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교장론: 성찰적 실천의 관점
신간
교장론: 성찰적 실천의 관점
저자
Thomas J. Sergiovanni, Reginald Leon Green
역자
신현석, 이경호, 정양순, 윤지희, 신범철, 이예슬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2.10.11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560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6519-348-5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정가
33,000원

초판발행 2022.10.11


본서는 Thomas J. Sergiovanni와 Reginald L. Green이 저술한 ‘The Principalship’을 번역한 것이다. 언젠가부터 leadership을 ‘지도성’ 대신 그냥 영어의 우리말 표기인 ‘리더십’으로 번역하듯이, principalship도 ‘교장론’ 대신 ‘프린시펄십’이라고 번역할 수도 있으나 어딘가 어색하다. 하긴 principalship이라는 단어도 우리말로 ‘교장론’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합한지도 의문이다. 사전에는 ‘교장의 직’이라고 해석되어 있지만 또 다른 문헌에서는 ‘교장학’이라는 표현도 있다. 그렇지만 어느 것 하나 원어 principalship의 본래 의미에 온전히 부합되는 것 같지는 않다. 그래서 사실 이 책을 번역하면서 principalship을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가 첫 번째 고민이었다. 

영어 단어 principalship과 같이 ‘사람+ship’로 구성된 합성어는 많다. leadership(leader+ship), membership(member+ship), friendship(friend+ship), scholarship(scholar+ship), sportsmanship(sportsman+ship)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사람+ship’의 합성어들은 대부분 있는 그대로 앞 사람의 ‘직위’ 혹은 ‘직책’을 의미하지만, 영어 원전을 읽다 보면 단순히 표면적인 직위의 사실적 표현 이상이 담겨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leadership은 단순히 리더라는 직책에 대한 로고스적인 이야기만 담겨있는 것이 아니라 리더로서의 에토스적인 내용도 같이 포함되어 있다. 즉, 리더의 행위에 관한 사실적인 내용뿐 아니라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기품과 풍모 등 판단을 요하고 당위를 요하는 규범적인 내용까지도 같이 곁들여져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사람+ship’의 합성어는 해당 직위에 있는 사람의 직책 수행과 관련이 있는 사실적 행위와 규범적 기풍이 복합적으로 곁들여진 개념으로 해석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따라서 본 번역서에서 principalship을 ‘교장론’이라 번역한 것은 ‘교장 혹은 교장직에 대한 제반 논의’를 포괄하는 의미에서 의역한 것임을 먼저 밝힌다.

본 번역서의 원전은 교장론에 대한 진지한 논의와 풍부한 자료의 제시 그리고 학습을 위한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라는 전형적인 미국의 대학원 교재의 공통적인 특징을 넘어선 가치가 있는 저작으로 평가된다. 무엇보다 우선해서 제기할 수 있는 이 책의 가치는 세계 교육행정학계의 석학으로서 Thomas J. Sergiovanni의 3대 바이블적 교재 중의 하나라는 것이다. Supervisi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Governance와 함께 본서 Principalship은 단순히 과거와 현재의 지식을 쌓아놓은 대학원 수업을 위한 판매용 교재가 아니라 개정에 개정을 더해 판 수가 누적될 때마다 그 분야의 학자들과 그들의 저작이 놓치고 있는 숨겨진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논의의 흐름을 주도하고 미래를 예견하는 놀라운 혜안을 발휘해왔다. 7판인 본서는 ‘성찰적 실천의 관점’(A Reflective Practice Perspective)이라는 부제하에 학교를 도덕적 공간으로 보고 공동체적 접근을 통해 그동안 학교를 효율적 조직관리 입장에서 합리적이고 타산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던 전통적 관점의 반성과 성찰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따른 교장의 역할과 해야 할 일들이 무엇인지를 이 책은 담담하면서도 호기 있게 그려내고 있다.

7판인 이 책에는 이전 판에서는 볼 수 없었던 학교 리더십의 새로운 필수요건과 교장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교장의 역할과 기능을 업데이트하는 데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활용하였다. 본 판은 이러한 내용 구성의 충실한 업데이트뿐 아니라 대학원 교육을 위한 교재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성찰적 질문이 포함된 시나리오를 제공하여 이 책에서 논의된 개념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장 말미에 제시되어 있는 ‘자신에 대한 이해’에서는 성찰적 질문을 통해 각 장에서 논의된 주요 개념과 쟁점들을 독자들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이 외에도 제4장에서는 교장론의 새로운 이론이 확장·소개되고 있으며, 교육 변화를 이끌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모형들이 제15장에서 추가되었다.


본서의 저자들은 7판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고 소개하고 있다.

? 교장 리더십에는 4개의 차원이 있다.

? 효과적인 교장 리더십에는 힘과 단계가 있다.

? 교사 효과성 모형이 대두하고 있다.

? 효과적인 학교들은 학습공동체들이다.

? 전문성 개발은 학교 개선에 활용될 수 있는 필수적인 도구이다.

? 효과적인 교장은 수업 리더십을 발휘한다.

? 효과적인 교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장학이 중요하다.

? 학교 리더십에는 도덕적 명령들이 있다.

위와 같은 아이디어와 함께 본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질문들이 답해진다.

1. 교장은 무엇을 알 필요가 있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

2. 교장은 어디서, 어떻게 시간을 보내는가?

3. 오늘날 학교장들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도전적인 이슈는 무엇인가?

4. 효과적인 교장은 지역과 학교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5. 효과적인 교장은 어떻게 경영과 리더십 기능을 조화시키는가?

6. 교육청은 교사 효과성을 어떻게 측정하는가?

7. 학교에서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이점은 무엇인가?

8. 효과적인 학교 리더들의 역량과 성향은 무엇인가?

9. 학교 리더십의 도덕적 명령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들은 미국의 학교장들이 어떤 사람들이고,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사실적으로 알 수 있는 것들이기에 비교의 관점에서 우리에게도 중요하다. 또한 학교장의 리더 역량에 대한 학술적 연구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현실에서 교장들은 그것들이 먼 이야기처럼 들리는 연구와 실제의 괴리를 느끼고 있고, 정책적으로 추진하려는 위로부터의 압박으로부터 실천의 간극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과 긴장으로 마음 편할 날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장은 여전히 학교 안팎으로 중요한 존재이며 공동체의 리더로서 그에 부합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이한 생각을 가진 다중적 가치 집단을 목표 지점을 향해 이끌어가야 한다. 교장이 갖는 이러한 존재론적, 가치론적 위상은 미국이나 우리나라나 별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특별히 위와 같은 질문이 어떻게 답해지는지 본서의 내용을 심각하게 이해하고 고민할 필요가 있다.

본 역서의 번역에는 현장 교직경험이 풍부한 현직 교장과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그들은 모두 대학원에서 교육행정학 박사과정 공부를 하고 학위를 취득한 소위 ‘중간계 지식인’들이다. 또한, 그들은 현직 경험이 풍부하면서 박사학위가 있는 실제와 이론 영역 사이에 있는 그냥 중간적 존재가 아니라 학습한 것을 현장에 실천하여 개선하고, 현장의 경험을 연구를 통해 이론화하는 능동적 지식인으로서 ‘학자-실천가(scholar-practitioner)’이다. 학자-실천가는 학술적 실천가(scholarly practitioner)로 해석되든 아니면 실천적 학자(practical scholar)를 의미하든 상관없다. 그들은 이론과 실제 사이에서 현장 기반 연구를 중심으로 이론을 실용화하고, 실제를 근거 있게 개선하는 데 몰입하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하는 실용적 지식인’이다. 이러한 중간계 실용적 지식인들은 향후 한국 교육행정학을 이끌어가는 데 중추적인 다수로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 믿고, 새로운 학풍 조성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본서는 단순히 이론과 지식을 나열하는 수준의 책이 아니기 때문에 번역할 때 개념의 적합한 선택과 행간 혹은 문장 뒤에 감춰진 의도와 맥락을 끄집어내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더욱이 현장 경험이 풍부한 번역진의 높은 이해력에도 불구하고 여러 사람이 공동 번역을 하는 과정에서 공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일관성 있는 개념의 선택과 사용이 쉽지 않았다. 그래서 일일이 처음부터 끝까지 개념과 내용의 일관성과 통일성을 검토하고 재검토하는 과정을 거쳤다. 쉽지 않은 작업이었지만 이런 노력과 수고를 아끼지 않은 번역진의 노고와 열정에 감사를 드리고 싶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귀한 책을 번역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고, 기다려준 박영스토리의 직원들에게도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번역진을 대표하여 신현석 씀

저자 소개 


Thomas J. Sergiovanni

Sergiovanni는 현재 Texas주 San Antonio시에 있는 Trinity University에서 Lillian Radford 교육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이 대학에서 학교 리더십 및 5년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강의하고 있다. Trinity 대학으로 옮기기 전에, Sergiovanni는 University of Illinois-Urbana Champaign 교육행정학과 교수로 19년 동안 재직했었고, 학과장으로 7년을 봉직했다. 그는 이전에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의 부편집장,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및 Catholic Education: A Journal of Inquiry of Practice의 편집위원으로도 활약했었다. 그의 최근 저서로는 Moral Leadership (1992),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1994), Leadership for the Schoolhouse (1996), The Lifeworld of Leadership: Creating Culture, Community, and Personal Meaning in Our Schools (2000), Strengthening the Heartbeat Leading and Learning Together in Schools (2005), Supervision: A Redefinition (2007), Rethinking Leadership (2007) 등이 있다.


Reginald Leon Green

Green은 현재 University of Memphis에서 교육 리더십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이 대학 전에는 Ohio주 Dayton시에 있는 Wright State University의 교육행정학과 교수로 있었다. 그보다 전에는 초증등학교 교사, 교장, 부교육장, 교육장 등으로 재직한 이력이 있다. 1977년에 그는 Rockefeller 재단의 교육장 양성 프로그램(Superintendency Preparation Program)에 참여하는 전국에서 뽑힌 5인 중의 한 사람이었다. 1996년에는 John Goodlad 박사가 소장으로 있었던 Institute for Educational Renewal의 부소장으로 활동하였다. 

최근에 Green은 저서인 Practicing the Art of Leadership: A Problem-Based Approach to Implementing the ISLLC Standards(4판)과 The Four Dimensions of Principal Leadership: A Foundation for Leading 21st Century Schools(초판)을 출간하였다. 그는 또한 도심 교육에 관한 저술 및 교육 재구조화, 학교폭력 등 교육 현장의 최근 쟁점들을 다루는 연구논문을 쓰기도 하였다. Green은 또한 최근에 학교를 육성하는 데 필요한 특성 및 학교 재생 노력의 한 부분으로서 행해지고 있는 기준과 평가척도에 관한 전국적 조사를 마쳤다. 이 작업을 통해, Green은 비전통적인 접근을 활용하는 도심 학교들에 근무하게 될 5년짜리 교장 양성 프로그램을 직접 운영하면서, 이 프로그램이 소속된 Center for Urban School Leadership의 발전을 견인하였다. 현재 그는 수업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는 교육 리더십, 학교 재생, 저성취 학교들을 전환시키는 모형에 관한 과목들을 강의하고 있다.



역자 소개


신현석(Shin, Hyun-Seok)

위스콘신대학교 대학원 교육행정학과 졸업(철학박사)

한국교육정치학회,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육행정학회 회장 역임

고려대학교 기획예산처장, 사범대학장 및 교육대학원장 역임

현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이경호(Lee, Kyoung-Ho)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학 및 고등교육학 전공 졸업(교육학박사)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위원회 위원 및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포럼 위원장 역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및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장 중임 심사위원 역임

한국교육리더십연구소 블로그 운영

현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연구교수


정양순(Jung, Yang-Soon)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학 및 고등교육학 전공 졸업(교육학박사)

경기도교육청 중등교사 역임

교육부 교육연구사 및 교육연구관 역임

현 경기도 발산중학교 교장


윤지희(Yoon, Ji Hee)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학 및 고등교육학 전공 졸업(교육학박사)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포럼 위원 역임

현 인천숭의초등학교 교사


신범철(Shin, Beomchul)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학 및 고등교육학 전공 졸업(교육학박사)

현 인천논현초등학교 교사


이예슬(Lee, Ye-Seul)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학 및 고등교육학 전공 졸업(교육학박사)

현 교육부 교육연구사

PART 01 

도덕적 차원


CHAPTER 01 무대의 세팅: 도덕적 기예로서의 행정 3

관계적 신뢰 구축하기 4

교장론의 관점 5

리더십의 심장, 머리, 손 6

도덕적 명령 8

리더십의 도덕적 차원에 대한 이해 14

심장박동 강화하기 16

13가지 핵심역량 19

목표는 팔로워십이다. 27

학교의 특성 구축하기 33

민주적 가치에 대한 헌신 33

시간, 감정, 초점 36

서번트 리더십 38



PART 02 

교장 리더십 이론의 새로운 지향


CHAPTER 02 교장 직무의 현재와 미래 47

교장직 역할의 정의: 이상 대 현실 48

두터운 비전: 가치기반 접근 50

서열 깨기(Breaking Ranks) 51

표준 중심 접근 56

교구 설립학교 61

관리 업무의 복잡성 64

낙오아동방지법(NO CHILD LEFT BEHIND) 67

요구, 제약 그리고 선택 69

변화하는 교장의 역할 70

정상을 향한 경주(RACE TO THE TOP) 76

교장의 우선순위: 인식 비교 79

향후 전망 82

수업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강조 84

직접 및 간접 리더십 86


CHAPTER 03 전통적 관리 이론의 한계 94

실천의 마음풍경 95

깔끔족 96

성찰적 실천: 혼란족의 패러다임 97

마음풍경 바꾸기 101

서로 상반된 전통적 관리이론과 리더십의 비교 107


CHAPTER 04 교장론을 위한 새로운 이론 118

교장 리더십의 새로운 이론을 지향하며 118

새로운 이론과 학교 리더십 122

새로운 이론과 학교 조직 125

새로운 이론 및 관계 128

새로운 이론과 동기부여 전략 개발의 쟁점 132

새로운 이론과 수업 변화 133

새로운 이론과 사람을 개선 기획 과정에 어우러지게 하는 지점에 대한 쟁점 135

사건 혹은 확률 통제하기? 137

우리의 은유 변화시키기 140


CHAPTER 05 도덕적 공동체로서 학교 148

공동체 이야기 149

사회적 규약 151

공동체 이론 152

관계의 중요성 157

패턴 변수 159

올바른 균형 찾기 161

결속과 가교 구축 162

공동체는 왜 중요한가? 164

학생 학습의 경로 174



PART 03 

리더십 제공하기


CHAPTER 06 리더십의 힘과 학교의 문화 186

리더십의 힘 188

학교문화의 역동적 측면 198

학교문화에 대한 초보적 이해 204


CHAPTER 07 리더십의 단계: 발전적 관점 219

리더십 권위의 원천 221

리더십의 단계 226

리더십이 결합과 결속에 의해 작동하는 이유 228

리더십 유형이 역시 중요하다 230

명장 리더들이 매우 중요하다 231

검토 중인 리더십 원형들 232

아이디어 기반 리더십 234


CHAPTER 08 리더공동체 안에서 이끌어가기 242

실제적인 쟁점들 244

실천으로서의 리더십 245

교장론을 위한 새로운 리더십 가치 247

분산적 리더십 258

호혜주의가 열쇠이다 259

구성주의 리더십 260

리더들의 공동체 261



PART 04 

수업 리더십


CHAPTER 09 성공적인 학교들의 특징 271

성공적인 학교의 특징들 273

학업에 대한 압박과 공동체 279

학교 특성의 중요성 280

성찰적 실천 284


CHAPTER 10 마음의 공동체되기 292

목표의 중요성 296

교육 플랫폼 활용하기 300

목적화가 핵심이다 301

학습의 원칙 306

아이디어로 이끌기 307

규율과 자유재량 모두 중요하다 314

필요한 리더십 제공하기 317


CHAPTER 11 교수, 학습, 그리고 공동체 328

이론 비교하기 329

장학에의 함의 332

“효과적인 교수”에 대한 연구 333

교수와 기초 기능 점수 향상 339

최근의 연구  340

이해를 위한 교수 341

공통 핵심 주 표준 조치 346

학습공동체로서 교실 347

참학습 349

참학습을 위한 기준 350

통합적 관점 351

목적과 목표 353


CHAPTER 12 수업 리더십, 장학 그리고 교사개발 363

연수 모형 367

전문성 개발 모형 368

전문성 개발의 새로운 면 369

갱신 모형 370

교사개발과 교사 역량의 유형 372

전문적 지식의 성격 373

장학에 대한 성찰 374

장학과 평가 375

교사개발을 학교 효과성에 연결하기 382

교사가 목표를 성취하도록 도와주기 384


CHAPTER 13 임상장학, 코칭, 동료간 탐구, 그리고 다른 장학 실제 391

장학 모형: 역사적 개관 393

한 예로서 임상장학 395

임상장학을 위한 지름길 전략 404

장학의 또 다른 접근 406

LoveJoy 초등학교에서의 읽기 능력 제고하기 407

동료장학 409

학생 과업 들여다보기 410

코칭 413

순회하는 리더로서 코치 414

교사 협력 415

진화하는 직업 416



PART 05 

동기부여, 헌신, 그리고 변화


CHAPTER 14 동기부여, 헌신, 그리고 교사의 직장 423

정책과 실제의 문제와 모순 424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429

동기부여 이론과 연구를 활용하여 실제에 알려주기 434

특별한 사례로서 여성 442

동기부여, 효능감 그리고 학생 성과 443

신념의 파워 445


CHAPTER 15 변화 과정 454

채택과 실행을 넘어서 455

변화에 대한 체제적 관점 458

저항을 극복하고 변화하기 460

학교 개선의 이론 463

수업 개선을 위한 모형 466

개선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470

개선의 주도와 학습의 지속적인 유지 471

몇 가지 윤리적인 질문들 476

변화 촉진팀 477

교육 변화의 의미 479

도덕적 목적이 요체이다 480


용어사전   485

참고문헌   499

색인      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