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디지로그 리얼리티: 재미있는 건축모형의 세계
신간
디지로그 리얼리티: 재미있는 건축모형의 세계
저자
김진만
역자
-
분야
경영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1.20
장정
무선
페이지
164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2169-1
부가기호
03320
강의자료다운
-
색도
2도
정가
19,000원

초판발행 2025.01.20

머리말


건축모형산업은 매우 흥미로운 분야이다. 미래에 생겨날 상상의 공간이나 구조를 현실세계에서 정확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그렇고, 가장 아날로그적인 형태의 제작물이면서도 디지털 소스와 도구 없이는 완성될 수 없다는 사실 때문에도 그렇다. 모형은 단 하나의 제품만을 위해 만들어진다는 점과 상상 이상의 정밀한 디테일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예술작품으로 분류할 수도 있고, 건설 및 제조, 서비스 산업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하나의 제조 물품으로 볼 수도 있다.

우리나라의 건축모형산업은 주택건설업종의 성장과 맞물려서 꾸준히 발전해왔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더욱 가속화된 디지털 대전환의 물결 앞에서 모형산업은 더 이상 가시적인 변화와 성장 동력을 찾지 못하고 서서히 침체해 가고 있다. 이는 현실과도 구분하기 어려운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 때문이기도 하지만 과거 아날로그 방식의 고객경험 추구에 대한 관성과 그것을 기초로 성장했던 경영방식에 대한 여전한 미련에 그 이유가 있다.

이 책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집필되었다. 첫 번째,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한 번도 시도된 적이 없는 건축모형에 대한 체계적인 개념 정리 및 모형의 산업 분류를 통해 국내에서 차지하고 있는 건축모형산업의 위상을 재조명해 보는 것이다. 두 번째, 아날로그적 방식과 사고를 통해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중소기업들이 어떠한 형태와 전략을 가지고 이 시대가 요구하는 디지털 전환을 시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대외적으로는 문화산업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비중 있는 산업으로 모형산업 분야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모형산업에 직 · 간접적으로 종사하거나 미래의 직업으로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모형산업의 발전 방향과 비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소망을 가져본다.

건축모형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수많은 중소 제조업체들 또한 디지털 전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현재 이 책이 제시하는 첫 번째 단계별 전략은 우리 회사가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고 있고 또 강점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별 전략으로는 우리의 몸에 맞는 디지털 기술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고, 우리만의 강점인 아날로그의 핵심 가치를 더욱 공고히 하면서도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고객에게 최종적으로 전달하는 가치의 전달방식을 달리하는 방법으로 당장 실천해 나갈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건축모형회사를 오랜 기간 경영하고 있는 필자 또한 현재 당면한 디지털 전환의 과제 앞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중이다. 경영자의 관점에서도 이 시대에 모형산업이 궁극적으로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핵심가치가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될 것인지가 매우 궁금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궁금증에 대한 해답은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을 각각 다르게 지향하고 있는 사업군의 장단점을 구분하여 분석해 보는 방식을 통해 찾아볼 수 있다. 이것이 디지털 전환을 위한 세 번째 단계별 전략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고객의 체험욕구와 정서적 본능은 아날로그 방식을, 편리함과 고객경험 확장의 측면에서는 디지털 방식을 유지·발전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가치의 다차원성에 대한 여러 학술연구와 최근의 사례들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3D프린팅과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 NFT는 미래 모형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디지털 기반 기술들이다. 이들은 제품의 생산 방식에 있어서 절삭 가공에서 적층식 출력으로, 업무 공간의 확장성에 있어서 회사에서 가정으로, 제품 실현에 있어서 현실과 가상세계의 공간 대 공간의 영역 확장으로 궁극적 변화를 이끌 것이다. 가까운 미래에는 이러한 디지털 기술들이 지금껏 실물모형으로 체험할 수 있었던 ‘아날로그적인 가치’를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가치’로 융합하는 데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할 것이며, 결과적으로 모형산업 전반에 ‘디지로그(Digilog)’ 현상을 만들어낼 것이라 예측해 본다.


2025년 1월

저자 김진만

김진만

25년 넘게 전시와 모형 분야에서 한 우물을 파고 있는 창업자이자 경영자이다. 경기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였고, 홍익대학교에서 MIS로 석사, 서강대학교에서 경영학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2015년부터는 해외로 진출하여 미국과 카자흐스탄, 몽골에 각각 법인과 지사를 두고 있다. 주요 수행 프로젝트로는 카자흐스탄 국립박물관 전시공사 기획 및 설계, 시공(국제공모 당선), 몽골 울란바토르 고고학박물관 전시설계(국제공모 당선), 세계 최대 규모의 아스타나 수도 이전 도시계획모형(40m×60m) 기획 및 제작 총괄, 이 밖에 금산인삼박물관, 경남과학교육원, 남명조식기념관 등 다수의 국내 전시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다.

2008년부터 (주)디자인비아트를 창업하여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2017년부터는 미국 워싱턴 DC에 설립한 회사인 Design be Art USA Inc의 대표를 겸하고 있다. 현재 삼성물산, 대우건설, 현대건설, GS, 대림 등 국내 주요한 건설사들의 협력업체로서 여러 건축모형 프로젝트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며 1


PART 01 사람들은 잘 모르는 건축모형의 세계

CHAPTER 01 모형, 그리고 리얼리티 14

1. ‘진짜’라는 느낌을 위한 여정 14

2. 아날로그의 정서와 디지털의 확장성 17

3. 디지털 전환이 가져올 새로운 기회 20


CHAPTER 02 모형산업 들여다보기 25

1. 모형의 본질은 창작과 보존 25

2. 기원전부터 모형은 필요했고 존재했다 27

3. 모형의 분류와 산업적 활용 양상 37

4. 예술문화산업의 한 장르가 되다 50


CHAPTER 03 우리나라 건축모형산업의 현주소 53

1. 건설 경기에 흥망이 걸려 있다 53

2. 사례를 통해 본 재미있는 모형 이야기 55

3. 수동적인 변화에 만족해 온 국내 모형업계 60

4. 디지털 전환을 앞둔 대응 현황과 과제 63


PART 02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전략:

모형산업을 알면 길이 보인다

CHAPTER 01 몸에 맞는 디지털 기술을 파악하라 70

1. 코로나19가 불러온 급격한 디지털 대전환 요구 70

2. 모형산업의 핵심 기술로 거듭나고 있는 3D프린팅 자동화 73

3. 가상이 현실을 증명하는 디지털 트윈 79

4. 유일무이함의 가치, NFT 기술 86

5. 디지털 인류가 거주하는 신세계, 메타버스 93


CHAPTER 02 영원불변하는 아날로그적 가치에 주목하라 102

1. 희소성과 유일성이 장점인 아날로그 102

2. 변함없는 탁월함, 배트맨과 펩시 104

3. 복제할 수 없는 감성, 몰스킨 106

4. 고객 경험 혁신을 선사한 위버스 플랫폼 108


CHAPTER 03 가치의 전달방식을 달리하라 113

1. 가치의 다차원성과 아날로그적 가치 113

2. 디지털과 아날로그 가치의 효과적인 결합과 시너지 118

3. 모형산업의 비즈니스모델과 디지털 전환 전략 120

4. 업의 본질은 그대로, 가치의 전달방식은 다르게 127

5. 건축모형 vs. 사이버 모델하우스 129

6. 특별한 감동 포인트를 위한 서비스모델 창출 130


PART 03 핵심은 디지로그 리얼리티

CHAPTER 01 디지털 전환이 가져올 미래, 융합과 조화 134

1. 제작에서 출력으로 134

2. 회사에서 가정으로 137

3. 현실에서 가상세계로 139


CHAPTER 02 소규모 제조업도 뉴서비스 모델로 점프업 143

1. 아날로그적 체험 욕구를 접목한 디지털 활용 143

2. 단계적 하이브리드 전략을 통한 가교 역할 145

3. 범주적 차별화 과정에 집중한 경영 전략 148

4. 뉴서비스 모델을 창출하는 디지로그(Digilog) 전략 150


글을 마치며 153

참고문헌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