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1.01.20
개정판발행 2025.10.30
이 책을 쓴 지 어느새 5년이 지나갔다. 초판 프롤로그에 나와 있는 것처럼 비재무(자기실현)에 대한 은퇴자 본인과 사회전반의 이해가 부족하다는 문제로부터 이 책은 출발하였다. 우리나라 은퇴설계 논의가 너무 재무위주로 되어 있다는 것도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실제 은퇴생활에 써먹을 수 있는 은퇴설계서를 은퇴자들에게 제공하려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었다.
그 사이 은퇴자들의 삶에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좀 나아졌을까. 그랬으면 좋으련만 별로 그런 것 같지 않다. 노인빈곤율은 여전히 40%를 유지하고 있고 OECD 1위 노인자살률도 변함이 없다. 40% 소득대체율도 마찬가지다. 전과 좀 다른 것은 정부와 각 지자체가 노인일자리에 열을 올리는 건데 과연 이런 게 은퇴자의 삶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지 의문이다.
보통은 선, 후진국 관계없이 행복지수가 청소년기를 지나면서 낮아졌다가 50대 이후 반등하는 U자형을 그리는 것이 일반적인데 우리나라만 노년에도 계속 하락하는 예외적인 모습을 보인다.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 노인들만 행복하지 않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연금제도 불비 등의 문제로 빈곤에 처한 노인들이 은퇴 후에도 불가불 원하지 않는 일자리에 계속 매달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일에서 벗어나지도 못하면서 경제적인 여유도 없는 우리나라 은퇴자, 노인의 문제를 크게 ‘가난하다’와 ‘행복하지 않다’로 정리할 수 있다. 가진 것도 없고 마음의 여유도 없다와 같은 말이다.
이 책은 ‘은퇴자가 가난하다’에도 관심이 있고 그에 해당하는 내용도 있다. 하지만 주안점은 은퇴자의 행복의 문제, 즉 비재무에 있다. 비록 은퇴자의 환경은 대단히 열악하지만, 그래서 상당히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재무조건에 불구하고 은퇴자가 대처할 수 있는 길이 있다고 보고 그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것은 자기 인생, 즉 주도적 삶을 살자는 것이다. 그러면 웬만한 재무의 어려움은 넘어설 수 있다고 전제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이 책이 제시하는 방법은 극히 작은 것 한 가지다. 은퇴설계다(물론 이게 조금 포괄적이긴 하지만). ‘읽는 분들이 보다 쉽게 은퇴설계서를 작성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가 개정판을 쓰게 된 동기이다. 개정판에서는 그런 목적으로 다음 두 가지에 신경을 썼다.
첫째, 은퇴설계가 중심이 되도록 체계를 바꿨다.
1장 은퇴생활, 쉽지 않다
2장 성공적 은퇴생활, 준비에 달려 있다
3장 은퇴설계, 이렇게 하면 된다
4장 은퇴, 50 이후의 자유
둘째, 실제 은퇴설계서 작성이 가능하도록 쉽고 간결하게 설명하고자 노력했다.
단 한 번뿐인 은퇴자의 삶이기에 설사 재무가 좀 부족하고, 또 이런저런 어려움이 있어도 은퇴설계와 실행이라는 일종의 루틴으로 맞서고 버티자는 것이 이 책이 제시하는 길임을 다시 한번 밝힌다.
물론 스스로의 인생, 자신의 주도적인 삶, 내면의 자유, 이런 것들은 결국 자신의 몫이다.
끝으로 개정판이 나올 수 있도록 훌륭한 기획과 섬세한 편집으로 도움을 준 정성혁 과장님과 우석진 편집위원을 비롯한 박영사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25. 10. 01
이 덕 수
이덕수
은퇴디자인연구소장, 경영학박사
한림대 금융재무학과 객원교수, 노후재무상담사
은행생활 30년을 마치고, 한림대 금융재무학과 객원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은퇴디자인연구소장이며, 노후재무상담사로서 현재 아이덴티티는 은퇴디자이너, 은퇴전문가, 은퇴강사이다.
동국대 법학과를 거쳐, 은행을 다니는 동안 고려대 경영대학원 에서 금융경제를 공부하여 경영학 석사학위를, 강원대에서 지 역금융을 공부하여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은행 은퇴 후에 연세대 원주캠퍼스 경영학부에서 금융에 대해 강의하였고, 미소금융 춘천지점 대표를 지내기도 하였다.
금융관련으로는 지역금융에, 은퇴에 관해서는 은퇴자의 자유로 운 삶에 관한 분야인 비재무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지은 책으로 『초보자도 쉽게 읽는 금융』이 있다.
DESIGN
이덕수의 은퇴디자인연구소
ㆍ duksoo33@hanmail.net
ㆍ www.facebook.com/duksoo33
ㆍ blog.naver.com/duksoo33
차 례
개정판 프롤로그 __ iii
프롤로그 __ vi
제1장 은퇴생활, 쉽지 않다
은퇴자, 불안하다 3
유발 하라리의 10% 8
한글과 은퇴생활 13
금수저와 조선의 은퇴자들 19
‘명분론’, 왜 문제인가 25
노인은 가난하다 30
재무환경, 좋지 않다 36
분노, 이권집단, 집단지성 42
꼰대와 은퇴생활 48
제2장 성공적 은퇴생활, 준비에 달려 있다
인식전환(은퇴는 좋은 것이다) 55
은퇴, 변화와 전환 59
정체성 찾기와 삶의 스타일 64
습관 70
은퇴자의 친구, 독서 77
PIES 82
은퇴로 잃는 것과 얻는 것 89
제3장 은퇴설계, 이렇게 하면 된다
은퇴자에게 있어서 경력 97
은퇴설계 영역 103
비재무설계 전략 108
재무설계 전략 113
퇴직연금, 이렇게 하면 된다 120
여가와 포트폴리오 125
은퇴설계서 작성하기 131
성공적 은퇴설계의 요소 136
제4장 은퇴, 50 이후의 자유
은퇴자, 끝없는 향상, 가능하다 143
리추얼, 필요하다 149
버텨야 한다 155
은퇴자의 희망이 분노를 이긴다 160
연습을 많이 하면 쓰러져도 일어난다 166
기죽지 말자 171
열정 178
동네의 작은 행복 183
은퇴설계는 통합의 미학이다 188
역전승 194
은퇴, 50 이후의 자유 199
부 록 __ 205
주 석 __ 215
참고문헌 __ 219
찾아보기 __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