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공항운영관리론(제2판)
개정판
공항운영관리론(제2판)
저자
이강석
역자
-
분야
경영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8.30
장정
무선
페이지
716P
판형
사륙배판
ISBN
979-11-303-2410-4
부가기호
93320
강의자료다운
-
색도
2도
정가
40,000원

2판발행 2025.08.30

초판발행 2021.03.24


급변하는 세계항공질서의 변화 속에 항공운송의 3가지 큰 축인 공항(AIRPORT), 항공사(AIRLINE), 이용자(USER)의 틀에서 공항은 항공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21세기 최첨단 항공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국제성을 지향하는 항공운송산업에서 허브화의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기지라고 할 수 있다. 공항은 국가측면에서는 사회간접자본으로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성하여 전 산업 분야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매우 클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는 한 나라를 대표하는 관문역할을 수행하며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종합 서비스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과거 공항을 공공적인 측면에서 바라보는 시각에서 이제는 공항의 민영화를 통한 공항의 운영체제에 대한 변화를 모색하면서 공항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안전한 교통수단의 제공 및 수익창출을 위해 노력하는 수익적인 측면도 상당부분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변화하는 국제환경은 공항 운영의 변화뿐만 아니라 공항에서 근무하는 공항의 근무자들도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공항전반에 걸친 지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공항에 종사하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공항의 전반적인 운영내용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공항의 선진화를 위해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창출해야 한다. 

본 저서는 항공운항, 항공교통, 항공경영 및 항공을 전공하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공항에서 공항운영에 관련된 내용을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보다 충실한 내용을 습득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며 이에 대한 교육을 담당하는 여러분들에게도 항공운송시스템의 주요부문 중의 하나인 공항분야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한 교육과 관련하여 이론과 사례분석을 통해 공항운영관리의 폭넓은 지식을 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서는 대학에서 한 학기동안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항운영관리의 최신연구를 포함하여 스마트공항의 혁신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나 급격하게 변화하는 항공운송시장에서 공항산업의 변화에 대하여 지속적인 보완 노력을 진행할 것이다. 

특히 공항운영관리론은 항공분야와 공항분야의 실습을 진행하는 대학의 공항분야 공항운영실습 교과목을 위해 항공·공항융합운영실습 매뉴얼과 함께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본서의 구성체계는 5개 부와 25개 장으로 편성되었다. 

[제1부] 항공·공항산업의 역사 

[제2부] 공항의 운영 및 계획 

[제3부] 공항운영의 변화와 소유 및 운영 

[제4부] 항공안전 및 항공보안산업 

[제5부] 공항혁신과 스마트공항경영

이 책의 내용 중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독자 여러분들의 아낌없는 조언을 부탁하며 이 책이 공항운영관리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편안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이 저서의 개정판 집필을 위해 도와준 한서대학교 항공교통물류학과 박서현, 안석민, 이시형, 이재환 학생에게 감사를 전하며 항상 웃음을 잃지 않고 묵묵한 내조로서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아내 현아와 기쁨의 아들 원재, 사랑스러운 딸 상은이에게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 


저자 씀


이강석

1965년 서울 출생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이학석사:항공관리)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졸업(이학박사:항공교통)

한서대학교 항공교통물류학과 교수 

한서대학교 항공학부장, 기획예산처장 및 항공정보산업대학원장(전)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Center for Aviation Studies) 객원교수

사단법인 한국항공진흥협회 책임연구원

국토교통부 자체평가위원(전)

국토교통부 행정처분심의위원회(항공분야) 위원

국토교통부 항공보안장비인증위원장

국토교통부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위원(전)

국토교통부 항공분야 공무원 시험출제 및 채점위원

기획재정부 공기업․준정부기관 경영평가위원(전)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분과위원

광주광역시 군공항이전 자문위원회 공항정책자문위원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정책자문위원

부산광역시 가덕도신공항 기술위원회 위원

사단법인 공항운송기계협회 부회장

보건복지부 경영평가위원(전)

인사혁신처 중앙선발시험위원회 시험위원

인천공항공사 인천공항발전포럼 분과위원(전)

인천광역시 항공정책위원회 전문위원(전)

항공안전기술원 비상임이사(전)

한국공항공사 건설기술자문위원회 자문위원

동중앙아시아경상학회 상임이사(부회장)

한국공항학회 부회장

한국항공보안학회 부회장(전)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이사

한국항공경영학회 이사

한국관광학회 이사


저서 및 논문

항공안전이 항공이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The Impact of Aviation Safety over the Consumer’s    Behaviour)

김포국제공항의 수용력 확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민간항공 교관조종사의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링 및 중요도와 수행도 비교 연구 

항공교통문화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외국의 항공법 체계 비교를 통한 국내항공법 개정 변화 추이

한국의 공항운영 현황과 민영화에 대한 법적 고찰(세계공항의 운영형태 변화와 인천국제공항사법을 중심으로)

한국의 항공장애물관리규정 적용에 관한 연구 

MCJ를 이용한 공항서비스 품질지수 평가에 관한 연구

SHELL 모델에 근거한 학생조종사의 인적 요인에 관한 연구 

주요국가의 항공보안 관련 법 및 제도의 변화 연구

공항경영 분야 발표 논문에 대한 분석 및 고찰

공항 입지선정 요인 척도 정량화 및 가중치를 고려한 복수공항 입지선정 연구

직무만족도 조사에 따른 항공보안검색 요원의 전문성 제고 방안에 대한 연구

내부자 위협의 국제 기준에 대한 국내 적용 방안 연구

비정상 상황에서 ‘놀람과 깜짝놀람의 영향(Surprise and Startle Effect)’이 헬리콥터 조종사의 작업부하(Workload)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군 항공 조종사의 직무몰입 증진 방안에 대한 연구-공군 전투기 조종사를 중심으로

SBD(Self Bag Drop) Systems의 보안 및 운영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Safety perceptions of trainning pilots based on trainning institution and experience

Improving the Security and Efficiency of Self Bag Drop Systems: Proposals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Technology and Aviation Accident Cases

A Study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Military UAV Rules in the National Airspace System

항공산업론(대왕사) 

신항공법정해(동명사)

항공보안학(박영사)

공항마케팅론(도서출판 공간아트)


PART 1

항공․공항산업의 역사





Chapter 1 항공․공항산업의 역사

section 01 항공의 변천사

1. 세계 항공 역사 4

2. 공항의 역사 13

section 02 국내항공 및 공항의 변천사

1. 국내 항공 역사 14

2. 국내 공항의 변천사 18

3. 지방 공항 역사 19


Chapter 2 국제항공 관련 기구 및 조직

section 01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1. ICAO의 설립과 구성원 22

2. ICAO의 목적 및 조직 23

3. ICAO의 법인격 29





section 02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1.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설립 및 목적 29

2. IATA의 회원 및 조직 30

3. IATA 운송회의와 운임결정 기능 32

4. IATA의 운송절차와 대리점 규칙 및 수송원가 32

5. 사무국 33

section 03 정부 간의 지역협력기관

1. 유럽민간항공회의(ECAC) 34

2. 라틴 아메리카 민간항공위원회(LACAC) 34

3. 아프리카 민간항공위원회(AFCAC) 34

4. 아랍민간항공이사회(ACAC) 35

5. 유럽항공안전기구(EUROCONTROL) 35

section 04 항공회사 간의 지역협력기관

1. 아시아․태평양 항공기업협회(AAPA, 전 OAA) 35

2. 유럽 항공기업협회(AEA) 36

3. 아랍 항공기업기구(AACO) 36

4. 아프리카 항공기업협회(AAFRA) 37

5. 미국 항공운송협회(ATA) 37

section 05 부정기 항공회사 간의 협력기관

1. 국제항공기업 협회(IACA) 37

2. 미국 항공기업협회(NACA) 38


PART 2

공항의 운영 및 계획





Chapter 3 공항의 의미

section 01 공항의 개요

1. 공항의 정의(Definition of Airport) 42

2. 공항의 기능(The Function of the Airport) 43

3. 공항(비행장)의 종류 49

4. 각국의 공항 분류 51

section 02 공항 현황

1. 국내 공항의 현황 53

2. 세계 속의 한국의 공항 91


Chapter 4 공항계획(Airport Planning)

section 01 공항계획

1. 항공법의 공항개발 기본계획 수립 93

2. 공항계획의 종류 96

3. 공항 후보지 선정 111

section 02 공항기본계획(Airport Master Planning)

1. 공항기본계획의 목적 113

2. 계획의 등급 114

3. 공항기본계획의 요소(FAA의 규정) 114

4. 항공수요 120


Chapter 5 공항의 에어사이드

section 01 공항의 운영을 통한 구분

1. 공항시설법상의 공항시설 구분 128

2. 항공기이동지역(Airside) 132

section 02 기타 항공운항지역

1. 대기 장소(Holding Bays) 139

2. 계류장(Aprons) 140

3. 활주로 장애물 제한 143


Chapter 6 활주로 수용능력

section 01 활주로 용량

1. 활주로 용량의 정의 146

2. 용량과 지연 147

3. 활주로 용량을 결정하는 요소 150

4. 활주로 수용능력 산정기준 152

5. 활주로 용량평가 기법제시 154

6. 활주로 용량 적용사례 159

section 02 국내공항 활주로 용량 적용

1. 항공기 등급분류 161

2. 항공기 혼합률 163

3. 공항 기상 163

4. 시간당 기본용량 165

5. 연간사용률 산정 P*(Percent of year) 169



Chapter 7 공항의 랜드사이드(Landside)

section 01 공항의 랜드사이드(일반업무지역, Landside) 구분

1. Landside 체계 175

2. Landside 시스템의 활용과 시설 178

3. 설계 고려사항 179

4. 여객터미널 시설분류 180

section 02 여객터미널 구성 및 계획

1. 여객터미널체계 182

2. 터미널 계획 186

3. 터미널의 개념 187

4. 터미널 이용시설의 배정방법과 운영 191


Chapter 8 공항보조시설 및 기타시설

section 01 공항보조시설 구성 및 특성

1. 공항의 주요시설과 보조시설 193

2. 공항보조시설 구성 및 특성 194

section 02 공항 접근교통시설

1. 공항의 접근교통시스템 200

2. 접근교통 이용자 및 교통수단의 선택 201

3. 공항의 접근성 평가 및 분석 205

4. 접근성평가 방법 206

5. 주차시설 208


PART 3

공항운영의 변화와 소유 및 운영





Chapter 9 공항의 소유 및 운영주체

section 01 공항운영체제

1. 공항관리 및 운영구조 213

2. 공항운영형태 214

3. 지방공공단체의 관리방법 215

4. 공단체제에 의한 관리방법 215

section 02 공항의 소유와 운영의 변화

1. 공항의 소유와 운영의 변화 219

2. 공항운영의 변화 배경 220

3. 공항운영의 변화 추세 222

4. 공항운영의 변화를 통해 얻는 장점 224

5. 공항운영의 변화를 통해 파생 가능한 위험요소 225

section 03 공항운영 변화의 유형

1. 정부소유와 운영 228

2. 정부소유와 일부 서비스 관련 민간운영 228

3. 정부소유와 민간관리 229

4. 민간소유와 운영 230

5. 공항운영 형태의 특성 비교 233

section 04 공항운영 준비

1. 공항 허가 239

2. 공항운영 제한요소 240

3. 공항유지보수 243

Chapter 10 활주로 운용 및 항공기 접근

section 01 활주로 운영등급

1. 활주로 운영등급 정의 250

2. 분류기준(ICAO) 250

3. 활주로 운용등급 결정 252

4. 분류에 따른 기상치의 적용 252

section 02 항공기 접근 범주

1. 항공기 접근범주(Approach Category)의 정의 255

2. 분류기준(ICAO, FAA 기준 동일) 255

3. 항공기 접근범주 등급의 분류원칙 256

4. 분류에 따른 효과 257


Chapter 11 첨두시간(Peak Time)과 운항계획

section 01 첨두시간과 운항계획

1. 첨두시간 도입의 필요성 258

2. 첨두시간(Peak Time) 산출방법 259

3. 첨두시간의 속성 263

4. 수요수준 변화의 의미 264

section 02 항공사의 운항계획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제약조건

1. 항공기 활용도와 신뢰성 265

2. 장거리 운항계획의 활주로 사용권(Slots) 265

3. 청사와 승무원에 대한 제약요소 266

4. 단거리 노선의 편의성과 인력 및 항공기 가용성 267

5. 항공사의 운항계획 267


section 03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운항계획 정책

1.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정책 269

2. 착륙료에 대한 요율정책 270

3. 항공사의 시장성 및 계절변화폭 271


Chapter 12 공항의 소음 및 환경

section 01 공항의 환경문제

1. 대기오염 문제 274

2. 폐기물분야 278

3. 항공기 소음문제 278

4. 각국의 소음대책 281

section 02 국내 소음문제

1. 국내의 소음규제 관련법 285

2. 국내 소음 대책 289


Chapter 13 항공교통관제(Air Traffic Control)

section 01 항공교통관제체제

1. 차세대 항공교통관제시스템 291

2. 항공교통관제업무 292

3. 항공로 300

4. 항공교통 분리 302

section 02 항공교통 관제시설

1. 항공교통관제 자동화체제 304

2. 항공보안시설 306

3. 항공등화 310

Chapter 14 공항의 지상조업(Ground Handling)

section 01 지상조업의 이해

1. 지상조업의 정의 315

2. 지상조업 업무범위 315

3. 지상조업의 종류 320

4. 지상조업 장비 325

section 02 지상조업 책임

1. 지상조업의 책임부서 329

2. 외국공항의 지상조업 특성 비교 330

3. 국내공항과 외국공항의 지상조업특성 비교 331

4. 국내공항의 지상조업 경쟁력 향상 방안 332


Chapter 15 여객청사관리(Passenger Terminal Management)

section 01 여객청사

1. 여객청사의 운용효율성 334

2. 여객청사의 기능 336

3. 여객청사관리 336

4. 직접여객 서비스 337

5. 항공사와 관련된 대 여객 서비스 340

section 02 항공사와 관련된 운영기능

1. 운항관리(Flight Dispatch) 340

2. 운항통제 343

section 03 정부의 요구조건

1. 공항당국의 기능 346

2. VIP의 처리(Processing Very Important Persons) 347

3. 여객정보 제공시스템 347

4. 공간구성과 인접성 349

5. 순환의 지원 349


Chapter 16 항공화물관리(Air Cargo Management)

section 01 항공화물의 발달

1. 화물운송의 성장 이유 350

2. 항공화물의 장점 351

3. 항공화물 운송대상 품목 351

4. 항공화물 운임 352

section 02 항공화물의 흐름

1. 화물관련 조직 간의 관계 352

2. 화물터미널 내 화물흐름 353

3. 수출화물 흐름 354

4. 수입화물 흐름 358

5. 환적화물 흐름 359

6. 화물터미널의 시설 359




PART 4

항공안전 및 항공보안산업




Chapter 17 항공안전(Aviation Safety)

section 01 항공기 안전사고

1. 항공기 사고의 특성 366

2. 구조 및 소방 대응지역 367

3. 소방 및 구조활동 368

4. 구조 및 소방시설의 위치 369

section 02 공항비상계획

1. 공항비상계획의 개요 372

2. 공항비상계획의 책임 373

3. 공항비상계획의 대응조치 374

4. 비상계획 훈련 375

section 03 항공기사고 처리

1. 항공기 사고처리 개요 375

2. 보고절차 375

3. 비상사태 발생 후 조치절차 376


Chapter 18 항공․공항보안산업(Aviation and Airport Security Industry)

section 01 항공보안의 개요

1. 항공보안의 역사 378

2. 보안의 개념 380

3. 항공보안의 개념 382

4. 항공보안 관련 국제협약 387

5. 각국의 항공보안관련 제도 387

section 02 보안계획의 구조

1. 보안계획 수립 과정 389

2. 책임과 조직 390

3. 항공이동지역 보안절차 391

4. 여객터미널 보안절차 394

5. 화물터미널 보안절차 396

6. 보안장비와 시스템 396

7. 보안운영 398

section 03 항공보안산업

1. 항공보안산업의 현황 399

2. 한국의 항공보안장비 개발현황 406

3. 전 세계 항공보안산업의 발전방향 408

4. 한국의 항공보안산업 발전방향 413

5. 미래의 해외 보안장비 시장 414

section 04 항공․공항보안 전문인력 양성 

1. 항공․공항보안 전문인력 양성 및 운용현황 416

2. 항공․공항보안 전문인력 교육 417

3. 항공․공항보안 인력 전문성 강화 421

4. 드론과 PAV산업과 안전 및 보안 423




PART 5

공항혁신과 스마트공항경영





Chapter 19 공항경영(Airport Business)

section 01 공항의 비용과 수입 구조

1. 공항비용의 구조 432

2. 항공이용료와 가격 정책 437

section 02 공항의 성과측정

1. 성과측정의 필요성 445

2. 성과측정의 각종 지표 447


Chapter 20 공항용량과 지연

section 01 용량과 지연

1. 공항용량의 정의와 특성 450

2. 용량과 지연 분석의 접근방법 452

3. 비행장과 지연 453

section 02 활주로 용량 산출

1. 용량산출의 매개변수 457

2. 활주로 용량 산출의 시간당 용량 459

3. 활주로의 지연계산 462

4. 연간 서비스량 466

5. 주기장 Gate 능력 470

6. 유도로 능력 473


Chapter 21 스마트공항과 셀프백드롭시스템

section 01 스마트공항화를 위한 과제

1. 초격차공항을 위한 인천공항 스마트공항 추진 475

2. 스마트공항 구현을 위한 인천공항 TOP 과제 477

section 02 셀프백드롭시스템의 구현

1. 셀프백드롭시스템(Self Bag Drop(SBD))의 이해 480

2. 해외공항별 셀프백드롭시스템의 동향 482

3. 셀프백드롭시스템의 정책 방향 494

4. 한국의 셀프백드롭시스템 현황 494

5. 셀프백드롭시스템의 국산화 496

section 03 전 세계 주요공항의 셀프백드롭 적용현황

1. 싱가폴 창이공항의 셀프백드롭 운영 500

2. 미국 시카고오헤어공항의 셀프백드롭 운영 504


Chapter 22 수하물처리시스템(Baggage Handling System)

section 01 수하물처리시스템(BHS)의 의미

1. 수하물처리시스템의 정의 508

2. 수하물처리시스템의 필요성 508

3. 수하물처리시스템의 흐름 509

4. 수하물처리시스템 처리과정 510

section 02 수하물처리시스템(BHS)의 연계

1. 수하물처리시스템의 정보 511

2. 공항운영시스템 분야별 기술 513

section 03 BHS 부문별 기술

1. 수하물 처리 단계별 기술 519

2. 환승시스템 520

3. 조기수하물 처리 시스템(EBS) 521

4. 도착시스템 523


Chapter 23 공항마케팅

section 01 마케팅의 정의와 마케팅 개념

1. 마케팅의 의미 525

2. 공항 마케팅 526

3. 공항 마케팅과 고객 529

4. 공항마케팅 측면에서의 마케팅 믹스 530

section 02 공항민영화를 통한 공항운영 변화 형태

1. 공항마케팅 개념과 배경 532

2. 공항 마케팅의 특성 537

3. 공항운영의 변화 추세 538

section 03 공항마케팅의 전략

1. 공항선택의 주요요소 540

2. 공항의 마켓 포지셔닝 전략 543

3. 다양한 공항의 마켓 포지셔닝 전략 기준(More Positioning Criteria) 546

4. 공항개발을 위한 파트너에 대한 인정 548

5. 공항기업으로서 새로운 마케팅 패러다임의 변화 548

6. 저비용 공항: 공항기업을 위한 진화 통로 549

7. 공항 제휴 551


Chapter 24 버티포트와 UAM

section 01 버티포트의 개요 및 정의

1. 버티포트 및 UAM의 정의 554

2. 버티포트 시설의 구성 555

section 02 국가별 사례 및 연구

1. 국가별 사례 562

2. 버티포트 설계 및 규정에 관한 국가별 연구 동향 564

section 03 버티포트 발전 방향

1. 버티포트 입지 선정 569

2. 버티포트 수용량 고려 570

3. 버티포트 운영 절차 571


Chapter 25 공항과 공항도시

section 01 공항도시

1. 공항도시의 개념 573

2. 공항복합도시와 공항클러스터 578

section 02 공항도시(Airport City)로서의 역할 및 공항 마케팅 노력

1. 공항도시로서의 역할 587

2. 국내 공항도시로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마케팅 측면의 노력 588

3. 공항경제권 589



부록 1 국제민간항공조약원문 및 번역본 594

부록 2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685

부록 3 국제항공업무통과협정 687

불법복제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