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조직론(제2판)
개정판
조직론(제2판)
저자
이영균·왕태규
역자
-
분야
행정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3.10
장정
무선
페이지
568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2270-4
부가기호
93350
강의자료다운
색도
2도
정가
33,000원

2판발행 2025.03.10

초판발행 2019.03.05


제2판 머리말


2019년에 초판이 출판된 이후 6년 만에 전반적인 개정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으로 6년간 교재로 채택하면서 느꼈던 설명이 미흡한 부분, 모호하게 기술되었던 부분, 내용이 부정확한 부분 등을 수정하고 싶었다. 또한 저자의 책을 교재로 선택하여 강의해 주신 몇몇 교수님께서 지적해주신 사항이 좋은 출발점이 되었다.

무엇보다 이번 개정판은 창원대학교 행정학과에 재직하신 왕태규 교수께서 공동작업으로 함께 하게 되었다. 왕 교수의 참여로 조직론의 개정작업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에서 포괄적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조직론 본문 내용의 순서를 일관성 있게 변경했다. 제1장 조직유형 분류에서 목표달성에 따른 분류로 계선조직과 참모조직을 다루었으며, 제2장은 조직목표와 조직효과성으로 수정하였다. 제2편을 조직환경과 조직구조로 재정리했으며, 제3편을 조직관리과정으로 수정하여 조직문화와 조직분위기를 포함하기로 했다. 조직생명주기 부문을 조직변화 영역으로 재정리하였다.

둘째, 본 저서에서 다루었던 주제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고자 했다. 이에 Fayol과 Taylor의 관점을 다루었으며, Weber의 관료제 설명에 Parkinson 법칙을 추가했고, 고전적 조직이론과 현대 조직이론의 비교, 분권화의 설명에 위임(delegation)을 비교하였으며, 조직의 물리적 구조를 삭제하고, 가상조직과 네트워크 조직에 대한 비교를 추가했다. 기획의 구체화와 기획평가에 크리티컬 패스 분석을 추가했으며, 의사결정모형에 점증적 모형을 추가했고, 통제의 유형에 있어 관료제적 통제, 시장 통제 및 씨족 통제를 보완하고, 평가와 모니터링을 재정리하였다.

셋째, 내용이 다소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했다. 이런 측면에서 조직효과성의 접근방법에 있어 전략적 고객접근법을 추가했으며, 상황적합이론에 전략적 선택이론을 추가했다. 신제도주의의 분파를 요약하고, 비공식적 조직구조의 장점과 단점을 표로 정리했으며, 델파이 기법의 적용 사례를 제시했다. 조직정치의 설문 사례를 추가했고, 조직발전을 설명하면서 조직변화와 조직발전을 비교하고, 팀 빌딩 모형의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감수성 훈련의 내용을 보완하였다.

끝으로, 조직론의 질을 저하했던 탈 ? 오자를 최대한 수정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본 개정판을 출간함에 있어 많은 분의 따뜻한 손길이 있었다. 삶에 있어 늘 건강함을 안내해 주는 가족들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또한 본 개정작업에 도움의 손길을 보내준 연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규민 박사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특히 본 개정판 작업에 있어 따뜻한 격려를 아끼지 않으신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과 안상준 대표님, 꼼꼼하게 편집해 주신 장유나 선생님, 김한유 선생님 및 제작에 수고해주신 모든 선생님께 고개 숙여 감사를 드린다. 전반적인 개정작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남아있다. 이 부분은 지속적으로 수정하면서 완성도를 높이는 노력을 멈추지 않도록 하겠다.


2025년 2월

이영균·왕태규 교수

이영균(李永均)

1993년 Temple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하고, 감사원 감사교육원 교수를 거쳐 1996년 3월부터 2025년 2월 현재까지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조직관리, 공공감사 및 정부혁신 등이다.

가천대학교에서 정책조정실장 겸 기획처장, 사회정책대학원장, 사회과학대학장, 법과대학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인권센터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대외활동으로 입법고시와 행정고등고시에 행정학 시험 출제위원을 했으며, 국가직 7급과 서울시 7급 행정직 임용시험에 출제위원, 경찰 간부 선발시험 출제위원을 역임했다. 감사원 자체감사활동위원회 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대검찰청 검찰수사심의위원회 위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평가위원, 경기도 옴부즈만, 성남시 시민감사관 등을 역임했다. 학회 활동으로 2009년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회장, 2014년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2021년 한국정책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왕태규(王太奎)

중앙대학교에서 행정학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2013년 Florida State University에서 행정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Florida State University의 Center for Disaster Risk Policy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그리고 Indianan University South Bend에서 초빙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2019년부터 국립창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조직관리 및 조직행태론, 성과평가, 내부고발 등이다.

대외활동으로는 서울시 재정사업 평가위원, 산림청 경영평가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경영평가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학회 활동으로는 행정학회 이사, 한국정책학회 감사, 한국자치행정학회 편집위원, 한국조직학회 기획이사, Public Personnel Management 편집위원 등을 역임했다.

PART 1 조직과 조직이론 발달 과정

CHAPTER 1 조직의 의의, 특징 및 유형 / 5

SECTION 01 조직의 의의와 특징 5

1. 조직의 의의 5

2. 조직과 관리 10

3. 조직과 집단 12

SECTION 02 조직의 유형 13

1. 목표달성에 따른 분류: 계선조직과 참모조직 17

2. 관할영역에 따른 분류: 공공조직,

비영리조직, 민간조직 20

∙용어 해설 32


CHAPTER 2 조직목표와 조직효과성 / 33

SECTION 01 조직목표의 의의, 기능, 유형, 설정 과정, 변동 및 융합 34

1. 조직목표의 의의 34

2. 조직목표의 기능 34

3. 조직목표의 분류 36

4. 목표설정의 방법 40

5. 목표의 변동 42

6. 개인목표와 조직목표의 융합 44

SECTION 02 조직목표 달성의 측정기준 45

1. 효율성 46

2. 효과성 47

3. 인본주의 49

SECTION 03 조직효과성의 특징과 측정 54

SECTION 04 조직효과성의 접근방법 56

1. 시스템자원접근법 57

2. 내부과정접근법 58

3. 목표접근법 59

4. 전략적 고객접근법 61

SECTION 05 조직효과성의 기준 선택 62

1. 관리가치 62

2. 환경 64

3. 선거구민 64

4. 조직유형에 따른 효과성 65

SECTION 06 조직효과성 측정의 이슈와 측정단계 66

1. 효과성 측정의 이슈 66

2. 효과성 측정단계 67

∙용어 해설 69


CHAPTER 3 고전적 조직이론 / 71

SECTION 01 이론과 조직이론 71

1. 이론 71

2. 조직이론 73

SECTION 02 고전적 조직이론의 의의와 특징 76

SECTION 03 Taylor의 과학적 관리론 79

1. 과학적 관리의 의의 79

2. 과학적 관리의 특성: 최상의 방법 80

3. 과학적 관리의 비판과 공헌 81

SECTION 04 행정원리학파 84

1. 행정원리학파의 의의 84

2. Fayol의 연구 85

3. Mooney와 Reiley의 연구 88

4. Follett의 연구 89

5. Gulick과 Urwick의 연구 90

SECTION 05 Weber의 관료제 92

1. 관료제란? 92

2. Weber 관료제의 의의와 특징 92

3. 관료제와 조직규모 96

4. 관료제의 유형 98

5. Weber 관료제의 장점과 비판 99

6. 관료제와 민주주의 102

∙용어 해설 104


CHAPTER 4 신고전적 조직이론 / 107

SECTION 01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의의와 특징 107

1.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의의 107

2. 고전적 조직이론과 신고전적 조직이론 109

SECTION 02 Hawthorne의 연구 111

1. Hawthorne 실험 111

2. Hawthorne 실험의 결과와 비판 114

SECTION 03 행태주의 117

1. 행태주의의 의의와 공헌 117

2. Easton의 연구 119

3. Barnard의 연구 120

4. Simon의 연구 121

∙용어 해설 124


CHAPTER 5 현대조직이론 / 127

SECTION 01 시스템이론 129

1. 시스템 및 시스템이론의 의의와 특징 129

2. 시스템의 유형 133

3. 개방시스템의 요소 136

4. 하부시스템 142

5. 시스템 모델의 장점과 단점 144

SECTION 02 이해관계자이론 146

1. 이해관계자이론의 의의와 특징 146

2. 이해관계자이론의 관점 147

SECTION 03 카오스이론 148

1. 카오스이론의 의의와 특징 148

2. 카오스이론과 시스템이론 150

SECTION 04 후기행태론적 접근법 151

1. 후기행태주의의 의의 151

2. 후기행태주의의 특징 152

∙용어 해설 155


CHAPTER 6 상황적합이론 / 157

SECTION 01 상황적합이론의 의의와 기반 157

1. 상황적합이론의 의의와 특징 157

2. 상황적합이론의 기반 160

3. 상황적합이론의 평가 161

SECTION 02 상황적합이론 162

1. 환경적 상황이론 162

2. 자원의존이론 164

3. 조직군 생태학이론 167

4. 전략적 선택이론 171

5. 제도이론 173

SECTION 03 상황적합적 관련 연구 178

1. 조직구조와 규모의 연구 178

2. 기술에 대한 연구 179

3. 조직환경의 연구 186

∙용어 해설 194


PART 2 조직환경과 조직구조

CHAPTER 7 조직환경 / 199

SECTION 01 조직환경의 의의와 기반 199

1. 조직환경의 의의와 특징 199

2. 조직환경의 기반 201

SECTION 02 환경의 특성 203

1. 불확실성 203

2. 자원의존성 204

3. 환경의 상호연관성 및 복잡성 205

SECTION 03 조직환경의 유형 206

1. 내부환경과 외부환경 206

2. Emery와 Trist의 분류 207

3. 복잡성과 예측 불가능성에 따른 환경유형 209

SECTION 04 환경분석의 접근방법 211

1. 주사형 211

2. 주사시스템 212

3. 환경주사의 장점 213

SECTION 05 환경분석의 과정 214

1. 주사 214

2. 모니터링 215

3. 예측 215

4. 평가 215

SECTION 06 환경분석의 모델 215

1. 거시적 환경 216

2. 산업/경쟁적 환경 221

3. PEST 분석 222

∙용어 해설 224


CHAPTER 8 조직구조 / 225

SECTION 01 조직구조의 의의와 변수 225

1. 조직구조의 의의 225

2. 조직구조의 변수 227

SECTION 02 조직구조의 차원 234

1. 공식화 235

2. 집권화와 분권화 236

3. 복잡성 243

4. 분화와 통합 246

SECTION 03 조직구조의 영향요인 249

1. 임무와 전략 250

2. 기술 251

3. 규모 251

4. 핵심적 인원 252

5. 환경 252

SECTION 04 공식적 조직구조와 비공식적 조직구조 252

1. 공식적 조직구조 252

2. 비공식적 조직구조 253

∙용어 해설 256


CHAPTER 9 조직설계와 직무설계 / 257

SECTION 01 조직설계의 의의와 관점 257

1. 조직설계의 의의 257

2. 조직설계의 논리적 관점 258

SECTION 02 조직설계의 기반 260

SECTION 03 조직설계의 진단, 과정 및 스타모델 263

1. 조직설계의 진단 263

2. 조직설계의 과정 264

3. 조직설계의 스타모델 266

SECTION 04 조직설계의 유형 268

1. 기능조직과 부서조직 268

2. Burns와 Stalker의 모델 271

3. 매트릭스 조직 275

4. 위원회 구조 282

5. 무경계 조직과 가상조직 285

SECTION 05 인터페이스 네트워크와 조직설계 289

SECTION 06 직무설계와 직무분석 291

1. 직무설계의 의의 291

2. 직무분석 293

SECTION 07 직무분석방법과 접근법 294

1. 직무분석방법 294

2. 직무분석의 접근법 295

SECTION 08 직무범위의 재설계 298

1. 직무단순화 298

2. 직무순환 298

3. 직무확장 299

4. 직무충실화(확충) 300

∙용어 해설 302


PART 3 조직관리과정

CHAPTER 10 기획 / 307

SECTION 01 기획의 의의와 특징 307

1. 기획의 의의 307

2. 기획의 특징 309

3. 시스템 모델과의 연계 310

SECTION 02 경영전략유형 및 기획 과정 311

1. 경영전략유형 311

2. 기획 과정과 도구 314

SECTION 03 기획유형과 SWOT분석 321

1. 기획 과정과 도구 321

2. SWOT 분석 327

∙용어 해설 331


CHAPTER 11 의사결정 / 332

SECTION 01 의사결정의 의의와 시각 332

1. 의사결정의 의의 332

2. 의사결정의 시각 333

SECTION 02 의사결정의 유형 335

1. 정형화된 의사결정 335

2. 비정형화된 의사결정 336

SECTION 03 의사결정의 과정과 전략 337

1. 의사결정의 과정 337

2. 의사결정의 전략 343

SECTION 04 의사결정의 모형 344

1. 경제적 모델: 합리적 의사결정 344

2. 행정적 모델: 만족모형 345

3. 점증적 모형 347

4. Allison의 의사결정모형 347

5. 쓰레기통 의사결정모형 350

SECTION 05 의사결정의 행태적 영향과 집단적 의사결정 353

1. 개인적 의사결정의 행태적 영향요인 353

2. 집단적 의사결정의 기법 354

∙용어 해설 364


CHAPTER 12 조직문화와 조직분위기 / 366

SECTION 01 조직문화의 의의와 기반 366

1. 조직문화의 의의와 특징 366

2. 조직문화의 기반 371

SECTION 02 조직문화의 기능과 유형 373

1. 조직문화의 기능 373

2. 조직문화의 유형 377

SECTION 03 조직문화 창조와 변화 389

1. 조직문화 창조와 변화의 특성 389

2. Schein의 조직문화 구성요소 394

3. 문화변화의 과정 397

SECTION 04 조직분위기 399

1. 조직분위기의 의의와 특징 399

2. 조직분위기의 유형 401

3. 조직분위기의 측정항목 402

∙용어 해설 404


CHAPTER 13 조직권력과 정치 / 405

SECTION 01 권력과 권위의 의의 405

1. 권력의 의의와 특징 405

2. 권위의 의의와 원천 409

SECTION 02 권력 활용 413

SECTION 03 권력의 기반 415

1. French와 Raven의 유형 416

2. Galbraith의 유형 419

3. Etzioni의 유형 420

4. 구조적 권력과 상황적 권력 420

SECTION 04 권력 대상자의 특성 422

SECTION 05 조직정치와 정치적 전략 423

1. 조직정치 423

2. 정치적 전략 428

∙용어 해설 431


CHAPTER 14 통제시스템, 평가시스템 및 성과평가 / 432

SECTION 01 통제시스템 432

1. 통제의 의의와 필요성 432

2. 효과적인 통제시스템과 통제 과정 435

3. 통제의 범위와 통제유형 439

SECTION 02 평가시스템 446

1. 평가시스템의 의의와 특징 446

2. 평가시스템의 목적, 과정 및 문제점 449

3. 평가시스템의 유형, 방식 및 기준 453

SECTION 03 성과평가 456

1. 성과평가의 의의 456

2. 성과평가의 방법 458

∙용어 해설 462


PART 4 조직변화와 조직발전

CHAPTER 15 조직변화 / 467

SECTION 01 조직변화의 의의와 유형 467

1. 조직변화의 의의와 특징 467

2. 조직변화의 유형 469

SECTION 02 조직변화의 원천, 요소 및 단계 470

1. 조직변화의 원천: 변화시스템 모델 470

2. 조직변화의 구성요소 472

3. 조직변화단계 473

SECTION 03 조직변화의 저항과 극복방안 476

1. 조직변화의 저항 476

2. 조직변화 저항의 극복방안 477

3. 조직생명주기와 조직쇠퇴 480

∙용어 해설 486


CHAPTER 16 조직발전 / 487

SECTION 01 조직발전의 의의와 특징 487

1. 조직발전의 의의 487

2. 조직발전의 특징 490

3. 조직발전의 과정 491

4. 조직발전의 한계 493

SECTION 02 조직발전의 기반 494

1. 역사적 기반 494

2. 철학적 기반 496

3. 이론적 기반 498

SECTION 03 개입 501

1. 개입의 의의 501

2. 진단 개입 502

SECTION 04 조직발달의 방법 504

1. 구조적 발달방법 504

2. 기술과 태도 발달방법 513

3. 행태적 발달방법 514

∙용어 해설 519


∙ 참고문헌 521

∙ 찾아보기 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