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상담 및 도움 기술
신간
상담 및 도움 기술
저자
Edward Neukrug
역자
서영석․안하얀
분야
상담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06.30
장정
무선
페이지
376P
판형
사륙배판
ISBN
979-11-7279-122-3
부가기호
93180
강의자료다운
-
색도
4도
정가
28,000원

초판 2025.06.30


저자 서문

‘상담 및 도움 기술: 상담사가 되기 위한 핵심 기법’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 책은 2부로 나뉘어 있고, 모두 효과적인 상담사가 되기 위해 필수적인 상담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부: 태도, 기술 및 기법에서는 내담자와 작업하는 데 필요한 기본 태도, 기법 및 기술을 학습하고 연습하기 위한 지식과 활동을 제공합니다. 2부: 처치 관련 이슈에서는 기술 제공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지만 내담자와 작업하는 데 효과적인 상담 관계 관련 중요한 활동을 제시합니다. 두 파트를 읽으면서, 여러분은 학습을 촉진하고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다양한 체험 및 성찰 활동들을 만나볼 수 있을 겁니다. 이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부: 태도, 기술 및 기법

CHAPTER 1: 효과적인 상담사의 특징

이 장은 상담에서의 근거 기반 요인 및 공통 요인에 관한 논의로 시작되는데, 두 요인 모두 긍정적인 상담 성과에 중요합니다. 그런 다음 내담자와 작업할 때 중요한 상담사의 9가지 특성에 대해 논의할 겁니다. 이 중 6가지 요소, 즉 공감, 진정성, 수용, 웰니스, 문화적 민감성, ‘상담사의 고유 특성’은 작업동맹을 형성하는 데 중요하고, 나머지 3개 요소, 즉 역량, 인지적 복잡성, 이론에 대한 믿음은 이론적 접근 방식을 전달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CHAPTER 2: 기초 기술

이 장에서는 먼저 1장에서 배운 효과적인 상담사의 특성을 다시 상기시켜 줍니다. 그런 다음 상담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초적인 비언어적 행동을 소개합니다. 여기에는 상담실 분위기, 복장 및 의상, 눈맞춤과 표정, 몸의 자세와 고개 끄덕임, 개인 공간, 신체접촉, 그리고 음성 억양 등이 포함됩니다. 이 장의 후반부에서는 평등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과 관련된 기초 기술을 다룹니다. 여기에는 내담자 존중, 배려하면서 호기심 표현하기, 힘의 한계를 정하고 동등한 관계 형성하기, 병리화하지 않기, 그리고 헌신하기가 포함됩니다.

CHAPTER 3: 필수 기술

2장에서 다룬 기초 기술이 상담 관계 수립에 중요하다면, 필수 기술은 내담자가 자기 성찰 과정을 향해 서서히 나아가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관계 초기에 매우 중요하며, 상담사가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교착 상태나 균열을 마주할 때 특히 자주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술에는 침묵과 정지시간, 경청하기, 감정 반영, 내용 반영, 다른 말로 바꿔 표현하기, 그리고 기본 공감이 포함됩니다. 비록 이 장에서 심층 공감을 간략히 소개하지만, 심층 공감에 대해서는 4장에서 더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CHAPTER 4: 자주 사용되는 기술

이 장에서 다루는 기술은 주로 작업동맹이 형성된 이후에 사용되며, 내담자가 더 높은 자각과 명확히 설정된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돕습니다. 먼저, 심층 공감을 살펴보는데, 이는 내담자가 더 깊은 감정을 탐색하고 자신의 상황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다음으로 다룰 기술은 긍정/인정, 격려, 지지로, 이러한 기술들은 내담자의 행동을 강화하고 목표를 향한 움직임을 촉진합니다. 이어서 대안 제시, 정보 제공, 조언 제공을 다루며, 이는 목표 달성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합니다. 그다음으로 살펴볼 기술인 모델링은 내담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행동의 원형을 찾는 데 도움을 줍니다. 자기 개방은 내담자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상담사가 자신의 개인적인 행동 사례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다룰 기술은 협력으로, 내담자가 상담 관계 안에서 목표를 추구하는 방향에 만족할 수 있게 합니다. 

CHAPTER 5: 정보 수집 질문, 해결 중심 질문

이 장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질문을 다룹니다: 정보를 수집하는 질문, 내담자가 문제 해결 방법을 찾도록 돕는 질문. 정보 수집 질문에는 내담자의 응답을 제한하면서 상담사가 특정 자료를 얻고자 할 때 중요한 폐쇄형 질문, 내담자가 인터뷰를 다양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도록 허용하는 개방형 질문, 그리고 잠정적 질문과 ‘왜’ 질문이 포함됩니다. 해결 중심 질문은 주로 강점을 기반으로 하며, 선호 목표 질문, 평가 질문, 대처 질문, 예외 탐색 질문, 해결 지향 질문(예: 기적 질문), 그리고 척도 질문이 포함됩니다.

CHAPTER 6: 전문 기술

이 장에서 다루는 대부분의 기술이 모든 상담 관계에서 사용되지는 않지만, 특정 상담 관계에서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 장에서는 옹호, 치명성 평가(예: 자살 및 살해 가능성), 위기·트라우마·재난 상담, 직면: 지지적으로 도전하기, 인지-행동적 반응, 해석, 긍정 상담, 라이프 코칭을 탐색합니다.


2부: 처치 관련 이슈

CHAPTER 7: 사례 관리

내담자를 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중요한 다양한 도구들은 태도, 기술, 기법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는 않으며, 이를 포괄적으로 “사례 관리”라고 부릅니다. 이 장에서는 고지된 동의 및 전문가의 공개 진술, 평가, 목표 설정, 향정신성 약물 모니터링, 노트 및 보고서 작성, 기록의 비밀 유지, 기록의 보안 확보, 접촉 시간 문서화, 종결 및 의뢰하기, 추후 관리 수행, 시간 관리 실천과 같은 광범위한 활동을 살펴봅니다. 

CHAPTER 8: 사례 개념화, 진단, 상담 계획

효과적인 상담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상담사는 내담자의 상황을 효과적으로 개념화하고 적절한 진단을 내릴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장에서는 사례 개념화 과정을 탐구하며, 사례 개념화 모델인 생물심리사회적 평가 모델을 자세히 살펴봅니다. 또한 DSM-5와 진단 과정을 검토하고, 사례 개념화와 진단이 상담 계획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상담사의 이론적 성향이 상담 계획 과정을 어떻게 이끌고 방향을 제시하는지 설명하면서 이 장을 마무리합니다. 

CHAPTER 9: 문화적으로 역량 있는 상담

1장에서 효과적인 상담사의 특성으로 간략히 언급되었지만, 이 장에서는 문화적으로 역량 있는 상담에 대해 더 심도 있는 분석을 제공합니다. 이 장에서는 일부 다양한 내담자들이 상담을 꺼리는 9가지 이유를 조명하고, 문화적으로 역량 있는 상담을 정의하며, 상담사가 문화적 역량을 기르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세 가지 모델을 설명합니다. 그런 다음 다양한 인구 집단에게 사용할 수 있는 상담 전략을 검토합니다. 또한 다양한 인종 및 민족,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여성, 남성, 성소수자(LGBTQ), 노숙자 및 빈곤층, 아동, 노인, 심각한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들, 장애를 가진 사람들, 약물 사용자 및 남용자 등 여러 집단과 협력하는 전략을 살펴봅니다.

CHAPTER 10: 윤리적, 법적, 전문적 이슈

이 장에서는 다양한 윤리적, 법적, 전문적 이슈들을 살펴봅니다. 먼저, 윤리강령의 목적과 한계를 검토한 후, 문제해결, 도덕적, 발달적, 사회구성주의 모델을 포함한 네 가지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을 살펴봅니다. 이 장에서는 고지된 동의, 비밀 유지, 면책특권 정보보호, 역량, 경계 유지 및 금지된 관계, 상담 관계에서의 가치, 다문화 상담, 상담에서의 기술활용, 슈퍼비전, 윤리 위반 보고 등 여러 중요한 윤리적 문제들을 다룹니다. 또한 이 장에서는 26가지 최선의 실무 행동을 제시하고, 과실 보험의 중요성에 대해 논합니다. 이 장은 상담에서의 윤리적, 법적, 전문적 이슈와 관련된 여러 사례와 활동을 제공합니다. 


역자 서문

전문적인 상담은 단순한 대화나 다정한 조언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명확한 목적을 가진, 의도적인 만남이다. 상담사는 내담자의 삶에 실제적인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상담을 이끌어 가며, 매 회기 작은 발걸음으로 그러나 분명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그 여정의 중심에 상담 기술과 기법이라는 도구가 있다.

이 책은 상담사가 상담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을 정리해 놓았다. 복장, 눈맞춤 같은 기본적인 비언어적 기술부터, 옹호, 직면, 해석과 같은 고차원적인 전문 기술까지 폭넓게 다룬다. 무엇보다 이 책의 매력은, 실제 현장에서 부딪히는 장면들을 생생한 사례와 예시로 풀어내며 기술을 하나하나 친절하게 설명한다는 데 있다. 기술이 추상적으로 흐르지 않도록, 독자의 손에 쥐여 주는 방식이 인상적이다.

더불어, 상담사의 ‘태도’와 ‘전문성’이라는 보이지 않는 역량을 키우는 데 필요한 요소들도 빼놓지 않았다. 사례 관리, 사례 노트 작성, 사례개념화, 상담 목표 및 계획 수립 등은 상담의 구조를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도구들이다. 이에 더해, 상담사가 꼭 숙지해야 할 윤리적·법적 기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내담자를 이해하고 존중하기 위한 다문화 감수성까지 촘촘하게 담고 있다. 이 책은 상담이라는 복합적이고 섬세한 작업을 윤리적 통합성과 감수성을 바탕으로 수행하려는 이들에게 꼭 필요한 안내서다.

기술은 언제나 목적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맥락과 순간에 따라 적절히 활용되어야 할 수단에 가깝다. 상담사는 각 기술의 ‘무엇’을 넘어, ‘왜’와 ‘어떻게’를 깊이 고민해야 한다. 결국 전문성이란 기술을 많이 아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내담자의 삶과 맥락에 맞게 유연하게 적용하는 데서 비롯된다.

번역하는 동안 원저자의 의도와 문맥을 온전히 전달하고자 애썼다. 그럼에도 부족한 점이 있을 것이다. 독자 여러분의 너그러운 이해와 따뜻한 조언을 부탁드린다. 이 책이 이제 막 상담의 길에 들어선 이들에게는 든든한 첫걸음이, 이미 그 길을 걷고 있는 이들에게는 새로운 시선과 성찰의 촉매제가 되기를 바란다.


2025년 6월

역자 서영석, 안하얀


감사의 글

저는 ‘상담 및 도움 기술: 상담사가 되기 위한 핵심 기법’(Counseling & Helping Skills: Critical Techniques to Becoming a Counselor)을 집필하는 데 도움을 준 많은 분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책을 검토하고 개념을 구체화하고 강화하는 데 아이디어를 제공해 주신 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Lewis University(루이스 대학교)의 Dr. Lisa Brown, Penn State Behrend(펜 스테이트 베렌드)의 Dr. Melanie Hetzel-Riggin, Chaminade University of Honolulu(샤미나드 대학교)의 Dr. Darren H. Iwamoto,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중앙 플로리다 대학교)의 Dr. Jessica Waesche.

또한, Cognella의 편집 부사장인 Kassie Graves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녀는 친구이자 긍정적인 비평가, 조력자이자 훌륭한 인격을 갖춘 사람으로 이 책과 다른 프로젝트에서 저를 도와주었습니다. 이 책을 저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준 Cognella의 다른 분들은 출판 이사인 Jamie Giganti, 프로젝트 편집자인 Amy Smith, 마케팅 전문가인 Dani Skeen, 수석 그래픽 디자이너인 Jess Estrella(멋진 표지!), 제작 편집자인 Alia Bales, 그리고 교정 편집자인 Michele Mitchel이 귀한 도움을 주셨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데 도움을 준 모든 분께 감사를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제 아내 Kristina와 아이들 Hannah, Emma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제가 계속 나아가는 데 큰 힘이 됩니다. 

역자 소개


서 영 석

현) 연세대학교 교육학부 교수

  - University of Minnesota 석사, 박사(상담심리학)



안 하 얀

현)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부설] 서울심리상담센터 센터장

  -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박사(상담교육학)



공저․역서

󰡔상담 및 심리치료의 최신 이론󰡕(박영스토리, 2024)

󰡔애착과 강점을 기반으로 한 노인 서포트󰡕(박영스토리, 2023)

󰡔출판되는! 논문 작성하기󰡕(학지사, 2018)

저자 서문  xii

역자 서문  xvi

감사의 글  xviii

1부  태도, 기술 및 기법  1

CHAPTER 1 효과적인 상담사의 특징  2

CHAPTER 2 기초 기술  28

CHAPTER 3 필수 기술  54

CHAPTER 4 자주 사용되는 기술  80

CHAPTER 5 정보 수집 질문, 해결 중심 질문  111

CHAPTER 6 전문 기술  134

2부 처치 관련 이슈  171

CHAPTER 7 사례 관리  173

CHAPTER 8 사례 개념화, 진단, 상담 계획  201

CHAPTER 9 문화적으로 역량 있는 상담  229

CHAPTER 10 윤리적, 법적, 전문적 이슈  267


부록 A: 감정 단어 체크리스트  303

부록 B: 밀러 家 사람들  304

부록 C: 심리 평가 보고서에서 일반적으로 평가되는 범주  308

부록 D: 심리 보고서  311

부록 E: 정신 상태 검사에서 사용되는 일반 용어  317

부록 F: DSM-5 진단 범주 개요  319

부록 G: 특권 체험 활동  324

용어 사전  326

찾아보기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