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판발행 2025.04.01
초판발행 2025.03.04
“교육심리학: 학습과 교수”는 교육심리학을 전반적으로 개관한 책이다. 교육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심리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경험 과학의 한 분야”인 심리학(출처: 학문명백과: 사회과학)을 근간으로 교육 행위와 현상을 설명하고 연구하는 교육학과 심리학을 접목한 학문이다. 교육학용어사전에 의하면, 교육심리학은 “교육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심리학적 측면에서 연구하여 그 원리와 방법을 밝혀 교육 활동에도움을 주고자 하는 심리학의 한 응용 분야”이다. 이 책은 교육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중 학습과 교수 활동에 주안점을 두고 이를 심리학적 이론과 교육의 실제를 바탕으로 저술한 개론서이다.
학습은 “연습, 훈련 또는 경험에 의해서 일어나는 행동의 영속적인 변화”(출처: HRD 용어사전), “연습이나 경험의 결과로 일어나는 행동의 지속적인 변화”(출처: 교육학용어사전 참고) 등으로 정의되고 있다. 교수도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데 그 예로 “교사가 학습자에게 지식이나 기술을 전달하고 제능력(諸能力)이나 가치관을 형성시키는 교육 활동”(출처: 두산백과), “교사가 교육적 의도를 가지고 하는 일체의 활동”(출처: 교육학용어사전) 등이 있다. 각각의 정의에서 나타난 것처럼 학습은 연습과 훈련 및 경험 등에 의한 행동의 변화를 가정하고 교수는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교육적 의도와 활동을 강조한다.
이는 학습은 학습자에게 발생하는 변화의 결과이며 교수는 이러한 학습자의 변화가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인 것이 될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치는 교수자의 의도와 활동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과 교수는 서로 대립되거나 독립적인 개념이 아니라 상호 의존적이고 관여하는 분리할 수 없는 관계에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다.
“교육심리학: 학습과 교수”는 학습과 교수를 중심으로 일반적으로 교육심리학에서 다루는 심리학 및 교육학적 이론과 실제에 관한 책이다. 특히 이 책에서는 학습과 교수의 내용 비중을 동등하게 다루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학습과 학습자에 관한 내용은 교육심리학(책)에서 많은 관심을 받아왔지만 교수와 교수자의 경우, 관련 내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학습과 학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 책은 교수, 그리고 교사를 포함한 교수자에 관한 내용을 보강하여 학습뿐만 아니라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 방안과 활동, 그리고 교수자의 특성을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학습자와 교수자 간 교수-학습 활동이 일어나는 교육 환경을 관심 있게 다루었다는 점이다. 이제 더 이상 일반인들에게도 낯선 용어가 아닌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에듀테크(EduTech)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AI), 클라우드(cloud), 사물 인터넷(IoT), 모바일(mobile), 빅데이터(big data),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차세대 교육을 뜻한다(출처: 정보통신용어사전).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온라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에듀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교육으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새로운 교수-학습 기기의 도입이나 교실 환경을 개선하려는 작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에듀테크는 더 이상 차세대 교육이 아닌 당장 필요한 현 시점의 교육이 되어버렸다. 더욱이 최근에 급속도로 성장한 생성형 AI 기술은 교육 현장이 기술과 환경의 변화 속도를 따라가기 힘겹게 만든 것이 사실이다. 생성형 AI 시대에서 교수-학습 활동은 전통적인 교실이나 학교 현장과는 다른 교육환경을 필요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에 대한 고민과 재정의를 요구하고 있다. 이 책은 현재 교수-학습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교수 매체와 교육 환경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AI기반 교육의 근간이 되는 도구와 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교육심리학에 관한 이론적 및 개념적인 이해뿐만 아니라 교실, 학교 및 교육 현장과 사회 전반에 걸쳐 해결해야 하는 교육의 문제들을 다루었다. 각 장 또는 소단원별 주제에 적합한 학습과 교수 관련 문제들을 “교실/학교 속으로,” “교실 안 생각,” “교실 밖 생각” 등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이 책을 읽고 공부하는 독자들로 하여금 교육의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교실/학교 속으로”가 실제 교실이나 학교에서 발생했거나 발생 가능한 학생 또는 교사 사례들을 중심으로 학습과 교수와 관련된 문제들을 드러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면 “교실 안 생각”과 “교실 밖 생각”에서는 교실 안팎에서 경험할 수 있는 학습과 교수를 비롯한 교육 전반에 관한 문제들을 보다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이를 통해서 이 책의 독자들이 현재 교육의 문제와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창의적이고 슬기롭게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봄으로써 미래 교육을 보다 건설적으로 준비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 외에도 “지식 플러스”를 통해서 내용상 보다 상세한 설명이나 심화 지식이 필요한 개념이나 현상 및 정보들을 다루었고 “최근 연구 소개”에서는 관련 최근 연구(들)의 주요 결과를 간략히 소개함으로써 본문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주요 개념에 대한 정의는 널리 인용되고 있는 용어사전을 참고하였고 몇몇 주요 인물들에 대한 간략한 소개도 내용상 필요한 부분을 고려하여 포함하였다.
교육심리학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과 교수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현재와 미래 교육에서 요구하는 교사를 포함한 교수자의 역할과 교육 환경 요인을 다양한 실제 사례와 교육 문제 등과 함께 다룬 이 책은 교육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다. 이 책을 통해서 교육 현장에서 만나는 학습자와 교수자, 학생과 교사의 특성과 역할을 이해하고 성찰하며 현재에서 나아가 미래 학습과 교수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실과 학교, 교수 매체와 교육 환경을 기획하고 설계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마지막으로 결코 쉽지 않은 집필 여정을 무탈하게 마무리할 수 있었던 건 소중한 크루들(crews)이 있었기 때문이다. 먼저 녹록지 않은 책 작업을 함께 완주한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심리전공 박혜성 박사와 박사과정 우정민, 황선영, 김진우, 이빈 수료생들에게 깊은 애정과 고마움을 전한다. 책은 내용이 좋고 당연히 잘 써야 할 뿐만 아니라 ‘예뻐야 한다’는 나의 깐깐한 믿음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해주시고 교정과 편집, 그림과 디자인 등 책 작업 전반에 걸쳐 신속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박영스토리의 배근하 차장님께 많이 감사하다. 두 개의 단행본에 이어 세 번째로 함께 작업한 이 책에 이르기까지 차장님과의 진한 전우애(戰友愛)가 없었다면 빽빽한 한글 파일이 이렇게 예쁜 책으로 출간되지 못했을 것이다. 내용의 이해를 위해서 알기 쉽고 공감할 수 있는 그림으로 책 곳곳을 알차게 채워주신 박다영 대리님, 이 책을 기획하고 홍보하는 데 열과 성을 다해주신 조정빈 대리님, 늘 믿음으로 묵묵히 지원해주시는 노현 대표님과 박영스토리 관계자분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25년 흰 눈발이 날리는 겨울의 끝자락에서
대표 저자 이선영
이선영
(현)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전)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교육학과 부교수/조교수
(美)조지아대학교 교육대학 교육심리학과 영재/창의성교육전공 박사
· 박혜성
(현)한국해양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심리전공 박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석사
· 우정민
(현)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박사 수료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석사
· 황선영
(현)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박사 수료
(美)텍사스A&M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 김진우
(현)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박사 수료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석사
· 이 빈
(현)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박사 수료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석사
(전)초등학교 정교사(1급)
Ⅰ 학습 14
1 학습의 정의와 개념 14
가. 학습의 과정 15
2 행동주의적 접근 16
가. 행동주의의 시작과 가정 16
나. 행동주의의 기본 개념 17
다. 행동주의 이론에 기반한 학습 전략 23
라. 행동주의 학습전략에 적합한 학습자 26
3 인지주의적 접근 30
가. 인지주의 학습이론 30
나. 인지주의 학습이론에 기반한 학습 전략 49
4 사회인지적 접근 54
가. 사회인지이론 54
나. 사회인지이론에 기반한 학습 전략 66
5 구성주의적 접근 70
가. 구성주의 이론 70
나. 구성주의 학습 73
다. 인지적 구성주의 82
라. 사회적 구성주의 85
마. 자기주도학습 88
6 학습동기 91
가. 동기의 유형과 위계 91
나. 동기에 대한 인본주의적 관점 95
다. 귀인이론 98
라. 자기결정성 이론 104
마. 기대-가치 이론 114
바. 목표지향이론 120
7 개인차와 재능 125
가. 학습자 125
나. 재능 134
Ⅱ 교수 162
1 교수의 정의 162
가. 교수 요인 163
2 교수 모형 168
가. 글레이저의 수업 과정 모형 168
나. 브루너의 발견학습 170
다. 오수벨의 유의미학습 173
라. 가네의 학습 조건 175
3 교수 방식 183
가. 강의 183
나. 토론 184
다. 협동학습 186
라. 문제중심학습 189
마. 거꾸로 학습 193
4 평가 197
가. 평가의 의미와 목적 197
나. 평가의 유형 198
Ⅲ 교사 208
1 좋은 교사의 특성 208
가. 교육 전문가로서의 교사 208
나. 수업 전문가로서의 교사 210
다. 평가 전문가로서의 교사 213
라. 정서 지원 및 상담 전문가로서의 교사 215
마. 의사소통 전문가로서의 교사 217
바. 평생 학습자로서의 교사 217
2 교수 전략 221
가. 학습동기 221
나. 자기효능감 223
다. 흥미 224
라. 실패내성 225
마. 창의성 226
바. 시험 불안 232
사. 영재성 233
아. 테크놀로지의 활용 238
Ⅳ 교육환경 258
1 교실과 학교 258
가. 좋은 교실 258
2 온라인 교육 환경 265
가. 교수-학습 모형 265
나. 온라인 상호작용 267
3 인공지능기반 교육 270
가. 드림박스 러닝 270
나. 소크라티브 270
다. 알렉스 271
라. 학습관리시스템 271
참고문헌 276
색인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