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총서 4(중국): 전통무예, 무용, 유희
신간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총서 4(중국): 전통무예, 무용, 유희
저자
김태영․황의룡․김태양 외
역자
-
분야
스포츠/디자인/예술/건강취미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8.30
장정
무선
페이지
358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2316-9
부가기호
93910
강의자료다운
-
색도
1도
정가
26,000원

초판발행 2025.08.30


실크로드는 고대시대부터 사람들과 장소를 서로 이어주는 세계의 중추신경계 역할을 하였고, 이를 통해 문물과 문명, 종교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들이 상호 주고받으며 인간생활에 기여해 왔기 때문에 서로를 이해하는 매우 중요한 루트로 알려져 있다.

인류의 삶을 관통해 온 신체문화는 각 국가의 민속유희로, 또 다른 갈래로는 스포츠로 발전하여 이어져 왔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히 한 국가 내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특히, 서로 이웃해 있는 한국, 중국, 일본 3국은 수없이 많은 교류와 갈등이 있었고, 그 과정 속에서 많은 영향력을 주고받았다. 

고대사회부터 인간의 거의 모든 행위가 종교 신앙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신에게 제사를 지내며 풍농과 풍어 그리고 서로의 안위를 빌기 위해 거행하였던 연희(演?)는 신과 사람을 잇는 통로이자 다리로 인간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해 왔다. 이 시대는 부족이나 민족 간의 침략과 정복이 일상화되었던 시대적 혼란 속에서 자기방어뿐 아니라 상대방과의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연마하던 무예를 비롯하여 신과 인간의 신명을 위해 추었던 무용, 민중의 원형적 행위를 토대로 삶의 중요한 기능으로 작용한 유희(놀이)가 발전되어 왔다. 다행히 많은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가 아직도 우리 사회에 전승되어 전통적 신체문화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중국은 끊임없이 주변 여러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여 자신들의 문화를 풍부하게 가꾸어 왔다. 예를 들어 한(漢)나라 이후에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와 수(隋)나라, 당(唐)나라 등의 역대 중국 왕조들은 주변국들의 악(樂, 음악은 물론 유희 포함)을 받아들여 풍부하게 발전시켰다. 수나라의 칠부기(七部伎)와 구부기(九部伎), 당나라의 십부기(十部伎)를 예로 들면 그 내용은 원래 중국의 악은 두세 개 정도였고 서역의 악이 대부분이었다. 여기에는 고구려악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중국 사회에서 인류 탄생과 더불어 지속되었던 서민들의 투쟁기술, 또는 생활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신체문화로서 계승, 발전되어 온 중국의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에 관해 연구, 정리하였다. 실제로 중국에서 실크로드를 통한 신체문화 항목을 주제로 ‘비교민속학’이나 ‘문학사’, ‘사회문화사’ ‘예술사’ 등에서 동서지역 간의 상호교류를 밝혀주는 여러 연구가 발표되었다. 그중에는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는 연구도 있지만, 인간의 본능에서 발현되는 신체활동 영역(전통무예, 무용, 유희)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각국이 각자도생의 길을 걷고 있을 뿐이라는 고민을 우리에게 안겨 주었고,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다행하게도 본 연구소는 기초학문을 육성하는 토대연구사업의 인문사회분야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5년간(2017-2022년) 실크로드를 통한 아시아 7개국의 전통무예, 무용, 그리고 유희로 나누어 신체문화와 관련된 문화사적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전체를 아우르는 1권과 각 국가의 전통신체문화 7권, 그리고 이 7개국의 신체문화를 총망라한 교류사 부분 1권으로 구성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하게 되었는데, 그중에 네 번째로 중국의 전통신체문화를 밀도 있게 다루어 집대성한 연구물이다.

이 연구의 가장 중요한 의의를 꼽는다면, ‘신체활동을 매개체로 한 주변 민족과의 문화교류 현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를 구성하는 각 개인의 신체를 매개체로 한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 종목으로 나누어 국가(민족)별로 그것들의 역사적 탄생 및 변용과 발전과정 등의 민족적 다양성과 연계성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문화적 지식의 폭을 넓히고 확장하여 전통무예, 전통무용, 전통놀이의 교류적 문화사를 재현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던 것이다.

이 책은 일반 대중을 위해 평이한 수준으로 쉽게 기술하고자 하였고, 다양한 사진과 그림 자료를 첨부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저작권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이 사료들을 더 많이 분석하고 해석한 내용을 제시하지 못한 아쉬움이 크다. 또 연구 도중에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로나19의 여파로 각 지역을 방문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그러한 역경을 이겨내고 연구자들 나름의 결과물을 제시하게 된 것을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책이 향후 실크로드로 연결된 인류의 전통신체문화의 발전과 중국 전통신체문화와의 관계사 등에 관한 논의의 지평을 더욱 확장하는 계기가 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덧붙여서 전통문화와 관련된 교육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후학들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기초학문 발전을 위한 한국연구재단의 재정적 지원과 격려에 고마움을 전한다. 공동 연구와 집필에 참여한 각 연구자, 연구보조원, 그리고 출판을 위해 편집과 사진 작업 등을 맡아준 박영사를 비롯한 많은 분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2025년 8월

실크로드 아시아 7개국의 전통무예, 무용, 그리고 유희연구 연구책임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글로벌스포츠건강문화센터 소장 김태영

김태영(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글로벌스포츠건강문화센터 소장)

황의룡(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글로벌스포츠건강문화센터 책임연구원)

김태양(영산대학교 전통무예진흥연구소)

이명희(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박귀순(영산대학교 동양무예학과)

원유미(대원대학교 운동재활학과)

이택균(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교양대학)

박효주(경희대학교 태권도학과)

임종범(평택대학교 IT공과대학) 

윤혜지(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김미옥(고려사이버대학교 실용외국어학과)

전신휘(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발간사  i


제1부 

전통무예


◈ 장병기 무예: 창(槍) 3

1. 들어가며  3

2. 창의 역사  6

3. 창의 특징  10

4. 나가며  14


◈ 장병기 무예: 곤봉 15

1. 들어가며  15

2. 곤봉의 역사  18

3. 곤봉의 특징  21

4. 나가며  25


◈ 단병기 무예: 도와 검 26

1. 들어가며  26

2. 도의 역사  30

3. 도의 특징  34

4. 검의 역사  39

5. 검의 특징  43

6. 나가며  46

◈ 도수무예: 내가권(內家拳)과 외가권(外家拳) 49

1. 들어가며  49

2. 무술 유파의 탄생과정  51

3. 내가권  54

4. 외가권  59

5. 나가며  61


◈ 도수무예: 솔각류 64

1. 들어가며  64

2. 도수무예의 전개 과정  66

3. 나가며  79


◈ 궁술 81

1. 들어가며  81

2. 궁술의 역사적 변천  84

3. 중국 활과 화살의 특징  90

4. 나가며  95


◈ 마상무예: 기사(騎射) 96

1. 들어가며  96

2. 기사의 전개 과정  97

3. 나가며  103


◈ 중국식 레슬링 105

1. 들어가며  105

2. 중국식 레슬링의 전개 양상  106

3. 중국 소수민족의 레슬링 문화  108

4. 나가며  114


◈ 기공(氣功) 116

1. 들어가며  116

2. 기공의 유래  118

3. 기공의 유파 및 분류  121

4. 나가며  124


◈ 연공 18법(건신기공) 126

1. 들어가며  126

2. 건신기공의 형성 배경  128

3. 건신기공의 전개 양상  132

4. 건신기공의 운동효과  135

5. 나가며  138



제2부

전통무용


◈ 살오이등(薩吾爾登, 유목민 춤) 143

1. 들어가며  143

2. 살오이등의 유래  144

3. 살오이등의 양식 및 특징  148

4. 살오이등 동작의 특징  156

5. 살오이등의 복식과 음악  163

6. 살오이등의 계승 및 현황  166

7. 나가며  168


◈ 정완무(顶碗舞) 170

1. 들어가며  170

2. 정완무의 기원  172

3. 정완무의 특징  176

4. 정완무의 역사  177

5. 정완무의 종류  180

6. 나가며  182


◈ 충자무(忠字舞) 184

1. 들어가며  184

2. 충자무의 기원  185

3. 충자무의 특징  190

4. 충자무의 역사  193

5. 나가며  195


◈ 공작무(孔雀舞) 197

1. 들어가며  197

2. 공작무의 기원  199

3. 공작무의 특징  203

4. 공작무의 역사  207

5. 나가며  211


◈ 촛불춤: 남전불교와 원시종교의 춤 213

1. 들어가며  213

2. 촛불춤의 유래  216

3. 촛불춤의 양식 및 특징  220

4. 세부적 동작  222

5. 복식과 음악  224

6. 촛불춤의 계승 및 현황  227

7. 나가며  228



제3부

전통유희


◈ 축국(蹴鞠): 활동 유희에서 볼거리로 변모 233

1. 들어가며  233

2. 축국의 기원과 발전  235

3. 축국의 장소와 도구  244

4. 축국 방식  248

5. 여성 축국  251

6. 나가며  252


◈ 격구(擊毬): 지배계급의 마상유희에서 민간유희로 255

1. 들어가며  255

2. 격구의 명칭과 유형  257

3. 격구의 역사적 발전  258

4. 격구장과 도구  270

5. 격구의 경기방식  274

6. 격구의 향유 계층  274

7. 나가며  275


◈ 투호(投壺): 서주(西周)시기 사례(射禮)에서 파생 278

1. 들어가며  278

2. 투호의 기록과 󰡔예기(禮記)󰡕  281

3. 투호의 역사적 발전  284

4. 투호에 사용되는 기물과 장소  291

5. 투호의 절차  292

6. 투호의 향유 계층  296

7. 투호의 기능적 특징  296

8. 나가며  297


◈ 추천: 천수를 기원하는 놀이 299

1. 들어가며  299

2. 추천의 기원  300

3. 중국의 추천 역사  302

4. 추천의 전파 및 변화  310

5. 청명절, 그리고 추천 이야기  311

6. 나가며  313



◈ 빙희: 놀이와 군사훈련 315

1. 들어가며  315

2. 빙희의 기원  316

3. 빙희의 역사  316

4. 빙희의 유형  319

5. 나가며  324

불법복제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