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판발행 2025.08.20
제5판을 내면서
이번 개정판은 제4판 출간 이후 7년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초판이 출간된 이후로는 벌써 20년이라는 세월이 지났다. 그동안 사회는 물론 학문적 환경도 크게 변화하였고, 청소년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과 접근 방식 또한 점차 폭넓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한국의 청소년 비행을 이해하는 데 있어 고유한 이론적 토대와 경험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의 연구와 실무에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고 여겨진다.
다만 초고가 작성된 이후 시간이 오래 지난 만큼, 그간 축적된 최신 연구 성과나 급변하는 사회 현실을 미처 담아내지 못한 부분들이 있었다. 이에 이번 제5판에서는 내용 전반을 재검토하고, 최신 연구 동향과 사회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방향으로 개정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이번 개정 작업에는 고려대학교 송효종 교수님과 대구대학교 박여주 교수님이 새로 참여하였다. 두 교수님의 전문적인 견해와 소중한 조언이 이번 개정판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또한 각 장의 내용이 방대하고 문장이 다소 어렵게 구성되어 독자들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던 점을 고려하여, 제5판에서는 전체 내용을 다시 살펴보고 최근 연구 동향과 통계 자료를 반영하며, 보다 명확하고 쉽게 읽히는 표현으로 다듬는 작업에 중점을 두었다. 불필요한 중복이나 지나치게 학술적인 서술은 정리하고, 문장의 흐름과 표현의 통일성도 개선하려고 하였다.
특히 2018년 제4판 이후 7년 동안 우리 사회는 큰 변화를 겪었다.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청소년들의 일상에 스마트폰과 SNS가 깊숙이 자리 잡았고, 장기간에 걸친 코로나19 팬데믹은 이들의 사회적 관계와 학습 환경에 본질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더불어 인공지능 기술의 대중화와 이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범죄 등이 등장하면서,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은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수준으로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청소년 비행 역시 사이버 공간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과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번 개정판은 이러한 변화들을 반영하여 최신 통계자료를 통해 오늘날 청소년 비행의 실태를 제시하고, 이를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책들과 제도적 대응 방안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문적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실무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고려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변화된 시대 속에서 청소년들을 이해하고 돕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개정판 출간에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박영사 관계자 여러분께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25년 8월
저자 일동
김준호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노성호 전주대학교 경찰학과 교수
곽대경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 교수
박성훈 한국형사 · 법무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여주 대구대학교 경찰학부 교수
박정선 경찰대학 행정학과 교수
박철현 동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송효종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동원 원광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이성식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
최수형 한국형사 · 법무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황지태 한국형사 · 법무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PART 01 청소년 비행의 개관: 개념, 실태, 이론 2
CHAPTER 01 청소년과 청소년 비행 4
CHAPTER 02 청소년 비행의 실태 및 추세: 공식통계상 소년범죄를 중심으로 14
CHAPTER 03 청소년 비행 이론: 개인 중심 34
CHAPTER 04 청소년 비행 이론: 사회환경 중심 64
PART 02 청소년 비행과 사회환경 110
CHAPTER 05 가정과 청소년 비행 112
CHAPTER 06 학교와 청소년 비행 138
CHAPTER 07 친구와 청소년 비행 168
CHAPTER 08 지역사회와 청소년 비행 194
PART 03 청소년 비행의 유형 230
CHAPTER 09 폭력 232
CHAPTER 10 절도 262
CHAPTER 11 약물남용 300
CHAPTER 12 성비행 330
CHAPTER 13 사이버비행 362
PART 04 청소년 비행의 대책 380
CHAPTER 14 소년사법 제도 382
CHAPTER 15 회복적 사법 422
CHAPTER 16 청소년 비행 예방프로그램 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