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판 2025.01.20
중판 2024.08.20
중판 2023.08.31
중판 2022.09.10
제2판 2018. 3. 2
초판 2012. 3. 5.
먼저 2012년에 출판된 1판에 대한 많은 독자들의 관심과 격려에 감사드린다.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1판이 출판되었던 당시와 비교해 볼 때, 질적연구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였고, 여러 학문분야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수행된 연구물들도 늘어나고 있다. 대학원 과정에서 질적 연구에 대한 강좌가 개설되고, 여러 기관에서 특강을 개설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개정판은 질적 연구에 대한 이러한 현실적 관심도를 고려하고, 앞으로 사회과학 분야에서 비중 있는 연구방법으로서의 존재감을 반영하는 형태로 만들어졌다.
개정판에서는 기본적으로 1판의 구성을 유지하면서 1장(질적 연구의 철학적 배경), 3장(질적 연구방법의 탐구유형), 19장(질적 연구방법의 최근 동향)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또한 1판에서 제시되었던 16개의 모든 장에 대한 내용 수정 및 보완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 책은 총 19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4장(근거이론 방법), 13장(문서),16장(테크놀로지와 질적 연구), 17장(질적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18장(질적 연구 윤리), 19장(질적 연구방법의 최근 동향)의 집필은 유기웅 교수가, 5장(문화기술지), 7장(사례연구), 12장(관찰), 16장(테크놀로지와 질적 연구), 19장(질적 연구방법의 최근 동향)은 정종원 교수가, 1장(질적 연구의 철학적 배경), 6장(현상학적 연구), 9장(내러티브 연구), 10장(질적 연구 설계), 14장(질적 연구 자료분석법), 15장(글쓰기)은 김영석 교수가, 그리고 2장(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3장(질적 연구방법의 탐구유형), 8장(실행연구), 11장(인터뷰)은 김한별 교수가 각각 집필하였다.
이 책이 질적 연구방법의 모든 것을 설명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단지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와 실천적 활용에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랄 뿐이다. 이 책에 대한 여러 독자들의 소중한 의견을 기대하고 앞으로 더욱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질적 연구방법을 발전시켜야 할 의무가 저자들에게 있다.
개정판 출판 과정에 많은 도움을 주신 박영사 안종만 대표님, 안상준 상무님, 이선경 과장님, 박송이 대리님, 그리고 원고 교정 작업에 수고한 유예인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8년 3월
저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