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3.04
추천사 1
이영훈 박사
여의도순복음교회 위임목사
실천신학은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통해 그리스도인의 삶과 목회적 사명을 구체화하는 중요한 학문입니다. 그러한 중요성을 구현하는 본서는 단순히 시대적 흐름에 편승하는 것이 아니라 변함없는 하나님의 말씀을 중심으로 시대를 관통하며 신앙의 본질을 삶의 자리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진지하게 모색하고 있습니다.
성경의 가르침이라는 변치 않는 진리 위에 서서 변화하는 시대적 도전 속에서도 신앙과 실천의 균형을 잃지 않도록 돕는 이 책은, 전통적인 실천신학의 기초와 목회 커리큘럼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점검하는 데 귀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무엇보다 오늘날 교회와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깊이 있는 실천적 통찰을 제공하며 목회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가능한 지침을 제시한다는 점이 돋보입니다. 단순히 이론적 논의에 머무르지 않고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길을 함께 탐구하며 현대 교회와 목회의 미래를 고민하는 이들에게 중요한 방향을 제시합니다.
본서는 목회자와 신학생은 물론 신앙과 사명을 진지하게 고민하는 그리스도인들에게도 큰 유익을 줄 것입니다.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도 변함없는 진리 안에서 신앙과 실천의 균형을 추구하려는 모든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추천사 2
정갑신 목사
예수향남교회 담임목사
본서는 말씀과 현장을 복음적 성찰 위에서 잇고자, 목회 현장과 관련되는 실천적 과제들을 복음적 통찰 위에서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적합한 혜안을 통해 제공합니다. 곧, 실천신학의 개념과 현대 사회의 도전, 방법론이라는 기초를 점검하고, 전통적인 실천신학의 제 분야들과 새롭게 들여다보아야 할 이슈들을 망라하되, 성경의 진리와 신학을 실제적인 삶의 차원과 연결하려는 분투를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신학이 시대와 함께 시대를 관통해야 한다는 과제가 실천신학만큼 집요하게 요청되는 분야가 없다는 각성에 새삼 눈을 뜨게 하는 이 책이, 목회자들과 신학생들에게 실제적인 유익으로 남기를 기대하면서 이 책을 추천합니다.
추천사 3
황병준 박사
제26대, 제27대 한국실천신학회 회장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실천신학과 교수
본서는 실천신학의 개념과 학문적 성격, 그리고 그 적용 분야를 총망라한 중요한 학문적 작업의 결정체로서 신학과 실천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저자는 실천신학이 단순히 이론적 신학을 넘어서, 실제 신앙 공동체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실천적 과제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지에 대해 명확하고 실용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제1부에서는 실천신학의 기초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이 학문이 다루는 범위와 특성, 그리고 그 방법론을 심도 있게 설명합니다. 21세기라는 현대적 맥락에서 실천신학이 당면한 도전과제들을 진지하게 탐구하며, 급변하는 사회와 문화적 환경 속에서 신학적 실천의 방향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합니다.
제2부에서는 전통적인 실천신학의 주요 분야인 목회신학, 설교학, 예배학, 기독교교육학, 전도학과 선교학을 다루고 있으며, 각 분야가 현대 교회와 사회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와 이론을 제시합니다. 또한 실천신학이 단순히 교리적 지식을 넘어 신앙 공동체의 실제적인 삶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잘 보여줍니다.
제3부에서는 급변하는 21세기 사회에서 실천신학이 새로운 영역을 어떻게 탐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이어갑니다. 영성학, 리더십과 행정, 실버목회, 다문화목회, 통일목회 등의 주제를 다루며, 각 주제는 한국교회가 직면한 구체적인 상황과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접근을 제공합니다. 특히 다문화 사회와 통일 문제에 대해 신학적 통찰과 함께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한국교회가 시대적 사명에 어떻게 부응할 수 있을지에 대해 중요한 방향을 제시합니다.
저자의 서문에서도 밝힌 것처럼, 실천신학은 단지 신학적 이론을 넘어서, 그리스도인의 삶과 실천을 구체적으로 다루는 중요한 학문입니다. 본서는 성경의 진리 위에 서서 시대적 상황과 소통하는 신학적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그 실천이 단지 이론적인 차원에 머물지 않고, 구체적인 삶의 변화로 이어져야 함을 설파합니다.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본서는 실천신학이 어떻게 시대적 과제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고, 교회와 사회의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모든 신학도와 목회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책은 단지 이론적 깊이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신앙 공동체의 실천적 과제를 다루는 데 있어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21세기라는 복잡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본서는 목회자와 신학을 공부하는 신학도들에게뿐만 아니라, 신앙의 실천을 고민하는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본서를 적극 추천하며, 특히 현대 한국교회의 신학적 사명과 실천적 과제들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필독서로 권합니다.
저자 서문
실천신학은 신학이라는 이론적 작업에 앞서서 실천(praxis)이라는 전제가 부가된 용어로서 이론과 관련한 비판적 시각과 더불어 신앙과 목회의 실천을 담지하는 양면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간단히 정의하기가 어렵다. 신학에 대한 정의 자체도 신앙적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고, 실천과 관련한 개념 역시 그러하므로 양자를 동시에 정리하는 것은 개념적 복잡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이에게 값없이 임하는 구원의 복음이라는 확고한 기반 위에서 상황적 양상을 반영하는 것이 신학적 과제라는 일반적인 관점 위에서 실천신학을 정의하며 이론과 실천을 조명하는 것이 오늘날 한국교회의 사명 및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적 삶에 유용한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실천신학이라는 개념이 담고 있는 신학의 실천이란 그리스도인이 개인의 삶은 물론, 가정, 교회, 사회에서 믿음의 삶을 실천하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믿음의 실천을 위해서 하나님 말씀(the Text)에 굳건히 서서 시대적 상황(the Context)을 통해 들려주시는 하나님의 음성을 들으며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여야 한다. 이는 그리스도인의 실천이 개인의 내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삶의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러한 실현을 위하여 성경의 가르침을 따라 신학의 확고한 이론적 기초 위에 서 있어야 함을 요청한다. 급변하는 현대 사회의 흔들리는 시류만을 바라본다면 오히려 신학적 실천의 기반이 흔들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대적 진리의 표준인 성경의 가르침에 굳건히 뿌리내린 실천이 요구되며, 외적으로 드러나는 결과가 아니라 출발점과 과정 역시 성경적이어야 이론적 토대도 강화되고 실천도 온전케 된다. 그러한 차원에서 3부로 구분된 본서는 1부에서 실천신학의 개념, 방법론, 의의를 점검하였고, 2부에서는 코이노니아, 케리그마, 레이투르기아, 디다케, 디아코니아 등 5대 목회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실천신학의 제 분야를 살펴보았으며, 3부는 21세기의 상황에서 새로이 조명해야 할 영성학 리더십과 행정, 실버목회, 다문회목회, 통일목회를 조명하였다. 본서가 하나님의 말씀이 성경의 가르침을 토대로 시대적 상황과 소통하며 지속적인 실천신학의 발전을 이루는 하나의 모퉁이돌이 되길 바란다.
2025년 2월
최 성 훈 박사
한세대학교 신학과 및 신학대학원 실천신학 교수, 영산글로벌신학연구소장
최성훈 교수
성경의 가르침(the Text)과 삶의 현장(the Context) 그리고 신학(Theology)과 목회(Ministry) 간의 균형과 통합을 지향하는 신학자요 목회자이다. 장로로서 재산을 헌금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교단의 교회를 설립한 증조부와 조부 및 순복음동아교회를 거쳐 개척한 순복음동성교회를 후배 목회자에게 헌납하고(현 서울 송파구 순복음세광교회) 순복음신학교의 교수로 섬긴 고(故) 최동환 목사의 아들로서 4대째 기독교 가문에서 태어났다. 서강대학교 경제학과(B.A.), 미네소타 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 비즈니스 스쿨(Carlson School of Management, M.B.A.), 한세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종교학 석사(M.A. in Religious Studies)를 거쳐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원(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에서 실천신학 철학 박사(Ph. D.) 학위를 받았다. 신학 학업 이전에 삼성증권과 Citibank N.A. 등 금융사에서 근무하였고, 강남교회 교회학교 교장목사, 강남금식기도원 주강사, 순복음시카고교회, 여의도순복음광명교회 협동목사로 사역하였으며, 시카고신학교(Chicago School of Theology) 교수를 거쳐 현재 한세대학교 신학과 및 신학대학원의 실천신학 교수, 영산글로벌신학연구소장으로 섬기고 있다.
추천사1 ⦁ i
추천사2 ⦁ ii
추천사3 ⦁ iii
저자서문 ⦁ v
01
실천신학의 이해
01 실천신학의 이해 5
1. 실천신학의 개념 6
2. 실천신학의 학문적 성격 8
3. 실천신학의 범위 9
4. 실천신학의 특징 12
02 21세기 실천신학의 도전 17
1. 시대정신의 변화 18
2. 인구통계학적 변화 21
3. 신학의 분화 24
4.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27
03 실천신학의 방법론과 발전 31
1. 실천신학 방법론의 의의 32
2. 실천신학의 방법론 33
3. 우리나라의 실천신학 도입과 발전 43
4. 한국 실천신학의 현황과 미래 46
02
전통적 실천신학
04 목회신학 55
1. 목회자의 소명과 평신도신학 56
2. 교회개척론 59
3. 목회학과 목회신학 64
4. 목회적 돌봄과 목회상담학 67
05 설교학 73
1. 설교의 개념과 형식 74
2. 설교의 준비 79
3. 설교의 전달 83
4. 설교의 평가 87
06 예배학 93
1. 예배의 이해 94
2. 예배와 성례전 99
3. 교회력과 절기 102
4. 예배의 공간 109
07 기독교교육학 117
1. 기독교교육의 의미 118
2. 기독교교육의 이론 121
3. 소그룹과 제자훈련 128
4. 기독교교육의 평가 130
08 전도학과 선교학 135
1. 복음전도의 의미와 역사 136
2. 전도의 방법론 141
3. 선교학 144
4. 선교학의 발전 148
03
21세기 실천신학
09 영성학 159
1. 영성의 개념 160
2. 영성학의 발전 164
3. 영성학 방법론 166
4. 한국교회의 영성 170
10 리더십과 목회행정 179
1. 리더십의 정의와 발전 180
2. 리더십 이론과 한국교회 182
3. 목회행정의 정의와 원리 187
4. 목회행정의 과업 189
11 실버목회 197
1. 노년의 개념 198
2. 노년의 특성과 노화이론 202
3. 실버목회 프로그램 206
4. 삶과 죽음의 윤리 212
12 다문화목회 219
1. 다문화의 개념과 현황 220
2. 성경의 다문화 사례 226
3. 다문화이론과 다문화주의 228
4. 다문화목회 232
13 통일목회 239
1. 남북관계와 통일의 개념 240
2. 독일 통일의 교훈 244
3. 남북의 이해와 화해 249
4. 하나됨의 성경적 가치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