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소그룹 퍼실리테이션
신간
소그룹 퍼실리테이션
저자
Judith A. Kolb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02.28
장정
무선
페이지
228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6519-050-7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색도
1도
정가
19,000원

초판발행 2025.02.28


조직개발을 연구하고 고민하는 학자의 입장에서 기업 현장에 있는 여러 조직의 구성원들로부터 우리 조직에서 행해지는 회의가 너무 비능률적이고 효과적이지 않다, 심지어는 왜 회의를 하는지 모르겠다 등등의 말을 들을 때마다 제대로 된 솔루션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에 무기력감을 느끼곤 한다. 조직은 서로 다른 사람들이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모인 집단이다. 그리고 조직은 효율적인 조직운영을 위해 팀이나 파트를 만들거나 특정한 목적을 가진 TF를 만들어 끊임없이 목적 달성을 위해 움직인다. 그런데 대부분 조직이 가지고 있는 근원적인 문제는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만나거나 일시적으로 만나 협업하는 상황에서 각 사람이 가지고 있는 서로 다른 관점과 생각들을 훌륭하게 정리하여 하나의 결과물로 만들어 내는 일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특히 우리나라 정서상 많은 조직의 구성원들은 상사나 상급자가 있는 상황에서 자기의 의견을 이야기하는 것을 꺼린다. 그리고 아직도 일부 조직의 리더는 회의 상황 등에서 일방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구성원들에게 따를 것을 강요하기도 한다. 그런데도 이러한 문화에 익숙해진 조직은 왜 쓸데없는 회의를 하는지 의문을 가진 구성원들을 놔둔 채 묵묵히 기존의 관성을 유지해 나가면서 개선책이나 대안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 

세상의 모든 일에는 프로세스가 중요하다. 좋은 결과물에는 좋은 프로세스가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우리는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에는 동의하면서도 종종 좋은 프로세스를 만들어 나가는 것에는 소홀한 경우가 많다. 많은 조직에서 소통과 협업을 이야기한다. 소통과 협업은 최종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데 있어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또 하나의 결과물이다. 그러나 우리는 소통과 협업의 중요성을 잘 알면서도 소통과 협업의 질을 높이는 프로세스를 고민하는 것에는 약하다. 각기 다른 의견과 아이디어를 하나로 잘 만들어서 좋은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훌륭한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스를 위해서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소통과 협업의 원리를 이해하면서 이를 뒷받침해 줄 테크닉을 능숙하게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우리는 그러한 스킬을 퍼실리테이션이라고 부른다. AI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출현하고 Gen-Z 세대가 점차 조직의 주력이 되는 상황에서 퍼실리테이션은 모든 회의를 주재하고 참여하는 사람이 갖추어야 할 소통과 협업을 위한 기본 스킬이 되어야 한다.  

소그룹 퍼실리테이션이라는 책은 이러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 기업이나 조직에서 일어나는 소그룹 단위의 모든 회의, 토론, 학습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지침서이다. 본 책에는 앞서 언급한 퍼실리테이션을 위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기본적인 원리와 퍼실리테이션을 위해 필요한 테크닉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소그룹 단위에서 회의할 때 우리는 참석자들이 말하는 표면적인 내용과 이면적인 내용, 그리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감정과 관계들을 알아차리고 이해하고 또 고려하면서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최적의 결론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스에는 객관성을 담보하는 참여적인 테크닉이 요구된다.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테크닉만을 활용하는 것은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원리는 이해하지만 테크닉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효과적인 결과물을 만드는 데 비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조직개발의 일환으로서 Process Consultation은 조직의 내부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해 설계된 컨설팅 방식을 의미한다. 이 접근법은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로 인간관계, 의사소통, 팀워크, 리더십 등과 같은 프로세스를 진단하고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Process consultation은 컨설턴트가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직접 해결하기보다는, 조직 구성원들이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방식을 취한다. 이 책의 내용은 Process Consultation을 실행하는 데도 매우 유용할 것이다.

이 책의 저자인 Kolb 교수님은 내가 아는 한 최고의 퍼실리테이션 스킬을 가지고 계신 분이셨다. 유학 시절에 Kolb 교수님의 수업을 들으면서 언어적으로 다른 학생들과 계속해서 소통하면서 결과물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힘들었지만, 모든 수업이 퍼실리테이션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이 흥미로웠고 실제로 많은 부분을 배울 수 있었다. 이 자리를 빌려 교수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본 책의 번역을 위해 힘써주신 많은 분이 있다. 먼저 본 책의 번역 과정에서 조언과 도움을 주시고 꼼꼼하게 수정을 해 주신 박철용 전무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전무님과의 영감 있는 대화를 통해 본 책의 쓰임새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용기를 내어 마무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번역 과정에 처음부터 끝까지 열정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도와준 박순원 선생님께 진심으로 고맙고 감사드린다. 박순원 선생님의 헌신으로 본 책의 번역이 완성될 수 있었다. 또한 꽤 오랜 시간을 기다려 주시면서 어려운 부분을 해결해 주신 박영사의 이선경 차장님과 안상준 대표님, 그리고 이 번역서가 나올 수 있도록 최종적으로 도움을 주신 박영스토리의 허승훈 과장님과 배근하 차장님, 노현 대표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마지막으로 소그룹 퍼실리테이션이라는 책이 협업과 소통으로 힘들어하는 우리나라 모든 조직과 구성원들에게 힘이 되기를 소망해 본다.


2025년 2월

대표 역자 이진구

역자소개



이진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에서 HRD/OD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삼성카드 인력개발팀을 거쳐 KT&G 인재개발원과 인사혁신팀에서 근무하면서 13년간 HR 현장을 경험하였고 2012년부터 현재까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의 인력개발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기업을 대상으로 인력개발 및 조직개발에 대한 강의와 컨설팅을 수행하면서 국가 직업능력개발 체계를 발전시키는 일에도 헌신하고 있다.



박철용

한양대학교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Drexel University에서 Engineering Management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한양대학교에서 교육공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LG에서 30여 년간 HR 분야에서 근무하며 LG전자와 LG이노텍의 CHRO를 역임하고, LG인화원에서 HR Innovation 센터장 및 Coaching College 총괄을 맡았다. 리더십 개발, 코칭, 조직 혁신을 연구하며, HR 실무 경험과 학문적 접근을 결합해 실질적인 변화와 성장을 촉진하려고 노력했다. 특히, 소그룹 퍼실리테이션(Small Group Facilitation)을 통해 조직 내 소통과 협업을 촉진하고, 창의적이고 협력적인 조직 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박순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영어교육 석사 및 울산과학기술원 융합경영대학원에서 비즈니스 분석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에서 인력개발전공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울산과학기술원 선임행정원으로 재직 중이며, 인력개발 및 조직개발을 중심으로 people science, learning analytics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자소개


주디스 콜브는 펜실베니아 주립대학(University Park Campus)의 산업교육개발과정에서 부교수를 맡고 있다. 그녀는 인력개발/조직개발의 연구를 강조하며 그룹 및 팀 퍼실리테이션에 대한 강의를 하고 그 밖에 이와 관련된 주제를 가르친다. 콜브 박사는  25년 이상을 제조, 연구개발, 시설, 교육, 의학, 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그룹 및 팀들과 협력해 왔다. 팀워크와 퍼실리테이션에 관한 그녀의 연구들은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Small Group Research,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와 같은 저널에 실려 있다. 

콜브 박사는 미주리 대학에서 경영교육으로 학사를, 콜로라도 주립대학에서 인력개발학으로 석사를, 그리고 덴버 대학에서 소그룹과 응용조직커뮤니케이션에 특화된 커뮤니케이션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커뮤니케이션, 교육, 경영과 관련된 그녀의 배경은 소그룹 퍼실리테이션의 연구와 실천에 매우 유용한 시각을 제공해 준다.  


PART 1 개관  / 1


CHAPTER 1 소그룹 퍼실리테이션에 대한 개관  / 3

주요 개념 3

퍼실리테이션이란 무엇인가? 4

퍼실리테이션의 목적 5

혼합된 역할 7

그룹의 종류 10

팀의 종류 12

왜 그룹이 중요한가? 13

요약 15


CHAPTER 2 그룹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17

주요 개념 17

개방형 시스템으로서의 그룹 18

그룹 투입 19

그룹 산출/결과물 23

협력의 속성 25

그룹의 과업과 관계 측면 28

요약 29






PART 2 퍼실리테이션의 프레임워크  / 31


CHAPTER 3 퍼실리테이션의 프레임워크에 대한 설명  / 33

주요 개념 33

프레임워크의 개발 34

프레임워크에 대한 설명과 제시 36

활용 제안 36

요약 39


CHAPTER 4 조직과 기획  / 41

주요 개념 41

사전 질문하기 42

사전 기획 45

운영관리 49

세션 종료 후 52

요약 52


CHAPTER 5 커뮤니케이션  / 55

주요 개념 55

의미의 전이 56

적극적인 경청 57

다른 표현으로 바꾸기와 요약하기 59

의견 충돌 시 이슈와 관점을 명확히 하기 61

질문하기 62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67

표정/바디랭귀지 68

준언어-어떤 방식으로 말하는가 70

공간학-공간의 사용 70

요약 72



CHAPTER 6 과업  / 73

주요 개념 73

세션 시작하기 74

기본 규칙 정하기 77

적절한 테크닉 사용하기 80

테크놀로지/그룹웨어의 활용 82

그룹이 집중을 유지하게 하기 84

수행 패턴 87

구성원들의 과업 역할 88

세션 마무리하기 89

요약 91


CHAPTER 7 관계와 분위기  / 93

주요 개념 93

지지하는 분위기 생성하기 94

그룹에 참여하고 주인의식을 가지게끔 독려하기 98

집단역학 주시하기 100

구성원들의 관계(유지) 역할 102

비능률적인 행동을 정의하고 다루기 103

퍼실리테이터의 선호사항 106

요약 108


CHAPTER 8 가치와 윤리  / 109

주요 개념 109

정의 110

퍼실리테이션의 방향을 결정하는 가치들 110

의사결정 그룹을 위한 윤리적 가이드라인 113

퍼실리테이터의 고민거리 114

가치를 실천하기 120

요약 123


CHAPTER 9 갈등  / 125

주요 개념 125

갈등의 본질 126

분위기와 기본 규칙의 중요성 128

갈등의 종류 131

입장보다 이익에 초점을 맞추기 134

집단적 사고 피하기 135

갈등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가치들 136

요약 138


CHAPTER 10 창의성  / 139

주요 개념 139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140

창의적인 문제해결 141

그룹 내에서 창의성을 자극하기 141

업무 환경의 중요성 144

아이디어 도출과 관련된 신뢰 146

창의성을 자극하기 위한 전략들 147

요약 149


CHAPTER 11 테크닉  / 151

주요 개념 151

정의 152

의사결정과 문제해결의 원칙 152

왜 특정 테크닉을 사용하는가? 155

테크닉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158

형식 159

요약 159




PART 3 의사결정, 문제해결 및 전략 기획을 위한 테크닉  / 161


CHAPTER 12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테크닉  / 163

주요 개념 163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테크닉 164

아이디어와 선택지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테크닉 169

요약 174


CHAPTER 13 문제와 해결책에 초점을 맞추는 테크닉  / 175

주요 개념 175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테크닉 176

해결책에 초점을 맞추는 테크닉 182

요약 185


CHAPTER 14 전략기획을 위한 테크닉  / 187

주요 개념 187

전략 기획이란 무엇인가? 188

분석에 초점을 맞추기 189

가능성에 초점을 두기 191

불확실성에 초점을 두기 194

그룹 목표 설정 196

요약 197


부록

부록 A : 퍼실리테이터 역량 자가진단 201

부록 B : 협의내용 메모 205


참고문헌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