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
신간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
저자
한국교육철학학회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0.05.15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464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6519-054-5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정가
26,000원

중판발행 2024.01.31

중판발행 2021.05.24

초판발행 2020.05.15


2019년 봄은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들로 뜻깊게 시작되었다. 왕국, 제국이 아니라 민국(民國) 건립의 초석을 놓은 독립선언서에 담긴 숭고한 의지와 새로운 꿈은 가슴 벅찬 울림으로 되새겨졌다. 그것은 정의와 인도적 정신에 대한 믿음으로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과 자유의 정당한 권리뿐 아니라 인류평등과 동양평화의 가치를 세계만방에 알린 선언이다.

특히 “힘으로 억누르는 시대가 가고 도의가 이루어지는 시대”가 온다는 신념과, “원래부터 풍부한 독창성을 발휘하여 봄기운 가득한 세계에 민족의 우수한 문화를 꽃피울 것”이란 결의와, “남녀노소 구별 없이 어둡고 낡은 옛집에서 뛰쳐나와, 세상 모두와 함께 즐겁고 새롭게 되살아날 것”이란 희망으로 끝맺은 선언서의 힘찬 언어는 오늘날 우리에게 그 위대한 정신이 추구했던 교육의 현재적 의미를 되짚어 보게 한다.

그동안 일제강점기 민족교육은 항일독립을 위한 구국계몽 ‘운동’으로 간주된 편이며, 선각자들의 교육활동에 관한 사실을 넘어 그들을 움직인 ‘사상’에 대한 탐구는 미진했다고 진단한다. 전통 유학과 서구 근대문화가 부딪힌 격동기에 나라 잃은 통한 속에서 교육사상가들은 세계사적 변화를 통찰하며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깨닫고 되찾고자 교육의 새 길을 밝혔다.

안창호, 조소앙, 박은식, 방정환 등등, 이름만으로 익숙한 듯 스쳐 지나온 인물들의 교육 본질에 대한 사유와 실천은 낯설게 다시 대면하여 오늘의 교육에 주는 의미를 탐구해 볼 필요가 있다. 압제와 차별에 저항하며 자유와 평등(균등)과 민주의 가치를 일깨운 선각자들의 사유와 실천은 한국의 자생적 근대교육철학의 맥을 잇는 보고로 재발견될 것이다.

한국교육철학학회는 이러한 인식하에 2019년 11월 16일 연세대학교에서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이라는 주제로 연차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주권상실기)라는 엄혹한 시공간에서 이룩된 교육사상의 다차원적 갈래들과 후속 과제들을 밝혀 보았다.

특히 문명전환기의 유교교육사상, 동학·천도교를 기반으로 배태된 아동교육사상, 기독교계와 사회주의계를 중심으로 형성된 여성교육사상, 민족주의적 기독교교육사상, 애국과 세계시민성을 결합한 평화교육사상 등을 중요한 주제 영역들로 재조명해 볼 수 있었다. 이 책은 그 공동작업의 첫 열매로, 안창호, 조소앙, 박은식, 신채호, 김창숙, 정인보, 양한나, 근우회, 방정환, 안중근, 이승훈, 함석헌, 김교신의 교육사상 및 관련 연구 현황과 과제를 짚은 글로 구성된다.

100년 전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은 국내외적 위기 속에서 갈등과 분열과 혐오가 심화되는 오늘날 나라와 교육의 백년대계를 향한 오래된 미래가치를 밝혀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마련된 일제강점기 한국교육철학의 다차원적 지형도에 대한 작은 청사진이 향후 새로운 주제 영역을 발굴하고 연구의 폭과 깊이를 더해 가는 발판이 되기를 소망한다. 끝으로, 일제강점기 교육사상 관련 전문가로서 학술대회 주제발표에 참여하고 이번 책 작업을 위해 원고를 다시 다듬어 주신 저자들께 감사를 드린다. 또한 이 책의 출판을 기꺼이 허락하고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주신 박영사 회장님과 편집 담당 선생님들께도 거듭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

2020년 5월
한국교육철학학회

고원석(高元錫)
독일 Rhein. Friedrich-Wilhelms-Univ. Bonn(Dr. theol.). (現)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저서> Von semiotischen Bühnen und religiöser Vergewisserung(2020, 공저). 「현대 기독교교육방법론」(2018). 「성경읽기 프로젝트: 몸으로 영으로」(2019, 공저). 「기독교교육개론」(2013. 공저). 「종교교육론」(2013. 공저)
<역서> 「비블리오드라마로의 초대」(2016). 「어린이와 함께 배우는 신앙의 세계」(2016, 공역). 「성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2010, 공역)
<주요논문> 기호학과 기독교교육(2019). 아비투어의 과거와 현재: 독일 아비투어 제도에 대한 역사적 고찰(2018). Gerechtigkeit als Zeichenprozess(2018). 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루터의 삶과 신학(2017).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비블리오드라마(2016). 잉고 발더만의 성서교수학(2014) 외 다수

김기승(金基承)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現)순천향대학교 향설나눔대학 교수
<저서> 「한국근현대 사회사상사 연구」(1994). 「조소앙이 꿈꾼 세계」(2003). 「21세기에도 우리문화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2003, 공저). 「제국의 황혼」(2011, 공저). 「고불 맹사성의 생애와 사상」(2014). 「아산의 독립운동사」(2014, 공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론가 조소앙」(2015). 「유림 독립운동의 상징 심산 김창숙」(2017) 등
<주요논문> 신채호의 독립운동과 역사인식의 변화(2010). 4월혁명과 한국의 민족주의(2010). 심산 김창숙의 사상적 변화와 민족운동(2012). 한국독립당의 정치노선과 통일(2012). 도산 안창호의 대공주의와 조소앙의 삼균주의 비교 연구(2015). 언론에 나타난 신간회 해체 논쟁의 전개과정(2018). 20세기 초 독립운동가들의 사회진화론 극복과 평화사상 형성(2019). 조소앙과 ‘적자보’ 연구(2020) 외 다수

김윤경(金潤璄)
성균관대학교 박사(한국유가철학). (現)조선대학교 연구교수
<저서> 「청소년을 위한 한국철학사」(2007). 「생각이 크는 인문학(공부편)」(2013). 「(초등학교)더불어 나누는 철학」(2015, 공저)
<주요논문> 하곡 철학의 조선성리학적 기반(2013). 정인보 ‘조선얼’의 정체성(2016). 19세기 조선 성리학계의 양명학 비판양상(2017). 근대기 현실인식과 개혁에 관한 불교와 하곡학의 교섭(2017). 조선후기 주자학과 양명학의 知行논변과 그 함의(2018). 근대전환기 實心實學의 다층적 함의(2019) 외 다수


김정인(金正仁)
서울대학교 인문대 국사학과 대학원(문학박사). (現)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저서> 「천도교근대민족운동연구」(2009).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2015). 「19세기 인민의 탄생」(2015, 공저). 「한국근대사」2(2016, 공저).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2016).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2017). 「대학과 권력」(2018). 「오늘과 마주한 3.1운동」(2019). 「너와 나의 5.18」(2019, 공저)
<주요논문> 한국 민주주의 기원의 재구성(2018). 일제시기 국민과 시민 개념의 식민성과 반식민성(2018). 3.1운동, 죽음과 희생의 민족서사(2018). 3.1운동과 임시정부 법통성 인식의 정치성과 학문성(2018). 역사소비시대, 대중역사에서 시민역사로(2019). 젠더 관점에서 본 3.1운동의 재현(2019) 외 다수

박의수(朴義洙)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교육학 박사). 강남대학교 명예교수
<저서> 「도산 안창호의 생애와 교육사상」(2010). 「교육의 역사와 철학」(1993, 공저). 「민족교육의 사상사적 조망」(1994, 공저). 「인간주의 교육사상」(1996, 공저). 「21세기 문화 창조와 율곡학」(2001, 공저). 「도산 안창호의 리더십」(2004, 공저). 「좋은 교육」(2007, 공저). 「인성교육」(2008, 공저) 외 다수
<역서> 「교육의 잠식」(1996, 공역). 「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론」(1997, 공역)
<주요 논문> 선비상에 관한 교육 사상사적 고찰(1982). 민족주의와 국민교육제도(1986). 율곡 교육사상의 인식론적 연구(1991). 뉴질랜드 교육개혁의 추진과정과 한국 교육개혁에 주는 시사점(2006) 외 다수

박재순(朴在淳)
한신대학교 신학박사. (現)씨ᄋᆞᆯ사상연구소 소장
<저서> 「한국 생명신학의 모색」(2000). 「다석 유영모: 동서사상을 아우른 창조적 생명철학자」(2008). 「씨ᄋᆞᆯ사상」(2010). 「함석헌의 철학과 사상」(2012). 「유영모 함석헌의 생각 365」(2012). 「다석 유영모의 철학과 사상」(2013). 「민중신학에서 씨ᄋᆞᆯ사상으로」(2013). 「모름의 인식론과 살림의 신학」(2014). 「삼일운동의 정신과 철학」(2015). 「애기애타: 안창호의 삶과 사상」(2020)
<공저> 「한국생명사상의 뿌리」(2001). 「이용도 김재준 함석헌 탄신 백주년 특집논문집」(2001). 「민족의 큰 사상가 함석헌」(2001). 「함석헌 사상을 찾아서」(2001). 「씨알·생명·평화: 함석헌의 철학과 사상」(2007).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유영모·함석헌의 철학과 사상」(2010). 「모색: 씨알철학과 공공철학의 대화」(2010). 「참 사람됨의 인성교육」(2015). 「한국인의 평화사상」(2018)

송순재(宋舜宰)
독일 Eberhard-Karls-Univ. Tübingen(Dr. rer.soc.). (前)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前)서울시교육연수원장. (現)한국인문사회과학회 회장.
<저서> 「유럽의 아름다운 학교와 교육개혁운동」(2000). 「상상력으로 교육에 말 걸기」(2011). 「혁신학교: 한국교육의 미래를 열다」(2017, 편저). 「코르착 읽기」(2017)
<역서> 「꿈의 학교, 헬레네랑에」(2012). 「덴마크 자유교육의 선구자 크리스튼 콜」(2019, 공역)
<주요논문> 유학공부론(儒學工夫論)의 심미적-예술적 성격(2004). 한국에서 ‘대안교육’의 전개과정, 성격과 주요 문제(2006). 아동·청소년 폭력예방을 위한 전체적-예방적 대응 방안 모색(2015). 게슈탈트 교육학의 한 시도로서의 알버트 회퍼(A.Höfer)의 통합적 성서교수학에 대한 일 연구(2016) 외 다수

우정길(禹貞吉)
독일 Justus-Liebig-Univ. Giessen(Dr. Phil.). (現)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저서> Lehren und Lernen mit Bildern(2008, 공저). Lernen und Kultur(2010, 공저). 「포스트휴머니즘과 인간의 교육」(2019).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2019. 공저). Confucian Perspectives on Learning and Self-Transformation(2020. 공저). 「한나 아렌트와 교육의 지평」(2020, 공저)
<역서> 「마틴 부버의 교육강연집」(2010)
<주요논문> Teaching the unknowable Other: humanism of the Other by E. Levinas and pedagogy of responsivity(2014). Niklas Luhmann의 체계이론과 교육적 관계에 대한 소고(2015). Revisiting Orbis Sensualium Pictus: An Iconographical Reading in Light of the Pampaedia of J.A. Comenius(2016) 외 다수


유재봉(兪在奉)
영국 런던대학교(UCL Institute of Education)(Ph.D). (現)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저서> 「종교교육론」(2013, 공저). Balancing Freedom, Autonomy and Accountability in Education 4(2012, 공저) 등
<역서> 「교육연구의 철학」(2015, 공역). 「다문화시대 대화와 소통의 교육철학」(2010, 공역)
<주요논문> 비교교육학과 교육철학: 비교교육철학을 지향하며(2018). 학교 인성교육의 문제점과 방향(2016). 영국의 종교교육: 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의 가능성 탐색(2013). 학교폭력의 현상과 그 대책에 대한 철학적 검토(2012). Hirst's Social Practice Views of Education(2001) 외 다수
 
이우진(李偶賑)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박사). (現)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저서> 「사라진 스승: 다시 교사의 길을 묻다」(2018, 공저). Korean Education: Educational Thought, Systems and Content(2018, 공저) 등
<역서> 「프레이리와 교육」(2014, 공역). 「동아시아 양명학의 전개」(2016)
<주요논문> 신유학의 아동교육(1-2)(2015-2016). 关于王阳明《五经臆说》的研究(2015). 왕양명의 사회교육사상: 남감향약을 중심으로(2015). 태주학파 왕간의 친서민적 교육사상(2015), 黃宗羲学案之韩国的展开:河谦镇之《东儒学案》(2017), 오시오 츄사이(大塩中斎)의 歸太虚 工夫論 연구(2018), 오시오 츄사이의 洗心洞 강학 연구(2018) 외 다수

정경화(鄭京和)
미국 Columbia University, Teachers College(Ph.D.) (現)숙명여자대학교, 부산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강사
<저서> Teaching, Learning, and Schooling in Film(2015, 공저)
<주요논문>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적 덕’과 ‘성품적 덕’ 개념을 통해 본 ‘선한 이’의 도덕적 지각 (2015). 니체의 두 가지 도덕과 현대의 학교교육: 학교의 사회화 기관으로서의 재구조화(2019) 외 다수

정혜정(丁惠貞)
동국대학교 교육학 박사. (現)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저서> 「몸-마음의 현상과 영성적 전환」(2016). 「백년의 변혁」(2019, 공저)
<역서> 「동학문명론의 주체적 근대성」(2019)
<주요논문> 3.1운동과 국가문명의 ‘교(敎)’: 천도교(동학)를 중심으로(2018). 일제하 식민지 여성해방운동과 동아시아(2019). 한국 근대 서구 국가사상 수용에서의 정치체제 유형과 자연권(2019). 일제하 ‘학술강습소’의 문화운동과 샘골학원(2019) 외 다수
한현정(韓炫精)
일본 東京大學대학원(철학박사). (現)창신대학교 교수
<저서> 「일본의 재난방지 안전안심교육」(2017, 공저). 「해외의 영유아교육」(2018, 공저)
<역서> 「教育の哲学」(2006, 공역)
<주요논문> 植民地朝鮮の児童雑誌研究 ― 「オリニ」 読者欄を中心に(2013). Adventure Stories and Geographical Imagination in Japanese and Korean Children’s Magazines, 1925-1945 (2015). 일본 초등교과서에 나타난 지진재해 관련서술의 변천(2017). 세계인식 형성에 있어서 교과서의 삽화의 역할(2017) 외 다수

황금중(黃金重)
연세대학교 교육학 박사. 한국교육사학회장 역임. (現)연세대 교육학과 교수
<저서> 「학學이란 무엇인가」(2014). 「교육과 성리학」(2017, 공저). 「연희전문학교의 학문과 동아시아 대학」(2016, 공저). 「한국 문화전통과 배려의 윤리」(2015, 공저). 「유교적 공공성과 타자」(2014, 공저). 「역사 속의 교육공간 그 철학적 조망」(2011, 공저) 외
<역서> 「대학공의·대학강의·소학지언·심경밀험」(2016, 공역)
<주요논문> 마음챙김(mindfulness) 기반 교육(2019). 퇴계 성리학에서 敬의 의미와 실천법(2018). 성(性)·리(理)의 세계관과 공부론(2016). 주희(朱熹)와 듀이(J. Dewey)의 만남(2014). Educational modes of thinking in Neo-Confucianism(2013) 외 다수

주권상실기 안창호의 교육운동과 교육사상 2
조소앙의 삼균주의와 교육사상 32
한국근대기 박은식의 교육문명 전환의 철학과 실천 62
단재 신채호의 민족에 대한 상상과 영웅 106
심산 김창숙의 교육사상 – 민족주의, 민주주의, 유교교육 운동을 중심으로 134
정인보의 교육사상과 민족교육 162
약자를 위한 저항과 계몽 – 양한나의 독립·자립·돌봄의 정신을 중심으로 198
근우회 여성운동가들의 교육계몽론 220
천도교 신문화운동과 방정환의 교육사상 – 1920년대 천도교의 사회주의 수용을 중심으로 244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시민교육 266
이승훈의 삶에 대한 기독교교육학적 함의 302
함석헌의 ‘인간’교육사상 332
인간교육을 위한 김교신의 철학과 방법 368
일제강점기 교육사상가 연구의 현황과 전망 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