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2.09.28
교육은 인간의 정신을 기르는 독특한 노동이다. 카페에서는 음료를 제공하고, 호텔에서는 잠자리를 제공하며, 공장에서는 노동력을 제공하면 그만이지만 교실과 강단에서는 지식 이상의 무엇을 제공하려 한다. 교육이 겨냥하는 것은 바로 ‘인간 형성’(human formation)이다. 전통적으로 교사는 최선을 다해 수업을 준비해 왔지만 이런 오랜 관습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른바 ‘초연결사회’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제 교실이 아닌 스크린에서도 얼마든지 새로운 지식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벨기에 루뱅대학의 요리스 빌레흐(Vileghe, 2022)는 교사 혹은 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교육을 ‘것/사물 중심’(thing centered)으로 보자고 말한다. 오프라인이건 온라인이건 교사와 학생이 공동으로 사랑하는 세계에 참여하는 활동으로 교육을 이해하자는 것이다. 이 발상은 교사 중심도, 학생 중심도 아닌 교사와 학생 모두가 공동으로 바라는 ‘것’을 찾는 활동에 초점을 맞춘다. 그런가 하면, 팬데믹으로 인한 교육 불평등이 깊어지면서 우리 모두는 학교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마스켈라인과 시몬스(Masschelein & Simons, 2013)는 학교야말로 당장 무언가를 만들어 팔지 않아도 되는, 놀이처럼 무언가를 해도 되는 공간이며 이 공간에서 바로 ‘진정한 인간=시민’이 형성된다고 말한다.
이들의 생각은 정보사회를 배경으로 한다. 빌레흐가 스크린에서도 벌어지는 교육의 희망을 찾는다면 마스켈라인과 시몬스는 비대면 시대에 학교가 가진 의미를 새롭게 바라본다. 이 책에 실린 필자들의 생각도 다르지 않다. 우리 또한 지난 2년간 비대면 교육을 경험하면서 교육의 의미와 학교의 존재 이유를 다시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빅데이터·소셜로봇·암호화폐·감시사회(최승현), 이미지화된 과학실험(신세인),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포츠(송주호), 새로운 세대를 위한 수학(박병도), 시민을 위한 법교육(손경찬), 뉴미디어 시대의 본다는 의미(하영유), SF 문학교육(황지영), 바둑과 포스트휴먼(전가일),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 경험(임지은·최진), 성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길혜지), 대학교수의 비대면 수업 경험(윤현위)과 같은 주제로 글을 쓴 것은 이 때문이다. 우리는 이런 다양하고 이질적인 생각들을 모아 ‘뉴미디어 시대의 지식과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세상과 소통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자신의 분야를 매개로 교수자로서 품은 ‘인간 형성’이라는 목적이 녹아있다.
이 책이 나오는 데에 많은 분들이 힘을 보태 주셨다. 이 책에 흔쾌히 글을 내어주신 동료 연구자, 충북대학교 사범대학의 선·후배 교수님, 그리고 교육 서적 출판에 앞장서 온 박영스토리 관계자분들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비록 능력과 경험이 부족한 소장 학자들이지만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하는 열정만큼은 누구보다 높다. 그 열정이 독자들에게 가 닿기를 희망한다.
2022년 9월 저자 일동
1장 최승현 교육철학 전공.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교육학 박사.
2장 신세인 생물교육학 전공. 충북대학교 생물교육과 교수. 전북대학교 교육학 박사.
3장 송주호 운동역학 전공. 충북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국민대학교 이학 박사.
4장 박병도 기하학 전공. 충북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뉴욕시립대학교 이학 박사.
5장 손경찬 법학 전공. 충북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법학 박사.
6장 하영유 미술교육학 전공.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강사. 서울대학교 교육학 박사.
7장 황지영 국문학 전공.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문학 박사.
8장 전가일 아동학 전공.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아동학 박사.
9장 임지은 교육공학 전공. 대구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퍼듀대학교 교육학 박사.
최 진 교육철학 전공. 대구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교육학 박사.
10장 길혜지 교육측정평가 전공.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교육학 박사.
11장 윤현위 인문지리학 전공. 충북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건국대학교 이학 박사.
P/A/R/T 1
뉴미디어 시대의 지식
정보사회에서 가상사회로 / 최승현(충북대 교육학과)
1. 19세기의 자본과 21세기의 정보사회 3
2. 정보사회의 철학: SNS‧빅데이터‧인공지능 8
3. 가상사회의 도래: 아마존‧비트코인‧VR혁명 20
4. 새로운 감시사회 28
5. 디지털 시민의 육성 30
뉴미디어에 비춰지는 과학 실험의 이미지 그리고 과학 미디어 리터러시 / 신세인(충북대 생물교육과)
1. 뉴미디어 시대와 과학 33
2. 실험이라는 콘텐츠 37
3. 과학 미디어 리터러시 43
4. 나가며 46
이번엔 스포츠다 / 송주호(충북대 체육교육과)
1. 스포츠 트렌드와 미래 49
2. 스포츠 현장에서의 동작분석 52
3. 스포츠 경기 비디오판독(VAR) 55
4. 스포츠과학 이야기 57
5. 송박사의 스포츠 이야기 70
어떻게 하면 수학을 잘할 수 있을까? / 박병도(충북대 수학교육과)
1. 서론 95
2. 왜 수학을 잘해야 하는가? 96
3. 어떻게 하면 수학을 잘할 수 있는가? 102
4. 몇 가지 편견에 대한 반론 111
5. 수학을 잘하는데 도움을 주는 환경 115
법학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학문으로서의 ‘법학’과 직업으로서의 ‘법률실무’는 다른가? / 손경찬(충북대 사회교육과)
1. 시작하며 121
2. 법학의 어제 122
3. 법학의 오늘 136
4. 마치면서: 법학의 내일 141
P/A/R/T 2
뉴미디어 시대의 교육
미적 판단력과 인간 성장: 우리의 보는 방식은 우리를 어떻게 살게 하는가? / 하영유(서울교육대 미술교육과)
1. ‘본다’는 의미와 ‘보는 것을 배운다’는 의미 147
2. ‘보는’ 존재로서의 주도권 되찾기 153
3. 미적 경험과 미적 판단력: 아름다움을 알아보는 눈과 그 삶 173
SF문학을 활용한 서사교육 / 황지영(충북대 국어교육과)
1. 문학교육의 현주소와 SF문학의 가능성 187
2. SF문학을 활용한 교육 방안 193
3. 디지털 미디어 시대와 희망을 담은 SF문학 211
포스트휴먼 배움의 독특성 탐구: 반상 위에서 답을 찾는 세 명의 프로기사 이야기 / 전가일(연세대 교육연구소)
1. 시작하는 고원 219
2. 탐구의 방법 225
3. 반상 위에 펼쳐지는 포스트휴먼적 세계의 독특성 228
4. 세 명의 사범, 세 가지 (스승의) 길 236
5. 바둑(교육)에서 드러나는 포스트휴먼의 페다고지 258
6. 또 다른 고원으로 나가며... 290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대학수업을 통해 본 인격적 관계 형성의 가능성 / 임지은, 최진(대구교육대 교육학과)
1. 들어가며 299
2. 짚어볼 이론적 자원들 302
3. D대학교 학생들의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수업 사례 307
4.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수업을 통해 본 인격적 관계형성의 특성 312
5. 나가며 325
성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형성적 목적에서 평가하기 / 길혜지(충북대 교육학과)
1. 평가가 일상화된 사회, 평가의 목적은 무엇인가? 337
2. 디지털 전환기, 성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어떻게 실시되는가? 339
3. 성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는 어떠한 목적에서 실시되고 있는가? 347
4. 성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어떻게 평가하고 활용해야 할까? 355
나의 비대면 수업 분투기 / 윤현위(충북대 지리교육과)
1. 들어가며 361
2. 방황하며 당황했던 나날들 364
3. 학생이 없는 학교에서 370
4. 나가면서 376
찾아보기 /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