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새우와 고래싸움: 한민족과 국제정치(증보판)
개정판
새우와 고래싸움: 한민족과 국제정치(증보판)
저자
강성학
역자
-
분야
정치/외교학 ▷ 정치/외교 일반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3.03.10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912P
판형
신A5판
ISBN
979-11-303-1699-4
부가기호
93340
강의자료다운
-
정가
48,000원

증보판 2023.03.10

중판 2021.04.27

중판 2013. 8. 30.
중판 2007. 8. 30.
초판 2004. 2. 29.


본서는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는 우리 조상들의 속담을 염두에 두고 21세기 초인 2004년에 출간된 <새우와 고래싸움: 한민족과 국제정치>의 증보판이다. 이 책은 주변 강대국들에 둘러싸인 한국 외교정책의 국제적 배경과 그 속에서 한국의 가능한 외교적 전망과 한계를 다룬 것이다. 거의 20년 전에 출간된 이후 아직까지도 주문이 간간히 이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나는 그 책의 출판 전이나 그 후 거의 20년간 논문이나 다른 저서들에서 한국 외교정책과 관련되어 쓴 것들을 이곳에 모아 증보판으로 출간하기로 했다. 그것들은 이곳저곳에 흩어진 채로 망각에 묻혀 버린 것들로서 본서에서 다시 살려본 것이다. 그러므로 모두 10장으로 구성된 원래의 책이 총 27장으로 늘어났으며 거의 모든 장의 순서가 새롭게 구성되었다.

그동안 한반도와 주변 강대국들의 외교정책도 그들 상호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한국과의 관계에도 변화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가장 주목할 현상은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국제사회에서 인정받게 되었다는 놀라운 사실이다. “사람 팔자 알 수 없다”는 한국의 옛 속담을 국가에게도 그대로 적용하면 국가의 팔자도 알 수 없다. 대한민국은 건국 직후 재앙적 전쟁의 참화를 겪은 후에 세계의 최빈국에서 후진국, 발전도상국, 중진국을 거쳐 마침내 선진국의 반열에 올라선 것이다. 현재 38개국의 선진 회원국을 가진 OECD에 한국이 1996년 29번째로 회원국이 된 지도 거의 30년이 되어간다. 대한민국은 팔자를 고쳐 이제 명실공히 선진국이 되었다. 이런 세계사적 성취는 어느 날 갑자기 청천에 날벼락처럼 찾아온 것이거나 어느 날 불현듯 로또에 당첨되어 백일몽 같은 소망이 달성된 것이 아니다. 그것은 한 인간의 일생인 70여 년에 걸친 대한민국의 선구적 지도자들과 근면한 국민의 피와 땀과 눈물과 고난의 오디세이의 결실이었다.

그러다 보니, 한국인들 중에는 선진국이 된 대한민국이 동시에 국제사회의 강대국인 된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대한민국은 정말로 주요 강대국이 된 것일까? 일반적으로 국제정치에서 강대국이 반드시 선진국이 아닌 것처럼 선진국이 곧 강대국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되었다고 해서 동시에 국제정치의 주요 강대국이 된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러시아와 중국은 강대국이지만 그들이 선진국이 아닌 것처럼 싱가포르, 호주, 뉴질랜드, 벨기에, 네덜란드, 그리고 이스라엘 등을 포함하는 OECD회원국 모두가 강대국은 아니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에서 강대국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존 강대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빛나는 역사적 업적을 보유해야 하고, 또한 현실적으로는 타국의 지원이 없이도 독자적으로 장기간의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충분히 강력한 무장과 전쟁수행을 뒷받침할 자족적인 국가적 다양한 자산을 넉넉하게 보유하고 있어야만 한다. 지금도 진행 중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목격하고 있듯이 홀로 전쟁을 수행하고 있는 러시아는 분명 강대국이고 여러 타국의 지원에 의존하고 있는 우크라이나는 분명히 강대국이 아니다. 러시아는 전쟁에서 설사 패배하는 경우에도 여전히 강대국으로 남지만, 약소국 우크라이나는 전쟁에서 승리한다고 해서 바로 강대국으로 인정되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마치 소인(Lilliput)은 한번 쓰러지면 그것으로 끝장이 나지만 거인(Giant)은 잠시 쓰러져도 다시 일어나면 여전히 거인인 것과 같은 경우라고 할 것이다.

대한민국은 미국과 유엔의 도움으로 전쟁의 잿더미 속에서 마치 한 마리의 불사조처럼 비상하였다. 그 후 한미동맹체제의 덕택으로 안전 속에서 경제발전을 거듭한 끝에 제2차 세계대전 후 탄생한 신생국가들 중 유일하게 마침내 선진국의 반열에 들어섰다. 이것은 세계사적 사건이고 인류 역사상 하나의 기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한국은 강대국으로 인정받을 만한 빛나는 승전의 경험이 없고 장기간 독자적으로 전쟁을 수행해 나갈 만큼 국가적 자산에서 충분히 자족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아직 강대국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이 선진국이고, 더구나 최근 특정 무기들마저 대량 수출국이 되자 적지 않은 사람들이 ‘강대국 증후군(great power syndrome)’에 걸린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오만(hubris)’을 낳고 오만은 자멸을 가져오는 것이 세계사의 엄중한 교훈이다. 

현재 우리의 처지와 비슷하게 일찍이 ‘강대국 증후군’에 젖어 행동한 소중한 역사적 사례가 주는 유익한 교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필자는 제1차 세계대전 후 무솔리니 치하의 이탈리아의 경우라고 생각한다. 1919년 파리평화회의에서 이탈리아의 오를란도 수상은 제1차 세계대전의 와중에 서방 측에 늦게 가담했지만 아무것도 보상받지 못한 채 ‘깨끗한 손’이었지만 결국 ‘빈손’으로 귀국하자 이탈리아는 불만으로 들끓었다. 이 불만을 이용하여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는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다. 분노에 물들고 현대의 카이사르가 되려는 과대망상에 빠진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진정한 군사적 및 경제적 취약점을 반영하는 대외정책을 추구하지 않았다. 그는 이탈리아의 자산부족과 거대한 군사력을 공급할 수 없는 자국의 제한된 목적의 외교정책을 정교하게 수립하지 못했다. 

소수의 아첨꾼들 속에 고립된 무솔리니는 자신의 직감력을 믿었고 또 자신의 판단이 틀릴 수 없다고 확신했다. 무솔리니의 이탈리아는 유럽의 국제정치에서 소위 균형자의 역할을 꿈꾸었지만 그러나 무솔리니는 그러한 역할을 수행할 만한 세련된 리더십과 막강한 군사력을 보유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그는 국제적 균형자의 역할을 시도하지 못한 채 어쩔 수 없이 히틀러의 독일에 편승하는 것을 선택하고 말았다. 그의 어리석은 선택은 궁극적으로 국가의 생존을 희생시키고 파시스트 정권과 자신의 정치적 지위는 물론 자신의 생명까지 잃고 마는 비극적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역사적 교훈에서 배운다면, 대한민국은 지난 문재인 정권처럼 북한에 ‘선제적 굴종’을 계속하면서도 무슨 동아시아의 균형자로서 역할을 하겠다고 나설 일이 아니었다. 북한과 중국에 굴종하는 국가를 누가 균형자로 인정하겠는가? 한국인들에게 그런 특권적인 국제적 지위와 역할은 앞으로도 상당기간 주어질 것 같지 않다. 격랑의 국제정치의 파도 속에서 대한민국은 유일한 초강대국인 미국과의 동맹으로 살아남았다. 그러나 그 동맹국인 미국과는 동등한 파트너가 아니라 주니어 파트너라는 사실을 망각해선 안 될 것이다. 그리고 한미동맹체제는, 한국전쟁의 과정에서 세계최강의 미국에게 편승한 이승만 대통령의 선구자적 결단은 참으로 민족사적 최선의 결정이었다. 당시 미국은 한국과의 동맹조약 체결에 아주 미온적이었다. 당시 한미동맹은 미국에 의한 한국의 일방적 보호를 보장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한미동맹을 한반도의 분단 상황과 동북아의 지정학적 조건이 근본적으로 전환되지 않는 한 소중하게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우리는 진정한 강대국으로 성장하고 인정받을 수 있도록 국방력과 외교력을 향상시키는 데 조용히 매진해야 할 것이다. 강대국의 지위는 잘사는 국가라고 해서 저절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강대국으로 인정받고 싶은 나라는 국제사회에서 그러한 지위를 스스로 쟁취해야 하고 또 기존 강대국들에게 그들 중 하나임을 실제로 입증해야만 한다. 따라서 벌써부터 오만하게, 아니 가소롭게, 강대국 증후군에 전염되어 대한민국이 이제는 강대국이 되었다고 샴페인을 터트리는 어리석은 국제적 돈키호테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서는 한국 외교정책의 연대기 순으로 작성된 교과서가 아니라 한국 외교정책에 관한 다양한 주제의 논문집이기에 학부의 한국 외교정책 과목보다는 대학원의 한국 외교정책 세미나 과목에 더 적합한 교재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어떤 것은 시기적으로 아주 오래 전에 쓴 것이기에 오늘의 시점에서 보면 많은 업데이트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어느 곳에서나 단 한 줄도 수정하거나 업데이트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의 모든 분석과 결론들은 그것이 쓰여진 시점을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오늘의 시점에서 돌아보거나 미래를 내다볼 때 나의 글들이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는 본서의 각 장들은 그런 주제를 논의하는 출발점은 될 수 있다고 변명하고 싶다.

본 증보판의 출간을 위해 엄청 많은 분량의 새 장들을 나누어 새롭게 워드작업을 해준 참으로 고마운 제자들인 신영환 박사와 김연지 박사, 그리고 이들과 함께 작업하면서 총괄적 작업까지 해준 모준영 박사에게 감사한다. 그리고 어려운 출판여건에도 불구하고 본 증보판을 기꺼이 출판해준 박영사에 감사한다. 그리고 끝으로, 내 평생의 반려자인 아내 신혜경 여사에게 이 책을 진정한 고마움과 끝없는 사랑을 가슴 속에 담아 정중히 헌정한다. 


2023년 2월 

구고서실(九皐書室)에서

강 성 학

강성학(姜聲鶴)
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모교에서 2년간 강사를 하다가 미 국무부 풀브라이트(Fulbright) 장학생으로 도미하여 노던 일리노이 대학교(North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1981년 3월부터 2014년 2월말까지 33년간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평화연구소 소장, 교무처장 그리고 정책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2014년 3월 이후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저자는 1986년 영국 외무부(The British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의 펠로우십(Fellowship)을 받아 런던정치경제대학(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의 객원교수를, 1997년에는 일본 외무성의 국제교류기금(Japan Foundation)의 펠로우십을 받아 도쿄대학의 동양문화연구소에서 객원 연구원 그리고 2005년 말과 2006년 봄 학기에는 일본 와세다대학의 교환교수를 역임하였다. 또한 제9대 한국 풀브라이트 동문회 회장 및 한국의 영국정부장학수혜자 모임인 한국 셰브닝 동창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그동안 한국국제정치학회 상임이사 및 한국정치학회 이사, 한국유엔체제학회(KACUNS)의 설립 사무총장과 제2대 회장을 역임하였고 이것의 모태인 미국의 유엔체제학회(ACUNS)의 이사로 활동하였다.
저서로는 2011년 영국에서 출간한 영문저서 ≪Korea’s Foreign Policy Dilemmas: Defining State Security and the Goal of National Unification≫ (425쪽. 2017년 중국 사회과학원 출판사가 번역 출간함)을 비롯하여 1995년 제1회 한국국제정치학회 저술상을 수상한 ≪카멜레온과 시지프스: 변천하는 국제질서와 한국의 안보≫(688쪽)와 미국의 저명한 외교전문지인 포린 폴리시(Foreign Policy)에 그 서평이 실린 ≪이아고와 카산드라: 항공력 시대의 미국과 한국≫(807쪽)이 있다. 그의 대표작 ≪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러일전쟁의 외교와 군사전략≫(781쪽) 및 ≪소크라테스와 시이저: 정의, 평화, 그리고 권력≫(304쪽), 또 한동안 베스트셀러이기도 했던 ≪새우와 고래싸움: 한민족과 국제정치≫(402쪽)가 있다. 또한 2007년 대한민국 학술원의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인간神과 평화의 바벨탑: 국제정치의 원칙과 평화를 위한 세계헌정질서의 모색≫(756쪽), ≪전쟁神과 군사전략: 군사전략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논문 선집≫(446쪽, 2014년 일본에서 번역 출간됨), ≪평화神과 유엔 사무총장: 국제 평화를 위한 리더십의 비극≫(328쪽, 2015년 중국에서 번역 출간됨), ≪무지개와 부엉이: 국제정치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논문 선집≫(994쪽)을 비롯하여 지난 33년 간의 교수생활 동안에 총 37권(본서의 말미 저서 목록을 참조)에 달하는 저서, 편저서, 역서를 냈다. 저자는 한국 국제정치학자에게는 어쩌면 당연한 연구주제인 “전쟁”, “평화”, “한국외교통일” 문제들에 관한 각기 집중적 연구결과로 볼 수 있는 ≪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인간神과 평화의 바벨탑≫ 그리고 ≪카멜레온과 시지프스≫라는 3권의 저서를 자신의 대표적 “학술저서 3부작”으로 꼽고 있다. 아울러 2013년 ≪평화神과 유엔 사무총장≫의 출간으로 “인간神”, “전쟁神”, “평화神”이라는 일종의 “神”의 3위일체를 이루었다. 퇴임 후에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지정학연구원의 초대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2017년 가을학기부터 2019년 봄학기까지 극동대학교 석좌교수였다. 그리고 ≪한국의 지정학과 링컨의 리더십≫(551쪽), ≪죽어도 사는 사람: 불멸의 링컨 유산(김동길 교수 공저)≫(333쪽), ≪윈스턴 S. 처칠: 전쟁과 평화의 위대한 리더십≫(449쪽), ≪조지 워싱턴: 창업의 거룩한 카리스마적 리더십≫ (501쪽), ≪대한민국의 대부 해리 S. 트루먼: 평범한 인간의 비범한 리더십≫(479쪽), ≪헨리 키신저: 외교의 경이로운 마법사인가 아니면 현란한 곡예사인가?≫(843쪽), ≪오토 폰 비스마르크: 천재-정치가의 불멸의 위대한 리더십≫(491쪽), ≪나폴레옹 보나파르트≫(552쪽)를 출간했다. 그리고 저자의 일종의 지적 자서전으로 ≪내 저서의 서문들≫(223쪽)을 출간했다.

추 천 사  7
증보판 서문 9
초판 서문 15
출    처  25

제1장 한민족과 국제정치: 역사의 교훈과 전망 27
제2장 한국인의 전쟁과 평화의 개념: 유교적 미래로의 복귀? 57
제3장 한국 외교정책의 특성: 편승에서 쿼바디스로? 85
제4장 한국의 안보정책: 역대정권의 안보정책비교 117
제5장 주한미군과 한반도: 역사적 전개와 의미 173
제6장 한-러 관계의 발자취 213
제7장 한반도 주변 전략환경 변화와 미국의 역할: 미국은 시저인가 아니면 이아고인가? 239
제8장 주한미군과 한미관계: 중년의 위기인가 황혼이혼인가? 275
제9장 냉전시대 한반도 위기관리 301
제10장 한반도 군축을 위한 신뢰구축 방안 329
제11장 9.11 테러와 김정일 정권의 생존전망: 민주주의 바다에서 독재의 섬처럼? 361
제12장 한국의 유엔정책: 유일합법정부의 성상의 매몰과정과 국제기구에 대한 한국의 새로운 과제 375
제13장 유엔가입과 한국외교: 여우와 고슴도치? 415
제14장 한국의 현 유엔정책: 무책이 상책? 443
제15장 유엔의 인도주의적 개입: 너무 가까이하기엔 위험한 수렁? 459
제16장 21세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새로운 지정학적 형태: 비극적 과거로의 회귀인가 아니면 아름다운 신세계로의 진입인가? 477
제17장 한국의 안보조건과 공군력 발전방향: 한국의 아틀라스를 향해서 525
제18장 한반도 통일방안의 평가? 565
제19장 햇볕정책과 한국의 안보: 북한은 나그네의 외투인가 솔로몬의 방패인가? 591
제20장 북한 군사전략의 역사와 전망: 트로이 목마에서 러시아 룰렛으로? 611
제21장 정치적 대화와 한민족 통일:  마키아벨리적 순간에서 페스탈로치의 자세로 669
제22장 중국의 지정학적 도전과 한-미-일 민주국가들의 응전 695
제23장 국가는 돈키호테일 수 없다. 721
제24장 국제정치의 균형자는 아무나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725
제25장 링컨의 유산이 한국인들에게 주는 교훈 747
제26장 전환기 한국안보를 위한 지혜로운 부엉이의 목소리: 서평 771
제27장 국제정치이론과 세계의 앞날 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