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국제경영: 국제경제와 해외투자
신간
국제경영: 국제경제와 해외투자
저자
조양현
역자
-
분야
경영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2.05
장정
무선
페이지
316P
판형
신A5판
ISBN
979-11-303-2157-8
부가기호
93320
강의자료다운
색도
2도
정가
20,000원

초판발행 2025.02.05


머리말


국제적인 경제활동(국제경영)에서는 국제무역, 국제금융과 해외투자에 대한 영역구분이 사실상 명확하지 않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밀접한 관계가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국제무역에서 국제금융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실물거래가 성립될 수 없고, 국제금융은 실물거래에서 필요한 자금조달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며, 해외투자는 국제무역의 선택대안(대체관계)으로 추진되기도 하지만 국제무역과 동반(보완관계) 추진되는 사례도 많다. 따라서 국제경영에서 국제무역, 국제금융과 해외투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제경제(무역·금융)와 해외투자에 관하여, 특히 다국적기업의 경제활동을 다루는 분야는 국제경영학에 속한다. 부연하면, 국제경영학은 국제무역과 국제금융에 관한 국제경제학을 이론적인 기반으로 해외투자와 리스크관리에 관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국제무역은 상품·서비스의 물리적인 이동과 경제적 자원의 배분을 포함한 실물자산의 거래에 관한 분야이고, 국제금융은 외환매매 등의 자금거래, 환율제도 및 금융체계에 관한 분야이며, 해외투자와 리스크관리는 현지법인에 대한 지분과 설비 투자, 해외투자자산에 대한 운용·관리 등에 관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고의 ‘국제경영: 국제경제와 해외투자’는 ‘국제무역패턴과 국제금융체계’(PART 01), ‘해외투자요인과 리스크관리’(PART 02)로 구성되어 있다. 

PART 01의 ‘국제무역패턴과 국제금융체계’에서는 국제경제학의 대가인 폴 크루그먼이 저술한 ‘국제경제학: 이론과 정책’(2023)(798쪽)을 기본적으로 반영했다. CHAPTER 01의 ‘국제무역의 이론과 실증분석’은 주요 국제무역이론을 살펴보고 무역통계를 고찰함으로써 국제무역이론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CHAPTER 02의 ‘무역거래의 조건과 방법’은 무역거래의 계약조건을 기반으로 다양한 무역거래의 패턴을 비교분석하고, 무역거래의 국제규약, 운송계약과 자금결제, 국제무역의 기본체계, 무역규제, 국제무역기구와 경제통합체 등에 관한 핵심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CHAPTER 03의 ‘국제수지와 외환시장의 균형조건’에서는 국제수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국제수지의 조정메커니즘, 외환시장의 균형조건과 환율제도, 국제금융기구의 적용지침, 수출보조금과 관련된 수출신용기관 등을 추가했다. CHAPTER 04의 ‘경제위기의 요인과 사례’에서는 자본시장에서 나타난 경제대공황, 글로벌 금융위기, 지역별(경제권역)로 발생한 주요 경제위기의 원인과 발생배경 등을 다뤘다. 

PART 02의 ‘해외투자요인과 리스크관리’에서 CHAPTER 05의 ‘해외투자의 개념’은 해외투자의 분류기준, 진출유형과 기대효과 등 해외직접투자에 관하여 기본적으로 살펴보고, CHAPTER 06의 ‘국제경영이론’은 다국적기업투자이론, 해외직접투자이론 등 다양한 관점에서 국제경영이론에 관한 학설과 주장을 반영했다. 특히 해외직접투자이론에서는 국제경영학의 베스트셀러로 찰스 힐이 저술한 ‘국제경영: 글로벌 경쟁우위’(2023)(671쪽)를 기본적으로 반영했으며, 스테펀 하이머의 우위요소론(기업 특유의 독점적인 경쟁우위론), 리처드 케이브스의 투자형태론(다국적기업 관점), 존 더닝의 절충적체계론(생산입지론 포함) 등에 관한 핵심적인 내용을 정리했다. CHAPTER 07의 ‘투자여건과 리스크관리’에서는 경제기초여건(펀더멘털)과 기업경영여건을 분석하기 위해 국가리스크 평가, 투자 유인과 규제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했다. 


2025년 봄을 기다리며,

西延 조양현

저자 조양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무역국(수출신용과)과 한국수출입은행(해외경제연구소·해외사업금융부) 근무 경험, 한국외국어대학교(국제지역대학원·LT학부)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무역학과) 강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유럽팀) 자문위원 등을 통해 국제무역실무와 해외직접투자이론, 국제금융기구와 수출신용기관, 경제위기와 국가리스크, 해외지역경제(EU) 등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동서문제연구원) 객원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LT학부) 특임강의교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무역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작가로서 『경제 성장의 연결고리』, 『자본시장과 경제위기(경제 펀더멘털)』 등을 저술했다.

PART 01 국제무역패턴과 국제금융체계


CHAPTER 01 국제무역의 이론과 실증분석 5

1. 국제무역이론 6

(1) 비교우위론 9

(2) 요소부존론 13

(3) 지역경제론 21

(4) 마샬·러너조건과 중력모형 26

2. 무역통계 30


CHAPTER 02 무역거래의 조건과 방법 34

1. 무역거래의 패턴과 표준 36

(1) 무역거래의 분류 37

(2) 무역관리 41

(3) 무역거래의 조건과 국제규약 44

(4) 무역거래의 운송계약 50

(5) 무역거래의 자금결제 54

2. 국제무역체제 59

(1) 무역규제 61

(2) 국제무역기구 67

(3) 경제통합체 71


CHAPTER 03 국제수지와 외환시장의 균형조건 80

1. 국제수지의 조정메커니즘 81

(1) 국제수지계정 82

(2) 경상수지의 균형조건 87

2. 외환시장의 균형조건과 환율제도 89

(1) 외환시장의 균형조건 91

(2) 고정환율제도 101

(3) 변동환율제도 116

3. 국제금융체제 124

(1) 국제금융기구 125

(2) 수출신용기관 129


CHAPTER 04 경제위기의 요인과 사례 133

1. 글로벌 경제위기 137

(1) 경제대공황 138

(2) 글로벌 금융위기 141

2. 지역별 경제위기 148

(1) 선진경제권의 경제위기 148

(2) 신흥투자시장의 경제위기 157



PART 02 해외투자요인과 리스크관리


CHAPTER 05 해외투자의 개념 169

1. 해외투자의 분류기준 170

(1) 해외직접투자의 정의 170

(2) 해외직접투자통계 173

(3) 수출과 해외투자의 관계 181

2. 해외직접투자의 유형과 효과  187

(1) 해외직접투자의 진출유형 188

(2) 해외직접투자의 기대효과 193


CHAPTER 06 국제경영이론 200

1. 다국적기업투자이론 204

(1) 내부화론 205

(2) 기업전략론 213

(3) 경쟁우위론 219

2. 해외직접투자이론 223

(1) 우위요소론 225

(2) 투자형태론 231

(3) 절충적체계론 238


CHAPTER 07 투자여건과 리스크관리 250

1. 국가리스크 평가 254

(1) 국가리스크의 개념 256

(2) 국가리스크 평가방법론 260

2. 기업경영여건 266

(1) 투자유인 267

(2) 투자규제 269


참고문헌  274

찾아보기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