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8.30
이 연구가 주제로 선정한 실크로드의 아시아 7개국이란 한국을 비롯해 바다 건너 일본과 중국, 몽골,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을 가리킨다. 실제로 실크로드 상에는 수많은 나라가 존재해 왔는데, 왜 하필 이 7개국이냐고 질문한다면 아직은 정확한 학술적 근거를 제시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지구상 동서의 문명교류라는 관점에서 실크로드가 역사적으로 인류의 문화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는 점이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이란이라는 국명은 ‘아르야(아리안)들의 영토’를 뜻하며, 아리안들은 이란을 비롯해, 서남아시아와 중앙유라시아 전 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그리스인들은 이란의 남부 지역인 파르스(Pars)주의 이름을 따서 Persia라고 불렀으며, 이 지역은 최초의 대제국을 형성한 페르시아 아케메네스(Achaemenid) 왕조가 발흥한 곳이다. 7세기 중반 아랍에 멸망한 이후에는 약 1,400년간 이슬람의 전통을 축적했다. 그리고 1935년에 세워진 팔레비왕조는 페르시아라는 국명을 ‘이란’으로 변경하였다.
‘페르시아 이슬람 세계(Perso-Islamic World)’라는 용어는 이슬람의 도래 이후에 정착된 개념으로 서남아시아와 중앙유라시아에 자리 잡은 아리안들의 영토와 관련을 맺고 있다. 즉 이란과 중앙유라시아 남부 지대,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지역은 각 시대에 따라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역사를 공유해 왔으며, 페르시아 이슬람 세계를 구성하는 국가들이다.
이란은 다문화, 다언어, 다민족 국가이다. 인도-유럽계에는 페르시아인, 쿠르드족, 루르족, 바흐티야르족 및 발루치족이 있으며, 코카서스계의 아르메니아인, 그루지아인 등이 극소수로 잔존한다. 투르크계는 아제르인, 투르크멘족, 카쉬카이족 등이 있으며, 셈계에 속하는 아랍인과 유대인이 있다. 이란의 인구 구성은 페르시아인(61%), 아제르인(16%), 쿠르드인(1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언어는 페르시아어(53%)가 공용어이지만 아제리어(18%), 쿠르드어(10%) 등이 사용되고 있다. 종교적 측면으로 볼 때 이란은 시아파 종주국이다. 이란 국민의 98.9%가 무슬림이고 시아파 신자가 91%, 수니파 신자가 7.8%이다. 이란의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는 페르시아인과 아제르인은 시아파이다. 반면에 쿠르드족, 발루치족, 투르크멘족 및 아랍인은 수니파에 속한다.
이러한 민족적 배경을 토대로 이 책에서는 이란 사회에서 인류 탄생과 더불어 지속되었던 시민들의 투쟁기술 또는 생활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신체문화로서 계승, 발전되어 온 이란의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에 관해 연구하여 정리하였다. 지금까지 실크로드로 연결된 이란의 고유문화 항목을 주제로 ‘비교민속학’이나 ‘문학사’, ‘사회문화사’ ‘예술사’ 등에서 동서지역 간의 상호교류를 밝혀주는 여러 연구가 발표되었지만, 인간의 본능에서 발현되는 신체활동 영역(전통무예, 무용, 유희)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각국이 각자도생의 길을 걷고 있을 뿐이라는 고민을 우리에게 안겨 주었고,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다행하게도 본 연구소는 기초학문을 육성하는 토대연구사업의 인문사회분야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5년간(2017-2022) 실크로드를 통한 아시아 7개국의 전통무예, 무용, 그리고 유희로 나누어 신체문화와 관련된 문화사적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전체를 아우르는 1권과 각 국가의 전통신체문화 7권, 그리고 이 7개국의 신체문화를 총망라한 교류사 부분 1권으로 구성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하게 되었는데, 그중에서 이 책은 8권으로 이란의 전통신체문화를 밀도 있게 다룬 연구물이다.
이 책은 일반 대중을 위해 평이한 수준으로 쉽게 기술하고자 하였고, 다양한 사진과 그림 자료를 첨부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저작권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더 많은 그림과 사진 자료들을 분석하고 해석한 내용을 제시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또 연구 도중에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로나19의 여파로 각 지역을 방문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그러한 역경을 이겨 내고 연구자들 나름의 결과물을 제시하게 된 것을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책이 향후 실크로드로 연결된 인류의 전통신체문화의 전파 및 교류의 영향과 이란 전통신체문화와의 관계적 발전상에 관한 논의의 지평을 더욱 확장하는 계기가 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덧붙여서 이 연구물이 전통문화와 관련된 교육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후학들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기초학문 발전을 위한 한국연구재단의 재정적 지원과 격려에 고마움을 전한다. 공동 연구와 집필에 참여한 각 연구자, 연구보조원, 그리고 출판을 위해 편집과 사진 작업 등을 맡아준 박영사를 비롯한 많은 분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2025년 8월
실크로드 아시아 7개국의 전통무예, 무용, 그리고 유희연구 연구책임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글로벌스포츠건강문화센터 소장 김태영
김태영(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글로벌스포츠건강문화센터 소장)
황의룡(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글로벌스포츠건강문화센터 책임연구원)
김태양(영산대학교 전통무예진흥연구소)
이명희(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박귀순(영산대학교 동양무예학과)
원유미(대원대학교 운동재활학과)
이택균(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교양대학)
박효주(경희대학교 태권도학과)
임종범(평택대학교 IT공과대학)
김상철(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
유달승(한국외국어대학교 페르시아어·이란학과)
신규섭(한국외국어대학교 페르시아어·이란학과)
신양섭(한국외국어대학교 페르시아어·이란학과)
발간사 i
프롤로그 1
제1부
전통무예
◈ 주르카네(Zoorkhane) 제식과 코쉬티(Khoshiti) 7
1. 들어가며 7
2. 주르카네의 역사 8
3. 주르카네의 구조 16
4. 주르카네와 수피즘과의 유사성 22
5. 나가며 23
◈ 쿵푸토아(Kung Fu To’a) 26
1. 들어가며 26
2. 쿵푸토아의 역사 27
3. 쿵푸토아의 원리와 수련 단계 29
4. 쿵푸토아의 의상과 띠 30
5. 쿵푸토아 수련의 7하트(haft khat) 32
6. 오타이미 철학(Falsafe-ye Otaimī)과 피의 의식(marāsem-e khūn) 33
7. 쿵푸토아의 로그 34
제2부
전통무용
◈ 이란 민족의 무용사 37
1. 전통무용의 역사적 흐름 37
2. 선사시대 38
3. 미트라 숭배와 페르시아 댄스의 기원 39
4. 아케메네스 시대 40
5. 헬레니즘 및 파르티아 시대 42
6. 사산(Sasan) 페르시아 시대 43
7. 이슬람 시대 이후 43
8. 카자르 시대 46
9. 팔레비 시대 48
10. 이슬람 혁명 이후 55
◈ 궁중무용 58
1. 고전(궁중)무용의 개요 및 의미 58
2. 역사적 배경 59
3. 춤의 구성 59
4. 고전 무용의 현재 60
◈ 호라산 민속춤 62
1. 호라산 민속춤의 개요 및 기원 62
2. 호라산 춤의 종류 63
3. 호라산 칼춤 64
◈ 페르시아 민속춤 68
1. 페르시아 민속춤의 구분 68
2. 페르시아 민속춤의 정의 71
3. 페르시아 민속춤의 역사적 배경 72
4. 페르시아 민속춤의 중요성 73
5. 지역별 춤의 내용 73
6. 페르시아 춤의 종류 75
7. 유명한 페르시아 댄서 76
제3부
전통유희
◈ 이슬람 이전 페르시아 놀이문화의 개요 81
1. 이슬람 이전의 놀이문화 81
2. 이슬람의 놀이문화 82
3. 이슬람 놀이문화의 연구 현황 83
4. 놀이의 분류와 종류 84
◈ 차허르샨베 수리 85
1. 기본 의식 85
2. 기원과 흐름 87
3. 부수적 의식들 90
4. 특별한 장소들 98
5. 음식 99
◈ 콜러흐 바라크(kolāh barak) 100
1. 놀이 방식 100
2. 놀이의 변형 101
3. 유사한 놀이들 102
◈ 줄다리기(Tanāb-keshī) 108
1. 줄다리기의 의미 108
2. 놀이 조건 110
3. 놀이 방식 110
4. 놀이 규칙 위반 111
◈ 하프트 상(haft-sang) 113
1. 하프트 상의 의미와 역사 113
2. 놀이 방식 114
3. 놀이 규칙 115
4. 놀이 규칙 위반 115
5.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는 유사 놀이들 116
◈ 베신 퍼쇼우(Beshīn Pā-shou) 134
1. 놀이 개요 134
2. 놀이 방식 135
3. 저학년 어린이들을 위한 유사 놀이들 135
◈ 바사티(vasatī) 137
1. 바사티의 개요 137
2. 놀이 방식 및 규칙 138
3. 바사티 노래 139
4. 유사한 놀이들 139
◈ 샤므으 골 파르버네(shamʿ-gok- parvāneh) 142
1. 놀이 개요 및 방식 142
2. 놀이의 응용 143
3. 동요나 대화를 동반한 유사 놀이들 144
◈ 호루스 장기(Khorūs jangī) 156
1. 놀이 개요 156
2. 놀이 방식 158
3. 놀이 규칙 위반 159
4. 신체를 이용한 유사 놀이들 160
◈ 폴로(Polo) 172
1. 폴로의 역사 172
2. 서구 학자들의 폴로 연구 174
◈ 페르시아 보드게임 176
1. 고대의 보드게임 176
2. 동아시아 전래 183
3. 주사위 놀이와 우주 철학 184
4. 차트랑(Chatrang / Shatranj, 체스)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