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법이란 무엇일까. 궁금하다면 바로 다음 책장을 넘기면 된다. 그러면 가느다란 버드나무 가지 하나만큼의 설명이 나올 것이다. 그게 전부다. 그 다음은 독자의 몫이다.
표지의 그림은 클로드 모네의 작품 버드나무이다. 표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으나 결론은 그림이었다. 그런데 수천 장의 명화를 보고 정한 것이 왜 하필 버드나무일까.
법학도가 되어 들어 온 법에 대한 평가는 법학은 딱딱한 학문이고 그것을 공부하는 사람은 고지식하거나 경직되어 있다는 이미지가 일반적이었다. 버드나무의 꽃말은 정화, 경쾌이다. 버드나무의 꽃말과 법의 이미지, 그 케미는 어떨까.
우리나라 법 중에서 기본의 기본이 되는 법은 민법이다.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생기는 법률관계의 대부분은 민사법률관계이다. 그래서인지 변호사시험에서의 비중도 민사법 분야가 공법이나 형사법 분야보다 더 많기도 하다. ‘민사에 관하여 법률에 규정이 없으면 관습법에 의하고 관습법이 없으면 조리에 의한다’라는 것이 민법 제1조이다. 천 개가 넘는 민법 조문 중에서 맨 앞에 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의미를 담고 있고 중요한 조문이라는 뜻이다. 이 제1조가 바로 법학도가 나아가는 출발점이며, 내가 생활법률 강의에서 맨 먼저 얘기하는 법조문이기도 하다.
버드나무를 표지로 고른 이유는 제1조에 나오는 조리(條理)라는 용어 때문이다. 민법 교과서마다 ‘조리는 사물의 본성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조리도 어려운데 사물은 뭐고 본성은 또 뭔가. 이래서 법은 어려워 ㅜㅜ. 이런 학생들에게 ‘사물의 본성’을 설명할 때 예로 드는 것이 바로 버드나무와 대나무이다. ‘버드나무는 부드럽게 아래로 늘어지는 게 본성이고, 대나무는 곧게 위로 뻗는 게 본성이다.’
그렇다면 생활법률이란 무엇일까. 법학의 생명은 실효성이다. 현실과 동떨어진 법은 제 역할을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생활법률의 내용은 지나치게 전문적인 내용보다는 일상 속에서 자신에게 어떤 법률적인 문제가 생겼고 어디에 도움을 청하여야 하는지 정도만 파악할 수 있는 기초적인 것이라야 한다. 그 다음은 법률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
나는 10년 넘게 생활법률을 전담해 오고 있다. 첫 학기 때에 1개 분반의 수강인원이 150명 정도였고 2개 분반을 운영한 것으로 기억된다. 같은 교수, 같은 과목이라도 수강인원은 늘 출렁이게 마련이다. 2024년 어느 날 박영사로부터 책을 내자는 제안을 받았지만 내키지가 않았다. 법학 전문서적이 아닌 것을 책으로 낸다는 것은 불필요하고 낭비라는 게 나의 오랜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필자가 처음으로 강단에 올라 가르친 과목은 법학개론과 민법총칙으로 기억된다. 그렇게 강단에 오른 지 올해가 35년째인 듯하다. 내 나이 이순을 지나 곧 정년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생활법률은 이제 나 혼자만 하는 강의가 아니다. 법이 필요하지만 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끊이지 않고 들려줘야 할 과목인 것이다. 내겐 박사 제자 세 명이 있다. 출판을 권유 받을 무렵엔 세 제자 모두 새 학기에 이 과목을 강의할 예정이었다. 두 김 박사는 한국어로, 다른 이탈리아 제자는 숙대에선 처음으로 영어로 생활법률을 강의하게 된다. 그래, 제자들과 기념물 하나는 남겨야지. 그렇게 출판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 책의 기본 컨셉은 ‘내용은 적게 다루고 설명은 쉽게 하자’이다. 10여 년 전에 처음 생활법률이라는 과목을 시작할 때만 해도 열정이 넘쳐 갓난아기를 키우는 엄마의 마음으로 가능하면 많은 것을 주입시키려고 달려들었다. 학기를 거듭하면서 강의는 내게도 공부가 되었지만 법의 ㅂ도 모르는 법린이가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려운 법지식을 일방적으로 내뱉는 것이 과연 적당한 법 교육인가 하는 의문이 들었다. 이 깨달음이 있은 후부터 강의의 내용은 조금씩 줄어들었고, 아주 정말 기초적인 것만 가르치자고 다짐하면서 강단에 선 게 수년째이다. 그 적디적은 강의 내용과 쉬운 설명이 활자화 되어 나오는 것이다.
이 책은 나의 책이 아니다. 대부분의 내용을 공동저자인 두 김 박사가 맡아주었고 나는 거저 앞부분에 몇 자 적었을 뿐이다. 그들이 없었다면 이런 책은 나오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 책을 만드는 과정은 힘들었겠지만 그 결과는 두 김 박사에게 의미 있는 추억이 되기를 소망하며, 우리 연구실의 다음을 기대해 본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실무적으로 걸린 시간은 1년이 채 되질 않는다. 그렇지만 단어 하나하나, 문장 한 줄마다 고민하고 고치고 또 고친 결과이다. 부족한 점이 있겠지만 독자 여러분의 양해를 바란다. 출판을 적극적으로 권해 준 박영사 정성혁 과장, 편집을 맡아 마무리까지 해 준 이승현 차장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이 책이 국내 최고의 법률서적 출판사인 박영사에 누가 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이번 출판은 다음 책을 위한 기획이다. 법을 대하는 독자의 심신이 이 책을 통해 버드나무의 꽃말처럼 정화되어 경쾌해지길 진심으로 고대한다.
2025.8.18.
청파 언덕에서, 저자 대표 집중우박(執中禹博)
저자 약력
우병창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사/동 대학원 법학석사․법학박사
한국가족법학회 회장/한일법학회 부회장
(현) 숙명여자대학교 법과대학 교수/학장
(현) 한중법학회 회장
(현) 新아시아가족법삼국회의 코디네이터
(현) 서울가정법원 가사조정위원
김보람
숙명여자대학교 법과대학 법학사/동 대학원 법학석사․법학박사
파리1대학교 소르본 법․철학연구소(Institut des Sciences Juridique et
Philosophique de la Sorbonne) 연구원(chercheur doctorant)
숙명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원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원
(현) 숙명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교수
김나래
숙명여자대학교 법과대학 법학사/동 대학원 법학석사․법학박사
법무부 법무심의관실 전문위원
강남대학교 정경학부 초빙교수
(현) 한국법학원 학술연구부 민사팀 연구위원
(현) 숙명여자대학교 법학부 강사
(현)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산업안전주택관리학부 강사
차례
제1부 서 론
01 법의 의의 3
법이란 무엇인가 3|법의 목적 4|법의 존재형식과 종류 4|법의 해석과 적용 5|법의 효력 6
02 민사법률관계 8
민사법률관계의 형성 8|신의성실의 원칙 9|민사법률관계의 기본원칙 9|법률행위를 위한 능력 9
03 분쟁 해결하기_민사소송 11
소송제도의 필요성 11|민사소송이란 12|민사소송의 원칙 13|민사소송의 주체 13|민사소송의 절차 15|재판에 대한 불복: 상소 19|재판에 대한 비상(非常) 불복: 재심 20
04 형사법의 기초_범죄와 형벌 22
범죄의 의의 22|형벌 22|죄형법정주의 23|형법의 목적과 적정성 24
05 범죄의 성립 27
범죄의 성립요건 27|형(刑)의 감면 28|범죄의 불성립 29
06 수사와 재판 31
수사의 시작 31|수사의 진행 32|체포와 구속 34|수사의 종료 37|형사재판 38
제2부 재 산
01 계약에 관한 기본 개념의 이해 43
계약의 의미 43|계약의 자유와 그 한계 44|청약과 승낙에 의한 계약의 성립 45|쌍무계약 48|동시이행의 항변권 48|위험부담의 원칙 49|계약의 해제 51|담보책임 52
02 매매계약 56
매매계약의 의미 56|매매계약의 대상 56|매매계약의 주요 내용 57|일상생활에서의 매매계약 예시 57|매매계약에서 주의할 점 58
03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품구매 59
구매 방식 변화와 소비자 보호 59|인터넷 쇼핑에서의 환불과 청약철회 60|청약철회 방해행위 61|사례를 통해 알아보기 62
04 헬스장 장기회원권 구매 64
헬스장 장기회원권 중도 해지와 환불 64|환불 금액 산정 기준 66|할부항변권 66|할부항변권의 제한 67
05 부동산매매 69
부동산이란? 69|부동산 매매계약서의 기본 정보 70|부동산 매매계약서 작성 시 주의할 사항 70
06 주택임대차란 무엇인가? 80
정의 80|대표적인 유형 80
07 주택임대차계약 체결 전 기본 용어 알기 83
주택임대차보호법 83|주택임대차계약서 84|계약금, 중도금, 잔금 84|주택인도 + 전입신고 = 대항력 87|대항력 + 확정일자 = 우선변제권 취득 88
08 주택임대차계약 체결 시 주의할 사항 90
계약 체결 전 반드시 집을 직접 확인하기 90|부동산등기부등본 반드시 확인하기 90|반드시 소유자 계좌로 돈을 입금하기 92|당사자 신분을 명확히 확인하기 93|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 93|계약 당시의 상황을 녹음하기 94|잔금 지급 전 등기부등본 다시 확인하기 95
09 주택임대차계약서 작성법 96
부동산의 표시 96|주요 계약 내용 97|특약사항 97|계약 당사자 및 중개사 정보 99
10 임대인의 권리와 의무 101
임대인의 권리 101|임대인의 의무 103
11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 106
임차인의 권리 106|임차인의 의무 108
12 계약갱신요구권이란? 111
계약갱신요구권의 의미 111|임대인의 계약갱신거절 사유 113
13 임차권등기명령제도 116
의미 116|신청 요건 117|신청서 기재사항 117
14 나의 보증금 찾기 119
우선변제권(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2 제2항) 119|최우선변제권(주택임대차보호법 제8조 제1항) 119
15 주택임대차신고제 122
16 전월세 상한제 124
17 깡통전세 사기 125
깡통주택이란? 125|깡통주택 예시 126|깡통주택 위험에서 나의 전세보증금을 지키는 방법 126
18 주택임대차분쟁조정제도 128
의미 128|주택임대차분쟁조정의 절차 128|신청방법 130
19 근로계약 131
근로계약서란 무엇인가? 131|왜 근로계약서를 써야 하나요? 131|근로계약서를 작성할 때 꼭 들어가야 할 내용 132|근로계약서 양식과 작성 팁 132|근로계약서를 작성할 때 주의사항 133|근로계약서 작성 예시 135
20 최저임금 137
최저임금이란? 137|최저임금 결정 기준 138|최저임금 결정 절차 138
21 주휴수당 140
주휴수당이란? 140|주휴수당의 계산방법 140|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141
22 퇴직급여 142
퇴직급여란? 142|퇴직금은 어떤 조건을 갖춰야 받을 수 있나요? 142|퇴직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143
23 임금체불 145
임금 지급의 4대 원칙 145|임금체불의 의미와 유형 146|임금체불이 발생할 때 대처 방법 146
24 해고와 권고사직 150
해고의 의미 150|권고사직의 의미 150|사직서 제출할 때 주의사항 151|권고사직 거부 및 법적 대응 151|해고와 권고사직의 실질적 차이 및 정리 152|부당해고 구제신청제도 152|어떤 경우에 부당해고로 인정될까? 152|구제신청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나? 153|구제신청서 작성할 때 준비할 것 153|구제신청의 결과와 효과 153|꼭 기억해야 할 점 154
제3부 상 속
01 누가 상속할 수 있는가_ 상속과 상속권 157
상속과 상속인 157|상속능력(상속자격) 157|동시사망과 상속 158|상속결격 159|상속권 상실 선고 160
02 누가 상속인이 되는가 161
상속인이 되는 순서 161|법정 상속순위_혈족상속인 161|배우자상속인 163
03 상속인을 대신하다_대습상속 165
피대습상속인과 대습상속인 165|대습상속의 의의 166|대습상속의 요건 166|대습상속의 효과 167|재대습상속 168
04 누가 얼마나 상속하는가_상속분 169
법정상속분 169|대습상속인의 상속분 170|공동상속인 중에 특별수익자가 있는 경우 171|공동상속인 중에 특별기여자가 있는 경우 172
05 상속하지 않을 자유 175
상속의 승인과 포기 175|단순승인 175|한정승인 176|상속포기 176|승인·포기의 방법과 기간 176|특별한정승인 177
06 내 재산은 내 마음대로_유언의 자유 179
유언의 자유와 유언 법정주의 179|자필증서에 의한 유언 180|녹음에 의한 유언 181|공정증서에 의한 유언 182|비밀증서에 의한 유언 182|구수증서에 의한 유언 183
07 유족에게 보장된 몫_유류분 185
유류분제도의 의의 185|유류분권리자와 유류분 186|유류분의 산정 186|유류분반환청구권 187
제4부 친 족
01 가족임을 증명하다_가족관계등록제도 191
사회적 가족과 법적 가족 191|가족관계등록제도의 의의 191|증명서의 종류 192|가족관계등록부의 기록과 신고 194|증명서의 교부 195
02 누가 나의 가족일까_가족과 친족 196
법률상 가족 196|친족 197|촌수의 계산 198
03 가족이면 나눠 먹어야 한다_부양의무 200
사적부양과 공적부양 200|민법상 부양의무자 201|부양의무의 내용 202
04 아이가 태어나면 해야 하는 일_출생신고 204
출생신고의 의의 204|출생신고하기 205|출생신고를 위하여 부모가 결정할 것 205|출생통보제 209
05 법적 친자관계의 형성 211
확실한 모성, 불확실한 부성 211|법적 부자관계의 형성_혼인 중의 출생자 212|법적 부자관계의 형성_혼인 외의 출생자 213
06 아버지는 누구일까 215
친생추정을 받는 혼인 중의 출생자_친생부인의 소 215|친생추정을 받지 않는 혼인 중의 출생자_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의 소 216|친생추정의 배제 216
07 완전한 혼인_혼인의 요건 219
민법상 혼인이란 219|혼인의 적극적 요건 220|혼인의 소극적 요건(혼인장애사유) 221
08 잘못된 혼인_혼인의 무효와 취소 223
혼인의 무효·취소가 필요한 때 223|혼인의 무효 vs 혼인의 취소 223|혼인무효의 원인 224|혼인취소의 사유 227
09 혼인의 일반적 효과 230
친족관계의 형성 230|성년의제 230|부부 사이 의무 231|일상가사대리권 235
10 부부재산 237
부부재산제도 237|부부재산계약 237|법정 부부재산제(부부별산제) 238|일상가사로 인한 채무의 연대책임 240
11 법이 보호하는 사실혼 241
사실혼의 의의 241|사실혼의 요건 241|사실혼의 해소 242|사실혼의 효과 243
12 누구나 이혼할 자유가 있다_협의이혼 246
이혼의 자유 246|협의이혼의 성립요건 246|협의이혼의 절차 247
13 잘못된 이혼_협의이혼의 무효와 취소 250
협의이혼의 무효와 가장이혼 250|협의이혼의 취소 251
14 강제로 이혼하기_재판상 이혼원인 253
재판상 이혼 253|부정한 행위 254|악의의 유기 255|심히 부당한 대우 255|3년 이상의 생사불명 256|기타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 256
15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 259
재판상 이혼청구를 할 수 있는 자 259|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 259
16 친권자 지정 262
친권자 262|친권의 행사와 친권자 지정 262
17 이혼에 따른 양육책임 265
양육에 관한 사항과 그 결정 265|양육사항의 변경 267
18 ‘우리’ 재산이잖아_재산분할 269
재산분할청구제도의 의의 269|재산분할청구권의 내용 270|재산분할의 대상 271
19 재산을 빼돌려?_재산분할과 사해행위취소권 273
채권자취소권 273|재산분할과 채권자취소권(채무초과상태임에도 재산분할을 하였을 때) 274|재산분할청구권 보전을 위한 사해행위취소권 275
20 혼인파탄의 잘못을 배상하다_ 이혼과 위자료 277
이혼에 대한 손해배상(위자료) 277|재산분할청구권과 위자료청구권의 비교 278
제5부 형 사
01 사기와 공갈 283
사기죄의 성립 283|공갈죄의 성립 285|사기·공갈 등 재산범죄와 친족상도례 286
02 디지털 성범죄 288
디지털 성범죄란 무엇인가? 288|전통적인 성범죄와 디지털 성범죄의 차이 288|디지털 성범죄의 주요 유형 289|피해자가 겪는 어려움 291|디지털 성범죄 관련 법률 291|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한 실천법 297|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당했을 때의 대응 방법 299|관련기관과 연락처 300
03 교제폭력 302
교제폭력이란 302|교제폭력의 특징 303|교제폭력 관련법 304|교제폭력에 대한 대응 307|스토킹행위에 대한 대응 309
찾아보기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