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고용관계론(제5판)
개정판
고용관계론(제5판)
저자
김동원 외
역자
-
분야
경영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2.20
장정
무선
페이지
400P
판형
국배판
ISBN
979-11-303-2244-5
부가기호
93320
강의자료다운
색도
4도
정가
30,000원

제5판 2025.02.20

제4판 2023.02.20

제3판 2021.02.20

제2판 2019.02.20

초판 2016.08.30


서 문


2023년 봄 이 책의 제4판이 발간된 시기는 전 세계가 COVID-19 팬데믹 이후 나타난 새로운 경제 질서에 적응해 나가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4차산업혁명 등 기술의 변화와 COVID-19 팬데믹은 비대면 경제 활동을 활성화시켰고 특수고용형태 및 플랫폼 노동형태 등 다양한 고용의 등장을 촉진하였다. 이번 제5판에서는 2023년 이후의 고용관계 변화상의 흐름을 반영하고 제4판의 내용과 구조를 유지하지만 최근 2년(2023년, 2024년)간의 노동통계와 노사관계 동향을 일부 추가하는 수준으로 수정을 가하였다. 그래서 제4판이 구성하는 각 장의 구조와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최근 2년간 달라진 노사관계 동향을 새로이 보충하고 보완하는 것에 방점을 두었다. 

그렇지만 거의 모든 장에서 매년 경제상황과 고용구조를 반영하는 노동통계와 최신 소식을 중심으로 내용을 보완하였으며 일부 pre-case와 post-case를 최근의 사례로 보완하거나 수정하였다. 

이같이 4차산업혁명 등 기술의 변화, 고용의 플랫폼화, 팬데믹 등이 야기한 사회와 고용관계의 변화를 본서가 충분히 담으려고 노력을 해오고 있으나 아직도 개선할 내용이 많아서 독자 여러분의 의견과 지적이 필요한 상황이다. 향후에도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지도편달이 있기를 바란다.

본서는 노사관계의 각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열네 명의 전문가들이 자신의 역할을 분담하고 상호 협력하여 완성해나가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다 보니 본서의 개정에 기여하지만 보이지 않는 다수의 손길이 숨어 있다. 이 숨은 노력에 기초하여 본서의 개정까지 완료되었다. 

먼저 묵묵하게 자신의 집필을 담당한 공저자들의 노력과 수고에 감사를 표한다. 또한 자료확보를 위해 많은 도움을 준 고려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중인 여러 조교들의 도움에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무엇보다 본서의 출간을 위해 노력을 기울인 박영사 관계자들에게도 심심한 감사를 표한다.

2025년 2월

안암동 연구실에서

저자들을 대표하여 김동원  

김동원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졸업

미국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 대학원 졸업(노사관계학 박사, 1993)

현재고려대학교 총장

역임고려대학교 경영대학 학장, 노동대학원장, 총무처장, 기획예산처장, 뉴욕주립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국제노동고용관계학회(ILERA) 회장,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회장, 국민경제자문회의 민간위원,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 Social Asia Forum 한국대표, 행정고등고시 출제위원, 공무원 7급공채 출제위원, 공기업입사시험출제위원

저서「노조전임자 임금제도 외국사례연구」(박영사, 2014), 「한국의 노사관계: 산업별 동향과 전망」 (박영사, 2013), 「Gainsharing and Goalsharing」(Praeger, 2004), 「Employment Relations and HRM in Korea」(Ashgate, 2004) 등



이규용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경영학 박사

서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현재공공경영연구원 선임컨설턴트

역임행정안전부 정부혁신평가단 위원,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위원, 남원시 공동체지원센터 센터장

저서「인사노무관리론」(공저, 박문각, 2000), 「한국 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공저, 박영사, 2009)



권순식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국립창원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이사 및 학술지 편집위원, 경남지방노동위원회 위원

역임주식회사 럭키(LG화학), 고려대학교 직원으로 근무, 한국노총 연구원 연구위원, 한국연구재단 파견, 미국 Rutgers University 연구 교수

저서공저로서 7권의 학술연구도서, 2편의 SSCI 해외 학술지 게재 논문, 40여 편의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 등



김동주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수원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

역임한국기업경영학회 상임이사, 수원대학교 경영학과 초빙교수

저서「한국 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공저, 박영사), 「현대조직의 리더십 로드맵」(공저, 북코리아), 「창업경영론」(다원북스)



김승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노사미래연구소 소장

역임현대자동차 노동자문역, 산업노동학회 운영위원,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부소장, 민주노총 정책연구원 연구위원, 금속노조 정책국장

저서금속산업에서의 노조민주주의가 노사관계 성과에 미치는 효과(2016,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최우수논문상),  한국의 노사관계: 산업별 동향과 전망(공저), 박영사(2013), 한국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공저), 박영사(2008) 등



김윤호

명지대학교 경영무역학부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겸임교수, 호인사노무법인 대표노무사

역임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우교수, Visiting scholar, School of Management and Labor Relations, Rutgers University

저서한국과 OECD국가의 노사관계 비교연구(2012, 박영사) 외, 3편의 SSCI 등재 영문 연구논문을 비롯해, 다수의 KCI 등재 연구논문 저술



김주희

미국 미시간 주립대 사회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

고려대학교 경영학 박사

현재Anahuac University Mexico(멕시코 아나후악 대학교) 경영 경제대학교 교수

역임󰡔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등재 학술지) 편집위원, 고려대 스페인 라틴 아메리카 연구소 연구 교수, 노동대학원 연구교수, Tecnológico de Monterrey(멕시코 몬테레이 공대) 경영관리학과 교수

저서「디지털 환경에서의 인적 재능의 유치 및 개발」(단독, 멕시코), 「한국 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공저, 박영사), 「한국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공저, 한국노동연구원), 및 동아비즈니스리뷰, 국제경영연구, 산업관계연구 등에 다수의 논문 게재



손동희

동아대학교 경영학 학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한국고용노동교육원 교수

역임경제사회노동위원회 전문위원, 정책기획위원회 한국판 뉴딜 국정자문단 위원, 기아자동차 미래발전위원회 자문위원 등

저서「공무원 근무시간면제제도 도입 관련 현황 및 쟁점에 관한 연구」(공저, 한국노동연구원, 2024),「한국의 사회적 협의화 정치행정제도」(공저, 경제사회노동위원회, 2020), 「한국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공저, 박영사, 2009) 등



송민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졸업(일문학사, 영문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

역임연세대학교 강사, 고려대학교 겸임교수, 충남지방노동위원회 조정담당 공익위원

저서「장기분규사업장 특성 연구」(한국노동연구원, 2014), The Palgrave Handbook of Workers’ Participation at Plant Level」 (공저, Palgrave Macmillan, 2019) 등


유병홍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겸임교수

역임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현재 명칭) 채용 상근자: 연맹 정책실장, 민주노총 정책실장 등 역임

저서「한국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공저, 박영사, 2009), 「한국의 노사관계: 산업별 동향과 전망」 (공저, 박영사, 2013)



이수영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코넬대학교 노사관계대학원 노사관계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고려대학교 특임교수

역임한국폴리텍I대학장, 중앙노동위원회 사무처장,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심의관, 대구지방고용노동청장, 대통령실 고용노사비서관실 선임행정관, 대통령비서실 삶의질향상기획단 행정관, 노동부 혁신성과관리단장, 노사협력복지팀장, 신노사문화추진기획단장

저서「개별 노동관계법: 인사노무관리 실무」(공저, 중앙경제, 2024), 「노사관계법 실무」(공저, 박영사, 2022), 국가와 기업의 초고령사회 성공전략」(공저, 박영사, 2021), 「백세시대 생애설계」(공저, 박영사, 2021)」



이원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University of Bath Social & Business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겸임교수, 하이에치알노무법인 책임노무사

역임중앙노동위원회 조정위원, 산재재심사위원회 심사위원,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공익위원, 한국공인노무사회 부회장 등

저서청소년노동인권실태조사, 한국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 등 



정경은

동국대학교 사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행정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설 민주노동연구원 연구위원,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강사

역임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정책국장, 정의당 국회정책연구위원,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저서「한국의 노사관계 산업별 동향과 전망」(공저, 박영사, 2013), 「서비스산업의 원․하청 관계와 노사관계: 통신업종․전자제품수리업 중심으로」(공저, 한국노동연구원, 2015), 「새로운 노조: 민주노총 신규조직현황 연구(2017-2019)」(공저, 민주노동연구원, 2020) 



정흥준

성균관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

역임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부회장, 한국인사조직학회 이사, 산업노동연구 편집위원장 등 

저서국내외 저널 40편, 공저 5편 등 다수


차 례


01

고용관계에 대하여


[PRE CASE 1]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고용충격 4


1. 고용관계의 배경 6

1.1  산업사회와 노동문제_6

1.2  정보화․세계화와 고용관계_9

1.3  4차 산업혁명․코비드19와 고용관계_10


2. 고용관계의 의의 11

2.1 고용관계의 개념_11

2.2 고용관계라는 용어_11

2.3 고용관계의 목적_13

2.4 고용관계의 특질_14


3. 고용관계의 당사자와 고용관계시스템의 구성 15

3.1 고용관계의 당사자_15

3.2 고용관계시스템의 구성_18


4. 고용관계론의 학문적 성격 20

4.1 고용관계론의 연구접근방법_20

4.2 고용관계론의 인접학문_21

[POST CASE 1-1]  코로나 이후 노동시장의 향배 25

[POST CASE 1-2]  「4차 산업혁명과 고용 충격」 중 27



02

한국의 고용관계


[PRE CASE 2]  모빌리티 플랫폼기업 혁신인가? 약탈인가? 32


1. 한국 고용관계의 발전과정 34

1.1  노동운동 태동기의 고용관계_34

1.2  일제하의 고용관계_35

1.3  미군정하의 고용관계_37

1.4  제1공화국의 고용관계_38

1.5  경제개발기의 고용관계_39

1.6  민주화 이행기의 고용관계_41

1.7  외환위기 이후 미국발 금융위기 이전까지_44

1.8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_44


2. 한국고용관계의 동향과 당면 과제 50

2.1 노동공급측면_50

2.2 노동수요측면_50

[POST CASE 2]  우리나라 고용관계의 방향을 바꾼 주요 사건들 52

 



03

노동조합과 경영자 조직 및 정부


[PRE CASE 3]  특수형태고용종사자와 노동조합 60


1. 노동조합의 이데올로기, 역할 및 기능 62

1.1  노동조합의 이데올로기_62

1.2  노동조합의 역할_63

1.3  노동조합의 기능_64


2. 노동조합의 조직형태 65

2.1  직업별 노동조합_66

2.2  일반노동조합_67

2.3  산업별 노동조합_68

2.4  기업별 노동조합_68


3. 노동조합의 설립과 운영 69

3.1  노동조합의 설립_69

3.2  노동조합의 운영과 노동조합 규약_70

3.3  노동조합의 가입과 탈퇴_72


4. 노동조합의 추세와 현황 74

4.1  한국 노동조합의 추세와 현황_74

4.2  비정규직 노동조합_80


5. 경영자 조직 83

5.1  경영자 조직의 역할_84

5.2  경영자 조직의 현황 및 성격_84


6. 정부 87

6.1  정부의 역할_87

6.2  정부 조직 현황_88

[POST CASE 3]  현대중공업노동조합 92

 



04

단체교섭과 단체협약


[PRE CASE 4]  한화오션 거제조선소 사내하청의 단체교섭 102


1. 단체교섭 104

1.1  단체교섭의 의의_104

1.2  단체교섭의 목표, 주체, 대상 및 구분_106

1.3  단체교섭의 유형_108

1.4  단체교섭의 과정_110

1.5  단체교섭의 구성요소_113

1.6  단체협상의 교섭력이론_115


2. 노동조합과 사용자의 전략 120

2.1  사용자의 전략적 선택_121

2.2  노동조합의 전략적 선택_124


3. 단체협약 126

3.1  단체협약의 개념과 성격_126

3.2  단체협약의 성립_128

3.3  단체협약의 내용_128

[POST CASE 4]  삼성전자 2024년 단체교섭 분석 133


05

노동쟁의, 쟁의조정 및 부당노동행위


[PRE CASE 5]  할리우드 파업 138


1. 노동쟁의 140

1.1  노사갈등의 개념_141

1.2  노동자의 쟁의행위_143

1.3  사용자측의 대항행위_148

1.4  노동쟁의의 의사결정_149

1.5  한국의 노동쟁의 현황_150


2. 쟁의조정 154

2.1  쟁의조정의 유형_154

2.2  한국의 쟁의조정 및 중재제도_155

2.3  우리나라 노동쟁의에 대한 조정 및 중재현황_157


3. 부당노동행위 159

3.1  부당노동행위의 의의와 특색_159

3.2  부당노동행위의 종류와 요건_159

3.3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제도_161

3.4  부당노동행위의 신청과 구제현황_162

[POST CASE 5]  한화오션 하청노조 파업 165

 



06

노사협조와 경영참가


[PRE CASE 6]  이사회만큼이나 중요해진 MZ위원회, 주니어보드 170


1. 노사협조 172

1.1  노사협조의 개념_172

1.2  노사협조에 대한 경제학적인 이해_174


2. 경영참가 175

2.1  경영참가의 개념_175

2.2  경영참가제도의 유형_176



3. 의사결정참가제도의 분류 177

3.1  참가 근거에 따른 분류_178

3.2  참가방식에 따른 분류_178

3.3  참가 강도에 따른 분류_179

3.4  참가의 내용에 따른 분류_179

3.5  참가의 수준에 따른 분류_179

3.6  기존 의사결정구조와의 관계에 따른 분류_180

3.7  참가의 목적에 따른 분류_180


4. 의사결정참가의 주요 제도 182

4.1  품질관리분임조_183

4.2  노사합동위원회_185

4.3  현장자율경영팀_189

4.4  노동이사제도_191


5. 고성과 작업시스템 194

5.1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개념_194

5.2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내적적합성과 외적적합성_196

[POST CASE 6]  One Team 품질분임조: D손해보험 사례 198

 



07

임금제도와 성과참가


[PRE CASE 7]  배달라이더 최저임금 논의 무산 208


1. 임금제도 210

1.1  임금제도의 의의와 중요성_210

1.2  임금관리의 목적_211

1.3  임금의 제 개념_211

1.4  임금의 법률적 보호제도_216

1.5  우리나라 임금현황_219

1.6  우리나라 임금제도의 개선방향 및 최근 이슈_225


2. 성과참가제도 226

2.1  성과참가제도의 의의 및 종류_226

2.2  이익배분제도_227

2.3  참가형 성과배분의 유형_228


3. 자본참가제도 230

3.1  자본참가제도의 개념_230

3.2  우리사주제도_230

3.3  스톡옵션제도_232

[POST CASE 7]  임금인상과 고용창출 234


 


08

무노조기업의 고용관계


[PRE CASE 8]  무노조 사업장의 성장과 명암 238


1. 무노조기업 등장의 배경 240

1.1  노조조직률 등의 하락_241

1.2  노조조직률 하락의 원인_244


2. 무노조기업의 노조화 247

2.1  노조화이론_247

2.2  무노조기업의 직원들이 노조를 결성하는 이유_247


3. 무노조기업의 노조화 방지전략 248

3.1  노조탄압전략_249

3.2  노조회피전략_250

3.3  노조대체전략_251


4. 무노조기업의 유형과 특징 251

4.1  철학적 무노조기업_251

4.2  정책적 무노조기업_252

4.3  종교적 무노조기업_253

4.4  영세 무노조기업_253


5. 기업 내의 무노조 의견대변기구: 노사협의회 254

5.1  노사협의회의 성격_254

5.2  노사협의회와 단체교섭 간의 관계_255

5.3  노사협의회의 구성_257

5.4  노사협의회의 운영 및 임무_257

5.5  고충처리제도_258



6. 노동시장의 새로운 행위자 259

6.1  새로운 행위자의 등장배경_259

6.2  준노조의 특징_260

6.3  준노조와 노동조합의 비교_262


7. 무노조기업에서 개별적 근로관계를 규율하는 노동법 이슈 263

7.1  근로기준법상의 개인근로자 보호_264

7.2  파견근로자 보호_266

7.3  남녀 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_267

7.4  장애인 고용촉진과 차별금지 및 권리 구제_268

7.5  외국인 노동자의 고용_269

7.6  산업안전과 산업재해_270

[POST CASE 8]  월마트 272

 



09

공공부문 고용관계


[PRE CASE 9]  제복을 입은 공무원들, 노조에 다가가다 280


1. 공공부문 고용관계 배경과 이론 284

1.1  공공부문 고용관계 개관_284

1.2  공공부문 고용관계 주요 특징_285

1.3  공공부문 노동기본권을 둘러싼 논쟁_291

1.4  공공부문 고용관계 추세_293

1.5  외국 공공부문 고용관계_294


2. 공무원 고용관계 297

2.1  공무원 노동기본권_297

2.2  공무원 노동조합 현황_299


3. 공공기관 고용관계 300

3.1  공공기관 분류_300

3.2  공공기관 노동자 노동기본권_301

3.3  지방자치단체수준 고용관계에 대한 관심 고조_302

3.4  공공기관 고용관계 현황_303



4. 교원 고용관계 305

4.1  교원노동조합 태동_305

4.2  교원노동조합 현황_305

4.3  교원 고용관계 주요 특징_306

4.4  외국 교원고용관계 사례_307

[POST CASE  9]  공공기관 비정규직 정규직화, 논란이 불붙다. 309




10

주요국의 고용관계


[PRE CASE 10]  미국 무역당국 멕시코 폭스바겐 자동차 노동자들의 노조 활동을 이유로 해고된 사항에 항의 및 조사 촉구 316


1. 세계 각국의 고용관계 319

1.1  영국의 고용관계_320

1.2  미국의 고용관계_325

1.3  프랑스의 고용관계_332

1.4  독일의 고용관계_337

1.5  일본의 고용관계_343

1.6  싱가포르의 고용관계_349

1.7  중국의 고용관계_354

1.8  국가별 고용관계 비교의 종합분석_360


2. 국제기구 361

2.1  국제노동조합조직_361

2.2  국제사용자단체_361

2.3  국제 노사정기구_362

[POST CASE 10]  한국의 ILO 핵심협약비준 365


 

찾아보기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