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강의 영상 자료 + 강의 PPT 제공)
신간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강의 영상 자료 + 강의 PPT 제공)
저자
정제영 외 11인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3.03.01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12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6519-374-4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정가
20,000원

초판발행 2023.03.01

★ 강의 영상 자료 + 강의 PPT 제공 (교수님 인증 필수)

https://www.pybook.co.kr/mall/customer/lecturepds?seq=1574&page=1&scate=&skey=&sword=


많은 학자들이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가 도래하였다고 말한다. 이러한 분위기는 교육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어서,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나은 교육의 모습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 분야를 비롯한 다른 사회 분야의 변화 속도에 비해 교육 분야의 변화가 느리다는 비판이 있기도 하다. 하지만, 급격한 변화가 힘들다는 것은 오히려 교육의 중요한 속성이라 할 수 있으며, 현실 교육의 여러 장면에서 교육 혁신을 위한 다양한 노력은 신중하고 끈기 있게 이어져 왔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교육 현실의 변화와 이론의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연구가 교육학 영역에서 축적되어 왔다. 디지털 전환의 흐름이 가속화된다면 교육학 연구는 더 큰 변화와 발전의 계기를 맞이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책의 초기 기획 아이디어는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동문수학한 선후배들의 모임에서 시작되었다. 각자의 교육학 전공 분야에서 교육과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동문들이 모여서 의미 있는 공동의 작업을 해보기로 의견을 모았고, 제시된 여러 아이디어 중에서 책을 쓰자는 것에 모두 공감을 하게 되어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하게 되었다. 가장 많은 공감을 얻은 부분은 교육학에 관심을 갖고 입문하는 새로운 학문 후속세대들에게 자신 있게 권할 만한 입문서를 써보자는 것이었다. 초심자가 조금 더 흥미롭게 교육학에 입문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입문서를 쓴다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도전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슈를 가지고 교육학 이론을 풀어나가는 개론서를 쓸 수 있다면, 실제 교육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관점으로서 교육학 이론의 가치를 충분히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 책의 집필에는 12명의 저자가 참여하였다. 크게는 3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PART 1은 학생 이해하기, PART 2는 교실 수업 이해하기, PART 3은 학교와 정책 이해하기’로 이루어져 있다. PART 1은 3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는데, 1장 ‘난 이렇게 우울한데 넌 어떻게 행복한 거니?’는 교육상담을 전공한 이한종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2장 ‘교육심리학의 개념은 왜,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는 교육심리학을 전공한 임효진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3장 ‘그 학생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질적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와 교육정책을 전공한 조현명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PART 2는 5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는데, 4장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독일까 약일까?’는 교육과정을 전공한 강지영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5장 ‘수행평가는 미래 교육을 위한 평가가 될 수 있을까?’는 교육측정평가를 전공한 강태훈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6장 ‘학생 개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까?’는 교육공학을 전공한 김동호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7장 ‘학생의 학업성취는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는 교육측정평가를 전공한 김준엽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8장 ‘조선시대 학교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수업했을까?’는 교육사를 전공한 이상무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PART 3은 4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는데, 9장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는 교육행정학을 전공한 박소영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10장 ‘교육감이 바뀌면 교육정책이 바뀌는가?’는 교육행정학을 전공한 박주형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11장 ‘학교 조직은 어떻게 개선해야 할까?’는 교육행정학을 전공한 정제영 교수가 집필하였다. 12장 ‘개천용은 왜, 어디로 사라졌을까?’는 교육사회학을 전공한 황지원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다양한 전공의 배경을 갖고 있는 교수들이 모여서 공동의 작업을 하는 것은 학계에서 쉽지 않은 도전적 과제이다. 우리는 전통적인 교재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많은 아이디어를 모으고 형식도 새롭게 바꾸고자 노력하였다. 플립러닝 방식을 도입하고, 사례와 문제 중심으로 교육학을 접할 수 있도록 구성을 새롭게 하였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성과라면 자발적으로 집필에 참여하신 교수님들이 의기투합하여 한 명의 이탈자도 없이 출판까지 마무리하게 된 것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렇게 출판의 결실을 맺게 된 것은 모두 참여해주신 교수님들의 인내와 노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지면을 빌어서 참여해주신 교수님들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전해드린다. 그리고 출판의 기획에서부터 험난한 교정의 과정까지 실질적으로 이끌어주신 박영스토리 임직원분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이 책은 앞서 언급했듯이 교육학에 입문하는 분들의 학문적 갈증을 해소해보고자 하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부디 이 책을 통해서 그런 학문적 갈증이 해소된다면 너무나도 기쁜 일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서 독자들이 새로운 학문적 갈증을 느끼게 된다면 이것 또한 더할 나위 없는 중요한 성과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이번에 출판하는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 초판은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려는 노력의 출발점이다. 앞으로 새 판을 거듭하면서 사회 변화에 발맞추어 이 책 역시 함께 진화해가기를 진심으로 소망한다. 


2023년 3월

저자들을 대표하여 정제영

정제영(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미래교육연구소장)

서울대학교 교육학박사

전) 이화여자대학교 기획처장, 호크마교양대학장


강지영(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Indiana University 교육과정 박사(Ph.D)

전) 이화여자대학교 연구원


강태훈(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교육심리학(양적방법론) 박사(Ph.D)

전) 성신여대 교육혁신원장, CRESST/UCLA Senior Research Associate


김동호(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University of Georgia 교육공학 박사(Ph.D) 

전) University of Florida 조교수


김준엽(홍익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교육측정 및 평가 박사(Ph.D)

전) Charles Drew University 교수


박소영(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교수, 교육연구소장)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교육행정학박사(Ph.D) 

전)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박주형(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Florida State University 교육행정학 박사(Ph.D) 

전)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이상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조교수)

서울대학교 교육학박사

전) 한남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이한종(춘천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입학처장)

Waseda University 인간과학박사(Ph.D)

전)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장


임효진(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수)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교육심리학 박사(Ph.D) 

전)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조현명(이화여자대학교 미래교육연구소 연구교수)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교육학 박사(Ph.D.)

전)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연구원


황지원(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미래혁신원 부원장, IR센터장)

서울대학교 교육학박사

전) 서울시립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장

PART 1 학생 이해하기

CHAPTER 01 난 이렇게 우울한데 넌 어떻게 행복한 거니?(이한종)

1. 우울의 순기능과 역기능 4

2. 우울을 일으키는 생각 5

3. 인지 재구조화의 절차 9

CHAPTER 02 교육심리학의 개념은 왜,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임효진)

1. 교육심리학 개념에 대한 관심 35

2. 교육심리학 개념을 적용할 때의 난점 40

3. 교육심리학을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태도 48

CHAPTER 03 그 학생은 무엇으로 사는가?(조현명)

1. 정체성의 추구와 ‘나’의 목소리 54

2. 거부의 의미와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은” 마음 61


PART 2 교실 수업 이해하기

CHAPTER 04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독일까 약일까?(강지영)

1.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왜 해야 할까? 78

2.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무엇이 문제일까? 79

3.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어떻게 해야 할까? 86

CHAPTER 05 수행평가는 미래 교육을 위한 평가가 될 수 있을까?(강태훈)

1. 수행평가의 의미와 필요성 98

2. 수행평가 관련 주요 이슈별 현황 및 쟁점 102

3. 미래 교육을 위한 수행평가 113

CHAPTER 06 학생 개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까?(김동호)

1. 맞춤형 교육 시대의 도래 118

2. 에듀테크와 맞춤형 교육의 관계 119

3. 맞춤형 교육과 관련된 주요 개념들 122

4. 에듀테크 기반 맞춤형 교육과 관련된 쟁점들 145

CHAPTER 07 학생의 학업성취는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김준엽)

1. 학업성취도의 개념과 유형 156

2. 학성성취에 대한 평가방식: 준거참조와 규준참조 159

3. 학업성취 평가의 실제 166

4. 생각해볼 문제 171

CHAPTER 08 조선시대 학교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수업했을까?(이상무)

1. 김홍도의 ‘서당’에서 확인하는 전통적인 교육 방식 178

2. 향교의 등교 방식과 수업 방식 182

3. 성균관의 교육 방식 188

4. 역사적 관점에서 다시 생각해보는 오늘날의 교육 방식 191


PART 3 학교와 정책 이해하기

CHAPTER 09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박소영)

1. 교사가 되는 과정 202

2. 교사로서의 입문 207

3. 교사의 삶 211

4. 교사의 성장 216

5. 사회의 변화와 교사의 미래 역량 220

CHAPTER 10 교육감이 바뀌면 교육정책이 바뀌는가?(박주형)

1. 교육감 선거의 의미 226

2. 교육감 선거를 둘러싼 논란 227

3. 교육감의 권한과 그에 대한 견제 제도 230

4. 교육감과 시도교육정책 변화 234

CHAPTER 11 학교 조직은 어떻게 개선해야 할까?(정제영)

1. 학교는 어떤 조직일까? 244

2. 학교 조직은 어떻게 구성되고 운영되는가? 246

3. 학교 조직의 문화는 어떠한가? 251

4. 학교 조직은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256

CHAPTER 12 ‘개천용’은 왜, 어디로 사라졌을까?(황지원)

1. 교육현상을 사회적으로 본다는 것의 의미 270

2. 개천용은 정말로 줄어들었을까? 273

3. 생각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될 두 개의 이론들 277

4. 교육을 사회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왜 필요할까 286


찾아보기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