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3.04
서 문
2020년 BK21 교육학연구사업단을 준비하면서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들은 머리를 맞대고 2030 교육에서의 주요한 방향이 무엇일지에 대해 논의했다. 20여 명 교수의 의견을 통일시키는 것은 쉽지 않았으나, 최종적으로 ‘혁신’과 ‘공존’이 다음 10년간 교육학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주요한 키워드라 될 것이라는 데 동의하였다. 개인은 불확실한 상황 속에 내던져진 행위자로 정의되고 있었으며, 시장주의 경제의 글로벌화로 교육 격차는 가속화될 것이라 예상하였다. 디지털 교육환경이 일상이 됨과 동시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육체제 구축을 바라보게 되었다.
현재 사회를 살펴보면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에 대한 질문과 응답에 대한 요구가 점차 거세지고 있음을 느끼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의 발달로 혁신의 속도는 가속화되고 있지만, 팬데믹 이후의 교육 격차는 더 극심해졌다. 모순된 교육상황 속에서 우리들은 각자의 세부영역에서 ‘혁신’과 ‘공존’을 위한 교육학 연구를 하루하루 실천하고 있다. 우리가 참여한 연구는 교육 문제를 진단하고, 전망하는 포괄적 이론적 틀을 제공하며, 교육 실천과 이론의 간극을 메우기도 하며, 실천 교육학과 과학적 교육학 간의 방법론적 연계를 모색하기도 하였다.
이 책은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 연구에 참여하는 교수들의 인터뷰를 통하여 학자로서 목소리를 모은 것이다.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에 대한 고찰과 경험을 기꺼이 나누어 주었으며, 인터뷰 내용은 연구자들에게 동력과 영감을 불어넣어 주었다. 그렇기에 현시대의 교육학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 넣고자 책을 출판하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학자로서의 삶과 교육학 연구를 통해 어떻게 ‘혁신’과 ‘공존’이 구현되고 있는지를 엿볼 수 있기를 바란다.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많은 이들의 수고가 있었다. 먼저 바쁜 중에도 진솔하게 참여해준 우리 연구단의 참여교수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인터뷰로 수고해 준 서울대 대학원생인 추영선, 김혜준과 책의 편집으로 수고해 준 김지인 박사, 김학중, 한성훈, 이채린 그리고 두 팔 벌려 환영해주고 어려운 출판작업을 진행해 준 박영스토리 편집진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25년 1월
서울대 교육학과
혁신과 공존의 교육연구사업단 참여교수를 대표하여
김동일 쓰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혁신과 공존의 교육연구사업단 참여교수진
김 동 일(단장)
유 성 상(부단장)
곽 덕 주
김 용 남
김 창 대
박 현 정
백 순 근
소 경 희
신 윤 정
신 정 철
신 종 호
엄 문 영
이 선 영
임 철 일
정 동 욱
조 영 환
Kevin Kester
서 문 • 1
김동일 교수 • 9
교육학과 삶, 다시 돌아 봄
곽덕주 교수 • 19
한발짝 멈춰서 되돌아보는 교육연구
김용남 교수 • 31
엄밀하고 새로운 교육연구
김창대 교수 • 41
상담학에서의 혁신과 공존
박현정 교수 • 53
통계에 담아낸 교육연구
백순근 교수 • 63
미래 지향적 비전을 세워야
소경희 교수 • 73
공존을 위한 교육연구
신윤정 교수 • 85
소수자를 위한 옹호자로서의 상담
신정철 교수 • 93
한국 교육현장에 맞는 교육연구
신종호 교수 • 103
미래를 대비하는 교육연구
엄문영 교수 • 111
공존을 위한 변화와 실천
유성상 교수 • 123
교육연구자의 자기 관점 갖기
이선영 교수 • 135
창의성과 재능 개발을 위한 교육연구
임철일 교수 • 145
교수설계를 통해 how에 답하는 교육연구
정동욱 교수 • 153
효율성, 형평성을 위한 교육연구
조영환 교수 • 163
인공지능 시대 학습의 혁신
Kevin Kester 교수 •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