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다문화 사회 교수방법론
신간
다문화 사회 교수방법론
저자
이성희, 정현정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4.09.30
장정
페이지
308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2118-9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24,000원

초판발행 2024.09.30


머리말

세계는 점점 좁아지고 노마드적 삶이 일상이 되었다. 우리는 오늘은 여기, 내일은 저기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고 일하고 소통하면서 살아간다. 마음을 다한 환대와 소통이 모두를 살리는 단 하나의 방법임을, 그 길 외에 다른 길이 없음을 천천히, 그리고 기꺼이 깨달아가며 살아간다.

2024년 8월 기준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약 260만 명으로 이 중 장기체류외국인이 약 200만 명에 이른다. 차이를 존중하고 다양성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교육과 실천이 절실한 때이다.

일찍이 네이선 글레이저(Nathan Glazer)가 설파한 것처럼 ‘우리는 모두 다문화인’이다. 이주, 노동, 이동, SNS 등을 통해 세계는 그 어느 때보다 가까워졌다. 아들러(P. S. Adler)는 다문화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상을 ‘다문화인’이라고 했다. 다문화인은 문화 간 감수성 발달에 있어 자문화와 타문화를 이상적으로 통합시키는 존재이다. 자신과 관계 맺게 되는 다양한 경험들을 재구성하고, 정체성의 변화를 지속시키며 타문화를 유연하게 수용한다. 

정주민이든지, 이주민이든지 우리는 모두 다문화인이다. 내가 만나는 사람들을 같은 인간으로서 존중하고 환대하며 의미 있는 소통을 할 수 있는 사람, 자문화뿐 아니라 타문화를 이해하고 있는 사람, 그가 다문화인이다. 우리 모두가 다문화인이 되는 일은 이미 우리 앞에 와 있는 중대한 과제이다. 어렵지만 이 일을 위한 도전은 무엇보다 교육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

이 책은 먼저 다문화 이론과 현황을, 다음으로 교수·학습의 실제를 제시했다. 이론과 현장적용의 문제를 함께 다루어 앞으로 진행될 다문화 교수방법 논의에 작은 발판이 되고자 했다. 오늘도 척박한 다문화 교육 현장에서 애쓰시는 다문화 교수자뿐만 아니라 예비 다문화 교수자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원고를 기다려 주시고 흔쾌히 출판해 주신 박영사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24년 9월

이성희, 정현정

저자 약력


이성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및 동 대학원 석사·박사

현) 총신대학교 호크마교양교육원 조교수

전)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객원교수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동아시아학과 초빙교수(한국학중앙연구원 해외강의 파견교수)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민속학과 방문교수


정현정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및 동 대학원 석사·박사

현) 동국대학교 한국어교육원 한국어 강사

전)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한국사회이해 강사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사회이해(기본, 심화) 집필진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영주용 종합평가 출제자


제1장 다문화 사회의 이해 1

제2장 세계 여러 나라의 다문화 통합정책 13

제3장 문화 학습의 원리와 다문화 교육 21

제4장 다문화 교육의 쟁점 29

제5장 상호문화능력의 이해 41

제6장 문화 차이에서 시작하기 1 - 고맥락 문화 / 저맥락 문화 49

제7장 문화 차이에서 시작하기 2 - 문화적 가변성 차원 63

제8장 세계 여러 나라의 다문화 교육 75

제9장 한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85

제10장 한국의 다문화 교육 현황과 쟁점 103

제11장 사회통합프로그램 분석과 운영 현황 117

제12장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소개 129

제13장 교수·학습 패러다임 143

제14장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 155

제15장 다문화 교육과정 모형 165

제16장 다문화 수업 개발과 설계 175

제17장 교사의 다문화 역량 185

제18장 다문화 교수·학습 프로그램 197

제19장 상호문화 교수·학습의 실제209

제20장 외국 학생들의 자문화 소개하기 활동 219

제21장 외국 학생들이 바라본 K-일상 229

제22장 민속을 통한 다문화 교수·학습의 실제241

제23장 교육연극을 통한 다문화 상황 이해 253

제24장 PBL을 통한 한·중 단오 여행 프로그램 만들기 261

제25장 북한이탈주민 이해하기 271

제26장 이주노동자의 삶 이해하기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