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3.03.01
본서는 20세기 말 이후 주목받고 있는 신학 분야인 공공신학을 통해 21세기의 변화와 도전에 대응하는 공적 신앙의 모습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조명하였다. 아직 역사가 일천하고, 다양한 지역에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는 탓에 아직 구성의 단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공신학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하나님께서 창조하시고, 사랑하셔서 구속하신 대상으로 포용하는 한편, 그 세상이 온전히 기능하며 하나님께 기쁨이 되도록 하는 실천적 방법론으로서의 지침을 제공하며 끊임없이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론이기 때문이다. 4부(Part)로 나누어 구성한 본서는 각 장(Chapter)마다 세 개의 절(Section)로 편성하여 해당 장이 다루는 현대사회의 이슈에 대하여 공공신학의 렌즈를 통해 분석하였다.
1부는 “현대사회와 공공신학”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현대사회의 특징과 도전에 대하여 공공신학의 방법론을 통해 거시적으로 조명하였다. 구체적으로 1장은 사상적 차원에서 포스트모더니즘, 기술공학 및 정치경제적 차원에서 4차 산업혁명, 사회문화적 차원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19 시대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의 특징과 도전을 다루었고, 2장은 공공신학의 태동 및 발전을 공공신학의 접근방식과 현대사회에 있어서 신앙의 공적 책임을 통해 조명하였다. 3장은 영적 세계, 현대적 영성, 삶과 죽음의 윤리에 대한 복음의 공적 의미를 공공신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2부는 “경제와 공적신앙”이라는 주제 아래에서 기본소득, 가상화폐, 종교인 과세와 이중직 목회 등의 소주제들을 다루었다. 4장은 기본소득 논의의 배경과 찬반의 입장을 조명한 후 이에 대한 신학적 점검을 통해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5장은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가상화폐의 화폐 및 자산적 가치를 점검하고, 향후 가능성에 대하여 공공신학의 관점에서 조명하였으며, 6장은 투명한 재정 운영 및 민주적 의사결정 방식을 강조하는 현대사회의 흐름 속에서 종교인 과세와 이중직 목회에 대하여 성경적 가르침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3부는 “정치와 공적신앙”이라는 주제 아래에서 대통령 권력과 종교, 전쟁이론과 통일신학, 군종제도 등의 소주제들을 살펴보았다. 7장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및 한국전쟁을 전후한 건국 초기 우리나라 개신교의 성장 원인을 점검하는 한편, 이후 대통령 권력을 중심으로 정치와 종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8장은 기독교를 중심으로 다양한 전쟁이론을 평가하고, 국방개혁 2.0과 통일신학의 관계를 조명하였고, 9장은 국방개혁 2.0과 더불어 새로이 주목받는 군종장교의 역할과 관련하여 군종제도의 역사와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점검하였다.
4부는 “사회와 공적신앙”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21세기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차별의 사례를 중심으로 여성, 노인, 동성애에 대하여 점검하였고, 한류를 중심으로 문화적 공공성의 의미와 복음의 역할을 조명하였다. 10장에서는 여성혐오와 성차별을 중심으로 기독교의 여성관과 성평등의 성경적 의미를 점검하였고, 11장은 코로나 19라는 사회적 재난을 통해 노인차별에 대한 공공신학적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12장은 동성애 담론을 중심으로 찬반 논쟁을 점검하는 한편, 차별금지법을 중심으로 성경적 견해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13장은 한류의 확산을 K-Pop을 통해 조명하며 오늘날 한국교회의 문화적 공공성 및 복음 사이의 균형을 도모하고,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았다.
신앙의 공공성을 바탕으로 사회와 소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기독교 복음의 본질이요, 기독교 윤리의 기반인 사랑이다. 소위 “사랑장”으로 불리는 고린도전서 13장에서 사랑에 대하여 직접 설명한 구절은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한다는 것이며(고전 13:4, 6), 나머지는 모두 사랑이 아닌 것을 나열하며 사랑의 품성과 대조하고 있다. 오래 참는 것은 사랑의 의지요, 온유함은 사랑의 속성이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는 것은 사랑의 본질적 기반이다. 그러나 인간의 연약함과 죄성은 그러한 의지를 약화시키고, 속성을 흐리며, 진리를 왜곡시킨다. 공공성을 통해 사회와 소통하는 한국교회 역시 자칫하면 그러한 죄성으로 인하여 단순히 악한 행실을 피하는 것에서 자기만족과 자기의에 빠질 수 있고, 반대로 악한 행실을 범하는 이들을 바리새적 율법주의로 정죄하기 십상이다. 그와 같은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성령의 도우심을 의지하며 성령의 열매를 맺는 성품을 굳건히 해야 하며, 그러한 성령의 성품이 그리스도의 사랑을 통해 사회와 대화하는 공공신학의 기반으로 기능해야 할 것이다.
본서가 의지가 박약하고, 죄악된 본성을 통해 서로를 정죄하기에 바쁜 인간들을 향해 먼저 사랑을 베풀어 주신 하나님의 사랑(요 3:16)과 성령의 도우심을 견지하는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우리 사회가 직면하는 다양한 이슈들을 조명하는 한편, 그러한 이슈들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을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이 시대의 언어로 바꾸어 적용함으로써 신앙과 삶의 일치와 조화를 이루는 데에 공헌하고자 한다. 또한, 본서가 성경 본문의 가르침(the Text)과 시대적 상황(the Context)을 연결하는 전통적인 신학의 균형을 도모하고, 21세기 현대사회의 인간 실존을 신앙에 기반한 보편적 담론을 통해 조명하여 신학의 존재 이유를 명확히 하는 한편, 후기 세속사회에서 복음의 사회적 적용력을 증대시키는 작은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2023년 2월
최 성 훈 박사
한세대학교 신학부 및 신학대학원 공공신학/실천신학 교수
최성훈 교수
성경의 가르침(The Text)과 삶의 현장(The Context) 그리고 신학(Theology)과 목회(Ministry) 간의 균형과 통합을 지향하는 신학자요 목회자이다.
서강대학교 경제학과(B.A.), 미네소타 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 비지니스 스쿨(Carlson School of Management, M.B.A.), 한세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종교학석사(M.A.,inReligiousStudies)를거쳐트리니티복음주의신학대학원(TrinityEvangelical Divinity School)에서 실천신학 철학 박사(Ph.D., in Educational Studies) 학위를 받았고, 현재 한세대학교 신학부 및 신학대학원의 공공신학/실천신학 교수로 섬기고 있다.
추천사 iii
서 문 iv
01 현대사회와 공공신학
01 현대사회의 특징과 도전 3
1.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적 도전 4
2. 4차 산업혁명의 기술공학 및 정치경제적 도전 9
3. 포스트 코로나 19 시대의 사회문화적 도전 13
02 공공신학의 태동과 발전 21
1. 공공신학의 태동 22
2. 공공신학의 접근방식 26
3. 현대사회와 신앙의 공적 책임 32
03 현대사회와 복음의 공적 의미 41
1. 사탄의 존재와 영적 전쟁 42
2. 새벽예배와 금식기도의 영성 54
3. 자살과 복음 71
02 경제와 공적 신앙
04 기본소득과 하나님 나라 97
1. 기본소득 논의의 역사와 배경 98
2. 기본소득에 대한 입장 103
3. 기본소득에 대한 신학적 분석 108
05 비트코인과 가상화폐 121
1. 비트코인의 태동과 발전 122
2. 비트코인의 경제적 의의 127
3. 비트코인에 대한 신학적 분석 132
06 종교인 과세와 이중직 목회 143
1. 종교인 과세 144
2. 이중직 목회에 대한 신학적 조명 151
3. 성경의 3대 명령과 이중직 목회 158
03 정치와 공적 신앙
07 대통령 권력과 종교 173
1.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의 개신교 174
2. 초대대통령에서 군사정권까지 176
3. 문민정부 이후 21세기 185
08 전쟁이론과 통일신학 195
1. 기독교와 전쟁이론 196
2. 국방개혁 1.0에 대한 반성과 국방개혁 2.0 203
3. 국방개혁 2.0과 통일신학 211
09 군종제도의 역사와 발전 227
1. 군종제도의 역사 228
2. 우리나라 군종제도의 운영과 발전 232
3. 21세기의 새로운 도전과 대응 238
04 사회와 공적 신앙
10 여성혐오와 성차별 249
1. 여성혐오와 성차별의 개념 251
2. 기독교 여성관과 여성의 지위 254
3. 복음의 의미와 성평등 260
11 사회적 재난과 노인차별 271
1. 연령주의와 노인차별 273
2. 코로나 19가 노년층에 미친 영향 277
3. 노인차별에 대한 공공신학적 대처방안 282
12 동성애에 대한 오해와 이해 295
1. 우리나라의 동성애 담론 296
2. 동성애와 차별금지법 309
3. 동성애에 대한 성경의 견해 315
13 한류와 문화적 공공성 325
1. 한류와 현대목회 327
2. 방탄소년단의 사례 331
3. K-Pop과 복음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