어 가능한 한 최신 정보를 제공한다.
장애인의 영화 및 미디어 속 등장과 포용에 대한 집중 강화. 영화와 미디어에서 장애인을 어떻게 묘사하고 통합하는지에 관한 다룸이 더욱 강화되고 최신화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관심뿐 아니라, 이 정보가 학습에 흥미를 더해주기 때문이기도 하다. 우리는 이러한 묘사가 사회가 장애와 차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바라보는지 보여주는 창을 제공한다고 굳게 믿는다. 이러한 논의는 대부분의 장에 걸쳐 흩어져 있으며, 2장과 4장을 제외한 모든 장에서 ‘영상 속에서’ 박스를 찾을 수 있다. 가능한 경우, 이 박스는 새롭게 추가되어, 장애인을 바라보는 사회의 현대적 시각과 관점을 반영한다.
장별 주요 내용 업데이트
? 1장, 예외성에 관한 고찰. 오늘날 미국 학교의 구성과 인구통계에 대한 새로운 논의; 특수교육 서비스의 필요를 예방하거나 줄이기 위한 조기중재 서비스의 개념; 장애 우선 언어와 정체성 우선 언어 모두에 대한 논의; Endrew F. v. Douglas County School District에 의해 명령된 부모의 증가된 역할에 대한 강화된 논의.
? 2장, 모든 학습자를 위한 지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학생들의 성취 하락에 대한 자료; 조정, 보편적 학습설계 틀, 그리고 차별화교수에 대한 강화된 논의; 사이버 괴롭힘의 증가와 피해를 받은 사람들에 대한 결과적 영향에 대한 새로운 정보; 실용적 예시와 함께 개별화된 데이터기반 의사결정과 다층지원 체계, 중재반응모형과 긍정적행동중재및지원 모두에 대한 추가 정보.
? 3장, 문화적 및 언어적 다양성 학습자. 환경 오염물질과 독소를 포함하여 저소득 유색인 지역사회에서 장애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들; 이러한 지역사회의 인프라와 역량에 대한 비극적 오해로 인한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 교차문화적 부조화에 대한 강화된 설명과 교사들이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고 가족들과 협력적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법.
? 4장, 기본 보장, 개별화된 프로그램, 그리고 전문화된 서비스. 무상적절공교육과 개별화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법률, 소송, 절차에 대한 견고한 기초 제공; Endrew F. v. Douglas County School District와 최소한의 진전 이상을 보장하기 위해 도전적이고, 야심적이며, 합리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적을 포함한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결과적 변화에 대한 명확한 논의.
? 5장, 말-언어장애. 말더듬이 있는 어린 소년에 대한 새로운 흥미로운 시작 이야기; 언어 차이 대 언어장애에 대한 확장되고 확대된 섹션들; 가정/학교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부모와 가족 섹션; 언어와 사회적 기술에 대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 6장, 학습장애. 잘 준비된 교사들과 반응적인 학교들의 중요성, 교사 부족, 그리고 학생 성취 저하를 초래하는 높은 교사 이직률에 대한 새로운 섹션들; 중재반응모형과 단계적 교수에 대한 업데이트된 다루기; 학습장애가 있는 대학생들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프로그램을 가진 대학들의 샘플 목록을 포함한 전환 계획과 대학 진학 준비; 중등교육 이후 교육의 준비와 참여에서 부모와 가족의 역할.
? 7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남학생들과 역사적으로 소외된 집단의 불균형적 대표성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내용; 약물치료와 그 효과성 모니터링에서 부모와 교사의 역할을 포함한 치료 접근법들; 504 계획 대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명확한 비교; 주의 문제가 있는 학생들에 대한 코로나19 팬데믹과 원격 학습의 영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가 있는 성공적인 사람들의 더 많은 예시; 새로운 기술과 앱.
? 8장, 자폐스펙트럼장애. 가족들에 대한 강화되고 새로운 섹션들; 출현율; 증거기반 실제; 고기능 개인들을 위한 고용 옵션과 중등도에서 중도 자폐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고용 및 생활 옵션을 포함한 전환; 부모 옹호활동; 근거 없는 치료에 대한 주의.
? 9장, 지적장애. 적응행동과 개인중심 체계 및 지원 네트워크에 대한 새로운 섹션들; 조기 중재 서비스; 지원고용과 대학 진학을 포함한 중등교육 이후 옵션들; 인종과 민족성, 빈곤, 그리고 환경적 위험의 교차점; 독립성을 지원하는 기술.
? 10장, 정서행동장애. 유급, 정학, 그리고 배치에 대한 새롭고 확장된 섹션들; 유아를 위한 고려사항을 포함한 행동과 사회적 기술을 위한 긍정적행동중재및지원과 단계적 중재; 부모와 가족 참여 및 행동 관리; 기능적 행동사정평가와 행동중재계획과 같은 증거기반 실제.
? 11장, 지체 및 건강장애. 응급 건강관리 계획에 대한 새로운 다루기; 청소년의 전환 요구; 자기옹호; 예방; 의지학과 로봇공학.
? 12장, 농과 난청. 장의 화면에서 특징과 연결되는 아카데미상 수상 청각장애 배우에 대한 새로운 흥미로운 시작 섹션; 전체 신생아 선별검사와 유아 사정평가 및 조기 발견에 대한 확장되고 새로운 다루기; 조기 중재 팀의 필수적 부분으로서의 가족; 농문화; 인공와우; 소프트웨어와 앱.
? 13장, 시각장애: 저시력과 맹. 역사적으로 소외된 집단과 빈곤층 사이의 불균형적인 시각장애 비율에 대한 새로운 자료; 가족의 역할; 점자 문해; 영화와 미디어에서의 포함; 기술의 발전.
? 14장, 기타 저발생률 장애: 중복장애, 시청각장애, 외상성 뇌손상. 가족과 유아기에 대한 새롭고 확장된 다루기; 어셔 증후군과 케이준 문화; 통합 놀이터와 여가 기회; 두 문화의 연결: 케이준과 농문화; 외상성 뇌손상 예방; 의학적 발전.
? 15장, 영재 및 재능아. 장애영재에 대한 확장된 다루기; 강점기반 접근; 서비스의 주별 비교; 역사적으로 소외된 집단을 포함하여 영재의 서비스 부족.
교육적 특징
장 시작 비네트(vignette). 각 장은 장애인, 옹호자, 또는 가족 구성원의 영감을 주고 흥미로운 프로필로 시작된다. 목적은 롤 모델인 실제 사람들을 특징으로 하여 독자들의 관심을 끌고 장의 내용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학습 목표. 장 시작 섹션에 이어, 명확하고 간결한 학습 목표는 학생들에게 각 장에서 학습하기를 기대하는 것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정의 표. 간결하고 읽기 쉬운 정의 표는 각 예외성에 대한 연방(장애인교육법)과 전문 조직의 정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확한 정의들은 각각에 대한 논의가 뒤따라 독자가 특수교육 서비스를 위해 각 범주에 포함되는 학생들에 대한 좋은 이해를 갖게 한다.
출현율과 배치 자료. 가장 최신 자료가 이해하기 쉬운 차트와 그래프로 제시되어 시간에 걸친 변화와 다른 학습자 집단과의 비교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도전과 해결책. 각 도전과 해결책 그림은 예외성에서 나오는 특정 문제들에 대한 정보 조각들을 제공하고 이러한 도전들을 다루는 방법에 대한 그래픽이 뒤따른다.
조정 표. 학생의 교수 활동에 대한 접근이나 참여를 방해할 수 있는 교수 환경의 장벽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표들은 교사들에게 제시, 환경, 반응, 그리고 일정 또는 시간 조정을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예시를 제공한다.
연구기반실제에 관한 심층적 탐구 박스. 각각 다른 연구기반실제에 초점을 맞춘 각 박스는 명확한 실행 절차를 제공한다.
문화적 고려사항 박스. 텍스트 전반에 걸쳐, 이러한 특징들 각각은 교육자들이 효과적이고 반응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 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다른 역사적으로 소외된 집단이나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영상 속에서 박스. 영화와 미디어는 예외성을 가진 사람들이 현재와 과거 모두에서 사회에 의해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한 중요한 렌즈이다. 이러한 묘사들은 고무적이고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이루어진 진전과 여전히 필요한 더 많은 것에 대한 중요한 점들을 만들기 위해 신중하게 선택되었다.
교사를 위한 팁 박스. 이러한 특징들은 교육자들에게 학생들을 지원하고 개별화교육프로그램에 명시된 교육 교육과정에서 그들의 성공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수 팁과 고려사항을 제공한다.
연대기. 역사적 맥락은 우리가 어디에 있었고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에 대해 우리 모두에게 알려준다. 그러한 비극적 오류를 반복하지 않도록 과거로부터 교훈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장 요약. 각 장의 내용 끝에 위치한 요약은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을 사정평가하고 확실하지 않은 개념들을 쉽게 검토할 수 있게 한다.
장 관련 참고문헌. 장 텍스트는 현재와 과거 연구에 철저히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읽기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텍스트 내 인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대신, 각 장의 내용에 대한 연구와 현재 정보가 모든 장의 끝에 제공된다.
Pearson 전자교과서, 학습 관리 시스템(LMS) 호환 사정평가 은행, 그리고 기타 교수자 자료
Pearson 전자교과서
Pearson 전자교과서는 사용하기 간단하고, 모바일에 최적화되며, 개인화된 읽기 경험이다. 이는 학생들이 오프라인일 때조차도 한 곳에서 쉽게 강조 표시하고, 노트를 작성하고, 핵심 어휘를 검토할 수 있게 한다. 완벽하게 통합된 동영상과 기타 풍부한 미디어는 학생들을 참여시키고 필요할 때 필요한 도움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것이다. Pearson 전자교과서에 접근하거나 로그인하려면 https://www.pearson.com/pearson-etext를 방문하라. 특징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비디오 예시. 각 장은 장과 교육학적으로 연계된 원리나 개념을 보여주는 비디오 예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디오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교실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예외성을 가진 개인들, 그들의 가족 구성원들, 그들의 교사들의 관점을 경험하고; 마지막으로 전문 교육자들이 중요한 장 주제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공유할 때 그들의 견해를 고려함으로써 현재의 특수교육 교수와 학습 실제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3판은 111개의 비디오 예시를 가지고 있으며, 거의 모두 이 판에 새로운 것이다.
3판에 포함된 비디오의 샘플은 다음과 같다:
비디오 예시 2.2: 5학년 교사가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와 지침을 어떻게 통합하는지 논의하고 시연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hCHTxTfkBsU
비디오 예시 6.1: Octavia Spencer가 자신의 평생에 걸친 읽기장애를 드러내고, 왜 아동을 위한 미스터리 소설 쓰기에 관심이 있는지 논의하며, 읽기를 즐기는 올바른 길로 자신을 이끈 2학년 교사에게 공을 돌린다: https://www.youtube.com/watch?v=SmJhV6fr-PA
비디오 예시 8.4: Jean-Francois Dufresne이 저기능 자폐인들을 위한 혁신적인 생활과 직업 기회를 시작하기 위한 자신의 여정을 공유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4UpEYfd1KvY
비디오 예시 11.3: 독립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자유를 허용하는 로봇 손과 같은 의지 기기의 진화로 인해 오늘날 이용 가능한 놀라운 가능성들에 대해 배운다: https://www.youtube.com/watch?v=6fEa6BtYWNM
비디오 예시 14.6: 보조공학이 어떻게 중복장애가 있는 아동을 위해 세상을 열어줄 수 있는지 배운다: https://www.youtube.com/watch?v=sOdhWRhBY7s
IRIS 센터 모듈. Vanderbilt 대학교에 본부를 둔 IRIS 센터는 장애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 전략들을 기술하는 상호작용 온라인 학습 모듈을 개발한다. 다양한 모듈들이 저자들에 의해 선택되어 Pearson 전자교과서에 연결되어 있다. 3판은 15장 중 12장에 IRIS 모듈에 대한 29개의 링크를 가지고 있다.
3판에 포함된 IRIS 모듈의 샘플은 다음과 같다:
IRIS 모듈 3.1: 문화적, 언어적 차이: 교사들이 알아야 할 것
IRIS 모듈 5.2: 학습 기술 전략 (1부): 학습 기술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기초
IRIS 모듈 8.1: 자폐스펙트럼장애: 교육자를 위한 개관
상호작용 용어집. 전자교과서의 모든 핵심 용어들은 굵게 표시되어 완전한 용어집 정의에 즉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이 읽으면서 빠르게 전문 어휘를 구축할 수 있게 한다.
LMS 호환 사정평가 은행
이 새로운 판과 함께, 모든 사정평가 유형들?퀴즈, 적용 연습, 그리고 장 시험?이 다음 학습 관리 시스템들을 위한 LMS 호환 은행에 포함된다: Blackboard, Canvas, D2L, 그리고 Moodle. 이러한 패키지 파일들은 가져오기, 과제 부여, 그리고 채점에 관해 교수자들에게 최대한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사정평가 유형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학습 목표 퀴즈. 각 장 학습 목표는 교수자들이 그들의 학습 관리 시스템을 통해 부여할 수 있는 학습 목표 퀴즈의 초점이다. 학습 목표들은 학습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장 내용을 확인하고 각 장을 위한 조직적 틀로 작용한다. 각 퀴즈의 고차원 객관식 문제들은 장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측정하고, 학습에 대한 기대치를 안내하며, 새로운 지식의 책무성과 적용을 알려줄 것이다. 각 객관식 문제는 학생들의 학습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정답과 각 선택지에 대한 피드백을 포함한다.
적용 연습. 각 장은 적용 연습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한 것을 적용할 기회를 제공한다. 3판은 45개의 적용 연습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41개는 비디오 기반이고 4개는 시나리오 기반이다. 각 장은 3개의 적용 연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습들은 단답형 형식이다. 학습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전문가가 작성한 모범 답안이 제공된다. 적용 연습들은 다음과 같은 적용 주제들에 초점을 맞춘다: (1) 교수 결정을 이끌기 위한 형성평가 자료 사용, (2) 다른 문화적, 언어적, 학업적 배경의 아동과 청소년과 함께 일하기, (3) 정서행동장애가 있는 학생들과 함께 사회적 문제해결 전략 사용, (4) 기능적 행동사정평가 계획의 효과성 평가, 그리고 (5)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는 사람들과 함께 학교에서 지역사회에서의 생활과 일로의 전환 계획.
장 시험. 제안된 시험 문항들이 각 장에 제공된다. 일부 문항들(하위 수준 질문들)은 학생들이 학습한 개념과 원리를 확인하거나 설명하도록 요구한다. 그러나 많은 다른 문항들(상위 수준 질문들)은 학생들이 그러한 동일한 개념과 원리를 특정 교실 상황들?즉, 실제 학생 행동과 교수 전략들?에 적용하도록 요구한다.
PowerPoint® 슬라이드
PowerPoint 슬라이드가 각 장에 제공되며 핵심 개념을 강조하고 텍스트의 내용을 요약하여 학생들에게 더 의미 있게 만든다. 종종, 이러한 슬라이드들은 또한 토론을 자극하고 학생들이 장 주제에 대한 이해를 정교화하고 심화시키도록 격려하기 위해 설계된 질문과 문제들을 포함한다.
참고: LMS 호환 사정평가 은행과 PowerPoint 슬라이드는 www.pearson.com에서 교수자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제목을 검색한 후, “I’m an educator”를 선택했는지 확인한 다음, “Instructor resources” 탭을 선택한다.
DDS, KGS, & NCT
저자 소개
데보라 도이치 스미스(Deborah Deutsch Smith)는 특수교육 입문 교재의 대표 저자로서, 초판 하드커버의 8개 개정판과 웹 기반 인터랙티브 버전인 New Horizons의 3개 개정판을 통해 지속적으로 활동해왔다. 그녀는 피처 칼리지(Pitzer College), 미주리 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를 졸업했으며,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노스리지 캠퍼스(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에서 일반 교육 교사 자격 준비 과정을 거쳤다. 스미스 교수는 뉴멕시코 대학교(University of New Mexico), 밴더빌트 대학교(Vanderbilt University), 클레어몬트 대학원 대학교(Claremont Graduate University)에서 특수교육학 교수로 재직했다. 그녀는 20권의 교재와 40편 이상의 장(chapter) 및 학술지 논문을 저술했으며, Alliance Project, 특수교육 수요 및 공급 평가, IRIS 센터 등 4천만 달러가 넘는 외부 자금 지원 프로젝트를 다수 감독했다. 또한, 수많은 상을 수상했으며 국제적인 발표 활동도 활발히 진행해 왔다.
킴벌리 가너 스코우(Kimberly Garner Skow)는 현재 미국 교육부 특수교육 프로그램 사무국(U.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Special Education Programs)의 지원을 받아 밴더빌트 대학교에 소재한 IRIS 센터의 부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스코우 부소장은 IRIS 센터의 증거 기반 교수 및 행동 실천 관련 자료 및 온라인 도구 제작을 조정하고 감독하는 것 외에도 20년 이상 IRIS의 주요 교육 설계자 및 자료 개발자 중 한 명으로 활동하면서 해당 분야의 최고 연구자들과 협력하여 그들의 연구 내용을 교육자들이 실제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로 전환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나오미 초두리 타일러(Naomi Chowdhuri Tyler)는 밴더빌트 대학교 피바디 교육·인간발달대학(Peabody College of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at Vanderbilt University)에 소재한 IRIS 센터의 소장이자 특수교육학 부교수이다. 이 교재에 대한 그녀의 연구는 학부 및 석사 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외성 입문’ 강좌를 15년간 강의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고등 교육 분야에 종사하기 전에는 뉴멕시코와 하와이의 농촌 및 도시 학교에서 다양한 인종, 민족 및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10년간 특수교육 교사로 근무했다. 타일러 교수의 전문 분야는 연구와 실제 간의 격차를 해소하고 모든 학생, 특히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과 장애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교육자들의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역자 소개
심성용은 서울대학교에서 특수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교 BK21PLUS 미래교육디자인 연구사업단에서 박사후과정을 수료하였다.
특수교육을 전공하기 이전에는 음악치료 전문가로 활동하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장애 유형의 특수교육 대상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풍부한 임상 경험을 쌓았다. 특히 음악 심리치료(Music psychotherapy)를 전문영역으로 하여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서 체계적인 훈련을 받았으며, 이러한 배경은 현재 치료교육 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을 확립하는 토대가 되었다.
2012년 1학기부터 현재까지 국내 20여 개 대학의 학부 및 대학원에서 특수교육학개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교육대학원에서는 10년 이상 예비 전문상담교사 및 현역 전문상담교사(1·2급)를 대상으로 특수아상담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하였으며, 현재는 서강대학교 대우교수와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를 겸임하고 있다. 이와 함께 경희대학교, 동국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에서 특수교육, 학교폭력예방, 상담 관련 과목들을 담당하고 있다.
역자 약력
심성용
서울대학교 특수교육 박사, PhD
Wilfrid Laurier University 음악치료 석사, MMT
Wilfrid Laurier University 음악치료 우등학사, BMT(Honours)
현) 서강대학교 대우교수
현)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현) 경희대학교/동국대학교/한양대학교 강사
전) 서울대학교/고려대학교/연세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 강사 & 중앙대학교 객원교수
전) 서울대학교 BK21PLUS 미래교육디자인 연구사업단 박사후연구원(Post-doc)
전) JB Music Therapy Inc. 선임음악치료사(Senior Music Therapist), Calgary, Canada
한국공인음악중재전문가 (KCMT)
미국공인음악치료사 (MT-BC)
캐나다공인음악치료사 (MTA)
대한적십자사 심리사회적지지 강사 (PSSI)
역자 서문 i
저자 서문 iii
제 1 장 예외성에 관한 고찰
예외성을 관점에서 바라보기 3
모든 학생 3
미국 학교의 구성 4
공립학교 인구의 변화 5
장애학생 6
IDEA 장애 범주 6
출현율(Prevalence) 8
영재교육 대상 학생 10
영재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서비스 10
간과되는 영재교육 대상 학생 11
장애와 사회적 정의 12
사회적 정의의 쟁점 12
시대에 걸친 장애인의 처우 12
영화에 반영된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14
역사적으로 소외된 집단으로서의 장애인 15
미국에서 장애인과 다른 역사적으로 소외된 집단의 경험 간 유사점 15
장애인의 옹호 활동 15
교육 참여 17
불평등한 교육 기회 17
통합학교 선택이 중요한 이유 18
변화 만들기 19
인식이 중요하다 19
인식과 태도의 영향 19
장애에 대한 다양한 관점 20
말의 중요성 21
신중한 소통 21
사람 우선 언어 vs. 장애 우선 언어 22
변화하는 환경 23
가족 참여의 증대 23
학업 성과 24
오늘날 장애학생 교육의 현황 24
더 큰 진보가 가능하다 24
고등교육에서의 성취 25
고등교육 참여 25
대학 참여 및 성취를 위한 지원 26
지역사회 참여 26
사회 및 일상생활 속으로의 통합 26
지역사회 접근성 향상을 위한 환경적 조정 27
요약 30
참고문헌 31
제 2 장 모든 학습자를 위한 지원
학교 성공을 위한 토대 마련: 양질의 수업 37
쟁점 이해: 학생 수행과 결과 37
증거기반실제(Evidence-Based Practices, EBP) 41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43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및 차별화교수(Differenatited Instruction, DI) 45
내용 46
과정 46
학습산출물 46
학습 환경 47
차별화교수와 보편적 학습설계: 비교 47
데이터기반 의사결정(Data-Based Decision Making) 48
다층지원체계(Multi-Tiered System of Supports, MTSS) 50
중재반응모형(Response To Intervention, RTI) 50
긍정적행동중재및지원(PBIS) 53
요약 56
참고문헌 57
제 3 장 문화적 및 언어적 다양성 학습자
다양성 학습자 65
다양한 환경 65
사회정의 쟁점 69
팬데믹의 영향 73
팬데믹 이후 학업 회복 74
불균형성 이해 75
문화적 다양성 78
불협화의 이해 78
문화 간 불협화를 예방 80
문화감응적이고 지속적인 수업 제공 82
부모와 가족 85
언어적 다양성 86
제2언어 습득 이해 86
영어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실제 89
요약 92
참고문헌 93
제 4 장 기본 보장, 개별화된 프로그램, 그리고 전문화된 서비스
장애학생 교육 105
연방 법률 105
기본 보장사항 107
엔드류(Andrew) F. 사건과 교육적 이익 110
장애아동 조기발견 및 서비스연계 112
IEP와 504조 과정의 단계 114
절차적 요구사항 116
부모와 가족 116
개별화 교육: 계획과 프로그램 118
IFSP와 IEP 118
IFSP와 IEP의 기본 요소 119
행동 및 중등 전환을 위한 추가 IEP 구성요소 121
수업 조정(Accommodation)과 수정(Modification)의 차이 123
실질적 요건 125
서비스, 인력, 그리고 환경 125
개별화 서비스 125
전문 인력 128
환경의 연속체 129
요약 134
참고문헌 135
제 5 장 말-언어장애
말-언어장애 기술 141
말-언어장애 정의 141
말-언어장애의 유형 142
말장애 144
언어장애 145
특성 146
출현율과 배치 149
특수교육 151
도전과 해결책 151
도전: 표현, 수용, 그리고 화용론적 어려움 151
해결책: 언어재활 및 기타 지원 154
조정 156
조기중재 157
판별 158
조기중재 서비스 160
학령기 162
전환교육 163
부모 및 가족 165
팬데믹의 영향 167
사람과 상황 168
기원과 역사 168
개인 이야기 169
미래 전망 170
예방: 의학적 및 환경적 중재 170
기술: 의사소통 개선 172
요약 174
참고문헌 176
제 6 장 학습장애
학습장애 기술 185
학습장애 정의 185
학습장애 설명 185
학습장애 판별 186
학습장애 유형 188
세 가지 학습장애 유형 189
학습장애 유형들이 어떻게 중첩되는가 190
특성 191
공통적 특성 191
추가적 특성 193
출현율과 배치 194
출현율 194
배치 195
특수교육 196
도전과 그 해결책 196
학습장애와 관련된 도전 197
학습장애 해결 방안 198
도전과 해결책: 잘 준비된 교사들과 반응적인 학교가 중요하다 199
조정 201
학습장애학생들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이점 201
추가적인 개별화된 조정의 필요성 202
조기중재 204
학습장애의 조기 경고 징후 204
조기중재의 이유 204
학령기 204
효과적인 교수 중재 204
학습전략 교수 206
전환 206
중등후 생활 준비 206
대학 선택 고려사항 207
부모와 가족: 대학 준비와 참여에서의 역할 209
사람과 상황 211
기원과 역사 211
학습장애의 기원 211
학습장애의 진화 213
개인적 이야기들 215
롤 모델: 장애를 가진 성인들 215
학습장애에 초점을 맞춘 조직들 215
미래 전망 216
예방: 보건의료와 기술 발전 216
기술: 적절한 보조공학 선택 218
요약 220
참고문헌 222
제 7 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설명 234
ADHD 정의 234
ADHD 판별 235
ADHD의 유형들 236
부주의 236
과잉행동/충동성 237
복합형 238
ADHD의 특성 238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 간의 공통점 238
긍정적 특성들 240
출현율 240
특수교육 서비스를 받는 ADHD 학생들의 출현율 241
ADHD 학생들의 불균형적 대표성 242
특수교육 246
도전과 그 해결책 246
ADHD와 관련된 도전들 246
ADHD를 줄이거나 극복하는 해결책들 247
ADHD 약물치료 모니터링을 위한 부모 파트너십: 가족, 학교 전문가, 그리고 의사들 249
조정 250
부주의 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을 위한 조정들 250
과잉행동과 충동성을 보이는 학생들을 위한 조정들 251
조기중재 252
어린 아동들의 ADHD 판별 252
조기중재를 위한 증거기반실제 253
학령기 255
ADHD 학생들을 위한 학교 서비스 256
일반교육 교실에서 ADHD 학생들 지원하기 258
코로나19 팬데믹과 ADHD 학생들 258
전환 259
ADHD 학생들을 위한 전환 목표들 259
ADHD에 초점을 맞춘 조직들 261
사람과 상황 261
기원과 역사 261
질환으로서의 ADHD의 기원 261
초점 변화: 관찰에서 연구와 교육으로 262
개인적 이야기들 263
ADHD를 가진 성공적인 사람들 263
문학, 아동 이야기, 영화: ADHD를 가진 캐릭터들 264
미래 전망 265
예방: 새로운 연구 265
ADHD 예방 266
입증되지 않은 예방 및 치료 대안들 266
기술: 적절한 보조공학 선택 267
ADHD를 가진 개인들을 돕는 기초 공학과 앱 267
조직화 및 보조 소프트웨어 268
요약 270
참고문헌 272
제 8 장 자폐스펙트럼장애
ASD의 설명 279
ASD 정의 279
ASD 설명 281
원인 282
ASD와 관련된 용어들 282
중증도 수준 282
특성 283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과 관련된 ASD의 특성 283
제한적이거나 반복적인 행동과 관련된 ASD의 특성 284
출현율과 배치 286
시간에 따른 출현율 286
증가하는 출현율 288
특수교육 290
문제들과 그 해결책들 290
ASD와 관련된 문제들 290
ASD 문제들의 완화 또는 극복 292
조정 293
교수적 조정 294
행동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조정 295
조기중재 296
ASD의 조기 지표 296
기능적 의사소통 기술을 개발하는 검증된 실제 296
학교시기 298
교실 전략과 실제 298
연구기반실제와 지원 299
전환교육 303
고등학교 졸업 후 전환교육 준비 303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는 개인들을 위한 고용 선택권 305
중등도에서 중도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는 젊은 성인들을 위한 생활 선택권을 가진 고용 307
가족과 전환교육 결정 308
사람과 상황 309
기원과 역사 309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역사 309
백신을 둘러싼 잘못된 정보 311
개인 이야기들 311
일부 자폐가 있는 사람들의 경험 312
가족에 미치는 영향 312
변화를 만들기: 비브르 에 트라바예르 오트르망(다르게 살고 일하기)....................................313
미래 전망 315
예방: 새로운 연구 315
자폐스펙트럼장애 예방 315
새로운 치료들: 부모들을 위한 주의사항 315
공학: 적절한 보조공학 선택하기 317
앱 고려사항 317
부모와 교사를 위한 앱들 318
요약 320
참고문헌 322
제 9 장 지적장애
지적장애 설명 329
지적장애 정의 329
지적장애 설명 329
지적장애의 정의적 특징 331
지적장애의 유형들 332
지적장애의 중증도 결정하기 332
원인 335
지적장애의 특성 336
인지와 적응행동 간의 관계 336
지원의 필요성 발생 337
출현율과 배치 337
예상보다 낮은 출현율 337
통합 비율 338
특수교육 339
도전과 해결책 339
지적장애로 인한 도전 340
해결책으로서의 지원 341
조정과 수정 343
경도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조정 343
중등도 및 중도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수정 344
조기중재 345
조기중재 서비스 345
유아교육 346
학령기 346
기능적 교육과정 346
자기결정 347
전환 348
성인기 결과 348
전환 프로그램 349
고등교육 이후 선택지 349
지원고용 350
사람과 상황 350
기원과 역사 350
지적장애를 위한 특수교육의 시작 350
사회 정의의 발전 351
개인적 이야기들 353
새로운 존중 353
한 가족의 참여 유산 353
미래 전망 355
예방: 환경 보호 355
판별과 예방의 연결 355
공공의 잘못된 정보의 위험 356
기술: 연결과 일정 관리 357
기술의 혜택 357
자기결정을 지원하는 기술 358
기술: 지원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359
요약 361
참고문헌 363
제 10 장 정서행동장애
정서행동장애 설명 372
정서행동장애 정의 372
정서행동장애 설명 372
장애인교육법 정의에 대한 우려 373
정서행동장애의 유형 375
정서행동장애의 일반적 유형 375
덜 인식되는 정서행동장애 유형 375
특성 376
외현화 행동의 특성 376
내재화 행동의 특성 377
출현율과 배치 378
다른 장애와 비교한 정서행동장애의 출현율 379
배치 379
유급, 정학, 그리고 배치 결정 379
특수교육 383
도전과 해결책 383
정서행동장애학생들이 직면하는 도전 383
이러한 도전에 대한 해결책 384
행동과 사회적 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다층 체계 386
부모와 가족 참여 및 행동관리 388
조정 388
외현화 행동을 다루기 위한 조정 388
내재화 행동을 다루기 위한 조정 389
조기중재 390
어린 아동의 정서행동장애 원인 390
정서행동장애의 조기 경고신호 391
어린 아동을 위한 다층지원체계의 적용 391
학령기 392
행동과 사회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다층적 틀의 실행 392
1층: 모든 이를 위한 1차 예방 –전략과 지원에 대한 초점 392
2층: 일부 학생 –중재와 지원에 대한 초점 394
3층: 소수 학생 –집중적인 중재와 지원에 대한 초점 397
전환 399
중등후 결과 399
중등후 결과 개선 399
사람과 상황 400
기원과 역사 400
정서행동장애가 있는 사람에 대한 역사적 치료 401
정서행동장애가 있는 사람에 대한 긍정적 치료의 사례 403
개인적 이야기 404
정서행동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긍정적 사례 404
정서행동장애 아동과 청소년 및 그들의 가족을 지원하는 조직들 406
미래 전망 406
예방: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접근 406
정서행동장애의 과소판별 406
예방: 총기 폭력과 정신질환 407
기술: 현재 고려사항과 미래 가능성 409
정신건강을 다루는 기술 409
미래 가능성 409
요약 410
참고문헌 412
제 11 장 지체 및 건강장애
지체 및 건강장애 설명 423
지체 및 건강장애 정의 423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지체 및 건강장애 423
지체 및 건강장애와 특수교육 서비스 424
지체 및 건강장애의 유형 425
주요 지체장애 425
특성 426
지체 및 건강장애의 특성 426
일부 상태의 공통 특성 427
출현율과 배치 428
각 상태의 정확한 출현율 정보는 알려지지 않음 428
교육배치 429
특수교육 429
도전과 그 해결책 429
지체 및 건강장애가 있는 학생이 직면하는 공통 도전 430
지체 및 건강장애에 대한 공통 해결책 430
조정 431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 432
물리적 환경에 대한 장벽 제거 434
조기 중재 434
질병과 상태의 조기 판별 434
신생아 선별검사가 장애의 영향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435
학령기: 건강 응급상황, 건강관리, 발작, 그리고 다학제팀 436
의료 응급상황에서의 교사 역할 436
가족: 학교에서의 건강관리에서 그들의 중요한 역할 437
학교에서의 발작 437
관련서비스의 역할 439
건강장애가 있는 청소년의 전환 요구 440
사람과 상황 443
기원과 역사 443
시간에 걸친 불공정하고 부당한 대우 443
시민권과 주류 사회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는 장애인의 역할 444
개인적 이야기 446
둔감한 가치관이 상처 주는 태도가 된다 446
태도 변화 447
미래 전망 448
예방: 사고와 질병 448
지체 및 건강장애의 발생률을 줄이기 위한 예방 448
지체 및 건강장애의 영향 감소 449
기술: 의지학(보철학)과 로봇공학 450
신기술: 의지학 451
신기술: 로봇공학 451
요약 453
참고문헌 454
제 12 장 농과 난청
농과 난청의 기술 461
농과 난청의 정의 461
청각 과정 461
장애인교육법 정의 462
청력손실의 판별 463
신생아 선별검사와 영아 사정평가 463
청각 평가 464
청력손실의 유형 465
특성 466
청력손실의 영향 466
청력손실과 청각정보 처리능력 간의 관계 468
출현율과 배치 469
학생 수 469
배치 470
특수교육 471
문제와 해결책 471
청력손실의 문제 471
청력손실의 문제 극복 472
조정 474
난청학생을 위한 조정 474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조정 475
조기중재 476
조기중재 서비스 477
가족: 농과 난청아동을 위한 조기중재팀의 필수적 부분 477
학령기 478
통합 환경에서의 농과 난청학생들 478
청각장애학생과 난청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 480
전환교육 481
중등후 교육 기회 481
전환지원 482
인물과 상황 482
기원과 역사 482
수어와 농공동체 482
사회정의를 향한 길 484
개인 이야기 484
더 통합적인 사회 485
지원 기관 및 단체 485
미래 전망 486
예방: 전수 선별검사와 환경 소음 노출 486
조기 발견의 발전 486
청각장애 예방 487
기술: 보청기, 임플란트, 그리고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488
보청기의 유형 488
의학적 혁신 490
혁신적인 소프트웨어와 앱 491
요약 492
참고문헌 494
제 13 장 시각장애: 저시력과 맹
저시력과 맹의 설명 501
저시력과 맹의 정의 501
시력 과정 501
시각장애의 정의 502
저시력과 맹의 유형 503
시각장애 판별 503
시각장애의 유형과 원인 506
특성 508
시각장애의 신체적 및 학습 특성 508
놀이 510
사회적 기술 510
출현율과 배치 511
출현율 512
배치 513
특수교육 514
어려움과 그 해결책 514
어려움 514
해결책 514
조정 515
모든 시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조정 515
저시력 학생들을 위한 조정 516
맹 학생들을 위한 조정 517
교실 환경에 대한 조정 517
조기중재: 운동 및 개념 발달 518
초기 운동 발달과 시력 손실 518
맹 아기들의 가족: 유아기 동안의 중요한 역할 518
학령기: 확장된 핵심 교육과정 521
시각장애학생들이 습득해야 하는 추가 기술들 521
보행지도기술 학습 522
점자 523
전환 524
시각장애가 있는 성인들의 고용과 시각장애가 없는 성인들의 비교 524
중등교육 이후 성공에 기여하는 요소들 525
인물과 상황 528
시각장애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528
미국의 시각장애학생들 통합교육의 역사 529
오늘날 분리된 전문학교(특수학교)의 사용 529
개인적 이야기들 529
영화에서의 통합 530
시각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성취 530
미래 전망 531
예방: 의학적 발전과 의료 기술 531
기술, 보조공학, 앱, 그리고 소프트웨어의 발전 532
요약 534
참고문헌 535
제 14 장 기타 저발생률 장애: 중복장애, 시청각장애, 외상성 뇌손상
기타 저발생률 장애 설명 542
중복장애 542
중복장애 정의 542
중복장애와 관련된 특성 542
외상성 뇌손상 543
외상성 뇌손상 정의 543
외상성 뇌손상과 관련된 특성 543
시청각장애 544
시청각장애 정의 545
시청각장애와 관련된 특성 545
출현율과 배치 546
저발생률 장애의 유병률 546
배치 548
특수교육 549
조정 549
자주 사용되는 조정의 유형 549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과 지식 입증 550
조기 중재 551
영유아 조기 발견 551
조기 중재 서비스의 유형 553
가족들: 생애 초기, 행동할 때 554
조직과 기관들 554
학령기 555
효과적인 중재들 555
최중도장애학생을 위한 특성화교수 555
전환교육 557
개별화교육계획의 전환교육 구성요소 558
기능적 기술 가르치기 560
사람들과 상황들 560
기원과 역사 560
롤 모델과 변화 주도자 560
주요 역사적 전환점 561
개인적 이야기들 562
지역사회 참여 562
통합 실제 565
미래 전망 565
예방: 외상성 뇌손상(TBI) 565
외상성 뇌손상의 주요 원인 565
외상성 뇌손상 예방 566
기술: 접근성 향상 568
의사소통을 위한 기술 선택사항 568
접근성 개선을 위한 기술 선택사항 568
의학적 발전: 더 밝은 미래의 약속 570
요약 571
참고문헌 573
제 15 장 영재 및 재능아
영재 및 재능아의 정의 577
영재 및 재능아의 정의 577
영재학생 판별 578
특성 582
출현율과 배치 586
특수교육 588
도전과제들과 그 해결책들 588
도전과제들 588
해결책들 591
조정 592
조기중재 596
학령기 599
부모와 가족 602
전환 602
사람들과 상황들 604
기원과 역사 604
개인적 이야기들 607
미래 전망 610
해결해야 할 과제 610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의무화되지 않았다 610
영재 프로그램에서 소외되는 학생 집단들 612
기술: 확장되는 선택지 615
요약 618
참고문헌 619
용어집 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