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AI 디지털 교육의 윤리적 실천
신간
AI 디지털 교육의 윤리적 실천
저자
우정길 외6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08.15
장정
무선
페이지
212P
판형
신A5판
ISBN
979-11-7279-130-8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색도
1도
정가
17,000원

초판발행 2025.08.15


본 저서는 2025년 2월 7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교육발전연구원이 공동으로 개최한 포럼 “AI디지털 시대의 윤리와 가이드라인”에서 발제되고 논의된 내용을 담고 있다. 교원의 양성과 재교육을 위해 운영되는 교육대학원의 취지에 부합하고자 포럼이 목적하였던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AI디지털 시대에 교사의 양성과 재교육 과정에서 보수(保守)되어야 할 윤리적 토대와 울타리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확인하고 잠정적 합의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과, 둘째, AI디지털 시대에 교단에 서게 될 교사들이 각자의 교육적 실천 속에서 준수해 나가야 할 교육윤리의 준거들을 탐색하여 제안하는 일이다. 

이러한 취지를 담은 포럼을 기획하게 된 것은 넓게 보자면 AI디지털 기술의 비약적 발전이 그 문명사적 배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는 전례 없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기술의 발달을 목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 진보의 현상은 근본적으로 환영할 만한 것이다. 아울러 이것은, 역사가 증명하듯이, 피할 수도 없고 막을 수도 없는 성격의 것임은 물론이며, 단순히 한 개인이나 집단이 눈을 감는다고 해서 이 거대한 흐름이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의 모든 미래 기획을 휘감고 있는 이 거대한 담론이 인간과 교육, 그리고 인간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토대를 약화시키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모종의 염려가 우리 사회에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기실 근래 교육(학)계의 최대 화두는, 한국 교육사회의 구성원의 희망 여부와 무관하게, AI디지털임이 분명하고, 그 여파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동시에 위와 같은 염려는 교육학의 핵심 가치인 인간과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매우 타당하다. AI디지털은 인간에 의해 발명되어 급속한 진화를 거듭하고 있지만, 정작 자연으로서 인간 자신은 급발진에 가까운 이 진보의 와중에 모종의 소외를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인간교육 역시 이러한 지체현상의 일부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AI디지털 문명의 흐름 속에 있는 인간과 교육 그리고 인간교육을 둘러싼 사회적 염려는 충분히 타당하다.

본 서문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염려의 저변을 이루는 21세기 사회과학 담론의 두 가지 큰 흐름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이것은 본 저서의 포괄적 계기인 AI디지털 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동시에, 혹은 그로 인하여 더욱 가속화하고 있는 사회과학계 내부의 담론의 흐름, 즉 탈인간중심주의 경향 및 교육의 잠식 현상에 관한 것이다.

본 저서를 통해 “일시 멈춤”의 계기를 제공해 주신 저자들께 진심어린 감사를 드린다. 이 “일시 멈춤”은 물리적 시간적 정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는 여하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적 의사결정들에 대한 질문이 내포되어 있고, 현재와 미래 사이에서 변화를 거듭해 가는 다층적 세계를 향한 전문가들의 다관점적 안내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인간중심주의로부터 탈피하라는 거대담론적 요청에 따라 인간의 존재론적 위상이 약화의 일로를 걷고 있는 오늘날, 그리고 교육의 효능과 의의에 대한 회의가 깊어지고 있는 21세기에, 본 저서의 저자들이 “윤리적 실천”의 표제 아래 던지는 질문과 제안의 행간에서 우리는 인간과 교육의 의미와 인간교육의 지향점을 조우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우정길 (Jeong-Gil Woo)

독일 유스투스-리비히 기센대학교(Dr.Phil. 교육철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주요 논문·저역서] Lehren und Lernen mit Bildern(2008) Lernen und Kultur(2010) 마틴 부버의 교육강연집(2010) 포스트휴머니즘과 인간의 교육(2019) Phänomene der Bildung und Erziehung(2019)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2019) 한나 아렌트와 교육의 지평(2020) Confucian Perspectives on Learning and Self-Tranformation(2020)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2020)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학(2021) 김정환의 민족과 종교와 교육(2021) 독일교육학의 전통과 갈래(2023) 전지전능 판타지와 교육의 길(2025) 


이은배 (Eunbae Lee)

미국 조지아대학교(Ph.D. 교육공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주요 논문·저역서] A design framework for enhancing engagement in student-centered learning: Own it, learn it, and share it(2016) 박물관 디지털학습 설계를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교수설계 모형 개발 연구(2020) 학습자중심 수업을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2020) Roles of autonomous motivation, individualism, and instructor support in student-centered learning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2021)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online and blended STEM learning with grounded design(2022)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윤리 지침 개발(2023) Design-based research to develop design principles for collaborative learning in asynchronous distributed online groups(2025) Supporting student agency through student-centered learning across educational contexts(2025)



김형주 (Hyung Joo Kim)

대한민국 고려대학교(Ph.D. 교육측정·평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년정책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前)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위원

[주요 논문·저역서] 디지털교과서·스마트교육 연구학교 대상 시계열 효과분석 연구(2014) 청소년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2019) 청년 사회·경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Ⅴ)(2020) 서울특별시 청소년시설 종합성과평가 평가지표 개선 연구(2020)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연구(2021) 2020년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2021) 청년정책의 패러다임과 전략과제 연구(2022) 청년지원 패키지 사업화 방안 및 제도개선 연구(2022) 청년 빈곤 실태와 자립안전망 체계 구축방안 연구(Ⅲ)(2023) 청년의 결혼 및 출산 인식과 세대지향적 저출생 정책지원망 구축 연구(2024) 한·중·일 청년의 일과 직업에 대한 가치관 변화 분석(2024)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한 한국형 Erasmus+ 모형 구축 방안 연구(2024) 


이영태 (Youngtae Lee)

대한민국 서울대학교(Ph.D. 교육공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주요 논문·저역서] 학습지원 담당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2022) 문해력 향상을 위한 책열매 낱말 학습 게임 사용성 평가 연구(2022)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2024) 문해력 지도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2024)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 제공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교수학습 방안 연구(2024, 2025)  

이지연 (Ji-Yeon Lee)

미국 인디애나대학교(Ph.D. 교육공학)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부회장

[주요 논문·저역서] 체제적 학교혁신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19)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수업의 도전과 과제(2020) 학습자중심 수업을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2020)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유형 및 운영방식에 따른 대학생의 수업만족도 차이 분석(2022) 예비교사의 미래교육 역량모델 개발 연구(2023) APEC 국제교육협력사업을 위한 교육정책가의 교육정보화 역량모델 개발 연구(2023) 공교육에서 ‘에듀테크 활용 맞춤형 학습’의 의미와 실행방안 탐색(2024) PST(Pedagogy-Space-Technology) 모형을 중심으로 살펴본 국내 학습환경 연구동향과 초등교실 공간 재구성 방향(2025) 


한석훈 (Suk Hoon Han)

미국 시카고대학교(Ph.D. 교육철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객원교수 및 인성교육센터장

서강대학교 강사

[주요 논문·저역서] 유진의 학교-동·서양 교육 이상의 만남(2009) 선생이란 무엇인가(2012) 교원양성 및 연수 과정에서 개인사적 성찰을 통한 교사 헌신도 제고 방안 모색(2015) 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2018) 죽음과 친해지는 삶-심층심리학습소설(2021) 융 심리학이 밝혀준 추억 속 만화의 비밀(2023)


한정윤 (Jeongyun Han)

대한민국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Ph.D. 데이터과학)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주요 논문·저역서] Learning analytics dashboards for adaptive support in face-to-face collaborative argumentation(2020) Utilizing online learning data to design face-to-face activities in a flipped classroom: a case study of heterogeneous group formation(2020) AI-assistance for predictive maintenance of renewable energy systems(2021) AI기반 맞춤형 교육의 현황과 과제(2023) 챗GPT를 활용한 맞춤형 피드백 생성 및 효과 분석(2023) Deep learning framework with essential pre-processing techniques for improving mixed-gas concentration prediction(2023)

제1장 [서문] 우정길

AI디지털 교육의 윤리적 실천 – 담론의 맥락과 의미에 관하여 1


Ⅰ. 도입-인간과 교육을 둘러싼 사회과학적 염려 3

Ⅱ-1. 신물질론(New Materialism)과 교육학의 탈인간중심주의 경향 5

Ⅱ-2. 향상(Enhancement) 담론과 교육의 잠식 11

Ⅲ. “AI디지털 교육의 윤리적 실천” 포럼, 그리고 “일시 멈춤”의 미학 21

Ⅳ. 맺음말  29


제2장 한정윤

맞춤형 교육을 위한 AI 활용에 따르는 윤리적 책임과 과제 35


Ⅰ. 디지털 전환, 우리의 일상과 교육을 바꾸다 37

Ⅱ. 맞춤형 교육을 위한 AI 활용의 접점: 관찰, 진단, 처치 40

Ⅲ. AI의 교육적 활용에 따른 윤리적 고찰의 필요성 45

Ⅳ. 맞춤형 교육을 위한 AI 활용에 따르는 윤리적 이슈 48

Ⅴ. 우리에게 부여된 책임과 과제 60






제3장 김형주

AI디지털교과서의 윤리적 이슈와 활용 65


Ⅰ. 교육의 새로운 화두-AI디지털교과서 67

Ⅱ. AI디지털교과서의 개요 69

Ⅲ. AI 윤리와 디지털 교육 규범 75

Ⅳ. AI디지털교과서의 윤리적 이슈 78

Ⅴ. AI디지털교과서의 윤리적 활용을 위한 제언-개발자, 교사, 학생 85


제4장 한석훈

AI디지털 교육과 학생의 인격적 성장이라는 교육 목적 93


Ⅰ. AI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철학자가 바라본다면? 95

Ⅱ. AIDT라는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 본다면? 99

Ⅲ. 터미네이터, 매트릭스, 아실로마, 2024년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112


제5장 이지연

학습 윤리 관점에서 바라보는 생성형 AI 활용 수업과 과제 117


Ⅰ. 생성형 AI 시대의 도래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120

Ⅱ. 학습을 촉진하는 좋은 수업과 과제 123

Ⅲ. 생성형 AI 시대 교수자가 직면한 도전과 대응전략 131






제6장 이영태

초·중학교에서 메타버스 활용 수업 실행을 위한 학습 윤리에 대한 논의 141


Ⅰ. 메타버스 기반 수업 혁신, 교육 정책과 실재(實在) 144

Ⅱ. 메타버스 활용 수업과의 공존(共存), 학습 윤리의 시작으로부터 152

Ⅲ. 학습 공존을 위한 새로운 표준, 학습 윤리 가이드라인 160

Ⅳ. 마무리하며-한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포용적 학습 윤리를 위한 제언 163


제7장 이은배

AI디지털 교육의 윤리적 실천을 위한 지침 169


Ⅰ. 혼돈의 시대, 교육은 윤리적 실천이다 171

Ⅱ. 기본으로 돌아가서, 교육의 가치와 목적 173

Ⅲ. AI 개발과 교육적 활용의 윤리적 실천 181

Ⅳ. 교사와 교원양성기관을 위한 AI디지털 교육의 윤리적 실천 지침과 제언  193

불법복제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