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8.30
이 연구가 주제로 선정한 실크로드의 아시아 7개국이란 한국을 비롯해 바다 건너 일본과 중국, 몽골,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을 가리킨다. 실제로 실크로드 상에는 수많은 나라가 존재해 왔는데, 왜 하필 이 7개국이냐고 질문한다면 아직은 정확한 학술적 근거를 제시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7개국의 문화교류사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지구상 동서의 문명교류라는 관점에서 실크로드가 역사적으로 인류의 문화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는 점이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기 때문이다.
실크로드라는 통칭하에서 초원로와 오아시스로, 해양로의 3대 간선을 포함한 서역 교역로는 인류가 형성해 온 문화, 즉 종교와 철학, 사상, 풍습 등에서 매우 다양한 성질을 지니고 있었지만, 이 교역로를 개척하고 이용한 사람들은 서로 간의 교류를 통해 여러 다원성을 극복하는 수단으로 삼아 인류 역사의 큰 줄기를 형성해 왔다. 이러한 교류적 관점에서 카자흐스탄은 매우 중요한 지리적 요충지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인간은 탄생과 더불어 생존을 위해 채집과 생산, 어업과 수렵 활동을 병행하며 살아왔다. 인간의 생존과 생산활동에 필요한 걷고 달리고 뛰어오르고 던지고 기어오르거나 서로 치고받는 행위 등은 일상생활 속에서 신체 기능을 단련하는 수단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행위들은 신을 위한 제례나 의례 속으로 수용되면서 다양한 볼거리의 하나인 무예와 무용, 그리고 재미를 추구하는 놀이로 구조화되고 문화화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연구서는 카자흐스탄 사회에서 인류 탄생과 더불어 지속되었던 서민들의 투쟁기술, 또는 생활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신체문화로서 계승, 발전되어 온 카자흐의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에 관해 연구하고 정리하였다. 다행하게도 본 연구소는 기초학문을 육성하는 토대연구사업의 인문사회분야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5년간(2017-2022) 실크로드를 통한 아시아 7개국의 전통무예, 무용, 그리고 유희로 나누어 신체문화와 관련된 문화사적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전체를 아우르는 1권과 각 국가의 전통신체문화 7권, 그리고 이 7개국의 신체문화를 총망라한 교류사 부분 1권으로 구성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하게 되었는데, 그중에 여섯 번째로 카자흐스탄의 전통신체문화를 밀도 있게 다루어 집대성한 연구물로 출판하게 되었다.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의의를 꼽는다면, ‘신체활동을 매개체로 한 주변 민족과의 문화교류 현상’을 밝히는 것이다. 교류에는 개인 간의 교류에서부터 지역 및 민족 간의 교류, 대륙 간의 교류 등 다양한 수준의 교류가 있으며, 지금은 우주를 왕래하는 시대를 맞이하여 위성 간의 교류도 상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사회를 구성하는 각 개인의 신체를 매개체로 한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 종목으로 나누어 국가(민족)별로 그것들의 역사적 탄생 및 변용과 발전과정 등의 민족적 다양성과 연계성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문화적 지식의 폭을 넓히고 확장하여 전통무예, 전통무용, 전통놀이의 문화교류사를 재현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던 것이다.
이 책은 일반 대중을 위해 평이한 수준으로 쉽게 기술하고자 하였고, 다양한 사진과 그림 자료를 첨부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저작권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그림이나 사진 자료들을 더 많이 분석하고 해석한 내용을 제시하지 못한 아쉬움이 크다. 또 연구 도중에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로나19의 여파로 각 지역을 방문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그러한 역경을 이겨 내고 연구자들 나름의 결과물을 제시하게 된 것을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책이 향후 인류의 실크로드 교류를 통한 전통신체문화사의 발전과 카자흐스탄의 전통신체문화와의 관계사 등에 관한 논의의 지평을 더욱 확장하는 계기가 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덧붙여서 이 책이 전통문화와 관련된 교육 자료로 다양하게 활용됨으로써 전통신체문화에 대한 후학들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기초학문 발전을 위한 한국연구재단의 재정적 지원과 격려에 고마움을 전한다. 공동 연구와 집필에 참여한 각 연구자, 연구보조원, 그리고 출판을 위해 편집과 사진 작업 등을 맡아준 박영사를 비롯한 많은 분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2025년 8월
실크로드 아시아 7개국의 전통무예, 무용, 그리고 유희연구 연구책임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글로벌스포츠건강문화센터 소장 김태영
김태영(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글로벌스포츠건강문화센터 소장)
황의룡(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글로벌스포츠건강문화센터 책임연구원)
김태양(영산대학교 전통무예진흥연구소)
이명희(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박귀순(영산대학교 동양무예학과)
원유미(대원대학교 운동재활학과)
이택균(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교양대학)
박효주(경희대학교 태권도학과)
임종범(평택대학교 IT공과대학)
김상철(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
윤시내(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
오상호(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
김재민(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
신규섭(한국외국어대학교 페르시아어·이란학과)
신양섭(한국외국어대학교 페르시아어·이란학과)
발간사 i
프롤로그 1
제1부
전통무예
◈ 아우다리스팍(Audaryspak, 마상 레슬링 또는 힘겨루기) 11
◈ 쿠레시(Kuresi) 12
1. 카자흐인에게 쿠레시란? 12
2. 쿠레시는 어디서 왔는가? 14
3. 쿠레시의 기술적 특성 17
4. 쿠레시의 다양한 기술 19
5. 쿠레시의 근대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나? 21
6. 나가며: 쿠레시의 문화적 역할 24
◈ 레슬링(Kures) 26
1. 들어가며 26
2. 레슬링의 역사 28
3. 중앙아시아의 다양한 레슬링 유형 30
4. 나가며 42
제2부
전통무용
1. 들어가며: 카자흐스탄 전통무용의 문화적 기원 45
2. 전통무용의 조화와 특성 46
3. 고대 무사계층 춤의 의미론적 성격과 특성 47
4. 민족 전통과 무용 사이의 조화적 근원과 특성 49
5. 민속춤의 소재와 민속놀이 51
6. 여성 무용의 민족적 특성 53
◈ Khara-Zhorgha(카라조르가) 58
제3부
전통유희
◈ 퀵파르(Kokpar, 양 빼앗기) 63
◈ 크즈퀴유(Kyz kuu, 처녀 따라잡기) 67
◈ 바이가(Baiga, 말 경주) 69
◈ 쿠미스 알루(Kumis alu, 동전 줍기) 71
◈ 앙쉬르크(Angshluk, 매사냥) 73
◈ 알티바칸(Altybakan, 그네뛰기) 76
◈ 악 쉬예크(Ak Suyek, 하얀 뼈놀이) 78
◈ 아이고랙(Aigolek)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