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판발행 2024.09.10
초판발행 2018.02.09
제2판
머리말PREFACE
??농·식품경제원론??은 농업경제학, 식품경제학, 자원경제학을 전공하는 대학 학부생들과 이 분야의 원론적인 내용을 학습하고자 하는 독자들을 위해 발간되었었다. 저자들은 전통적인 농업경제는 물론, 식품산업을 포함하는 관련 산업 및 국가 경제 전체와의 연계성, 국제무역, 경제개발과 자원·환경관련 문제 등을 모두 분석할 수 있는 경제원론 교과서를 제작하려 하였고, 그 성과물인 초판은 현재 여러 대학 강좌에서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초판이 발간된 이후 벌써 상당한 시간이 지났기에 저자들은 내용을 보완하고 개선한 개정판을 이렇게 발간하게 되었다. 제2판에는 윤병삼, 이병훈, 김태영, 이종욱 네 명의 교수가 새로이 저자로 참여하여 교재의 포괄범위를 넓히고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교재의 전체 구성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지만, 제12장 “농·식품산업과 기술경제”가 추가되어 농업부문 기술진보의 성격과 기여도에 관한 경제이론을 설명한다. 제10장은 “농·식품관련 보험과 파생상품”으로 제목이 바뀌었으며, 갈수록 중요도가 높아지는 보험관련 이론과 실제까지 포함하여 설명한다. 또한 마지막 장의 국제협력 부분도 분량이 늘어났다. 그 외 기존 내용의 경우 농·식품 경제 관련 현실 자료와 정책 동향을 모두 최근의 것으로 교체하였다. 그리고 각 장의 이론 부분도 상당한 정도 개선하였는데, 특히 보론을 추가하여 정책 사례나 좀 더 깊이 공부할 필요가 있는 내용을 설명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연습문제도 보완하고 내용도 늘렸다.
초판 발간 시와 마찬가지로 11명의 저자들 모두가 전체 내용에 대해 협의하고 협력하였지만, 각 저자가 주로 담당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오상(1, 2, 5, 6장), 김성훈(8, 9, 11장), 김승규(17장), 김태영(12장), 문한필·이병훈(18, 19장), 유도일(7, 15, 16장), 윤병삼(10장), 이종욱(20장), 장재봉(3, 4장), 정원호(13, 14장).
??농·식품경제원론??의 개정판 발간은 박영사의 변함없는 지원과 격려에 힘입은 바 큰데, 특히 전채린 차장님과 최동인 님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2024년 9월
저자 일동
저자소개
권오상(權五祥, Kwon, Oh Sang)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University of Maryland at College Park 대학원 졸업(농업 및 자원경제학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근무(책임연구원)
현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전공 교수
전공분야: 자원·환경경제학, 생산경제학, 기후변화의 경제학
김성훈(金成勳, Kim, Sounghun)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미국 Purdue university 대학원 졸업(농업경제학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근무(부연구위원)
현 충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교수
전공분야: 농산물 유통, 식품산업 분석, 농식품 수출
김승규(金承奎, Kim, Seung Gyu)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대학원 졸업(농업자원경제학 석사)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대학원 졸업(자연자원경제학 박사)
USDA, Economic Research Service 근무(Research Economist)
현 경북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전공분야: 자원·환경경제학, 공간경제분석, 농업정책
김태영(金兌泳, Kim, Taeyoung)
성균관대학교 경제학부 졸업(경제학사)
성균관대학교 농업경제학과 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Oregon State University 대학원 졸업(응용경제학 박사)
University of Tennessee(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근무
현 경상국립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전공분야: 환경경제학, 농업환경 및 기후변화, 기술경제학
문한필(文漢弼, Moon, Hanpil)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Oregon State University 대학원 졸업(응용경제학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근무(연구위원)
현 전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부교수
전공분야: 농산물 무역, 농업통상 및 국제협력
유도일(劉道一, Yoo, Do-il)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졸업(경제학사)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대학원 졸업(농업 및 응용경제학 박사)
삼성경제연구소 근무(수석연구원)
충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근무(조교수 및 부교수)
현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전공 부교수
전공분야: 농업 및 응용경제학, 자원·환경경제학, 기술경제학(ICT, BT, 디지털 농식품경제학)
윤병삼(尹炳三, Yoon, Byung Sam)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졸업(경영학 석사)
Oklahoma State University 대학원 졸업(농업경제학 박사)
동양선물(주), (사)한국선물협회 근무
현 충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교수
전공분야: 농식품 유통, 농산물 선물·옵션, 농산물 무역
이병훈(李秉勳, Lee, Byoung-Hoon)
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Oklahoma State University 대학원 졸업(농경제학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근무(연구위원)
현 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부교수
전공분야: 농업구조, 농업통상, 농업경영
이종욱(李種旭, Lee, Jongwook)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문학사/인류학)
University of Maryland 졸업(이학사/수학, 문학사/경제학)
University of Chicago 대학원 졸업(통계학 석사)
University of Minnesota 대학원 졸업(응용경제학 박사)
University of Minnesota 근무(Research Professional)
Harvard University 근무(Research Fellow)
현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조교수
전공분야: 개발경제학, 효과성평가
장재봉(張宰鳳, Chang, Jae Bong)
성균관대학교 농업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대학원졸업(경제학 석사)
Oklahoma State University 대학원졸업(농업경제학 박사)
Oklahoma State University 근무(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근무(부연구위원)
영남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근무(교수)
현 건국대학교 식품유통공학과 교수
전공분야: 농식품경제학, 식품소비, 실험경제학
정원호(鄭源虎, Chung, Wonho)
고려대학교 농업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University of Minnesota 대학원졸업(농업경제학 석사)
University of Minnesota 대학원졸업(응용경제학 박사)
한국산업은행 근무(파생상품딜러, 과장)
미국 US Bank 근무(신용위험분석가, Vice President)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근무(부연구위원)
현 부산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전공분야: 농업정책, 농업금융, 농업경영
PART
Ⅰ
농·식품경제학의 소개
CHAPTER 01 농·식품경제학이란?
section 01 농·식품경제학의 중요성 5
section 02 농·식품경제학의 형성 및 발전과정 9
1
미국과 유럽 9
2
아시아 11
3
한국 13
section 03 농·식품경제학의 주요 주제 14
CHAPTER 02 농·식품 산업의 현황
section 01 국민경제에서의 농·식품산업의 위치 21
section 02 농업생산주체 25
section 03 농업생산구조 28
section 04 식품 및 외식산업 32
section 05 농·식품 소비자 34
section 06 농·식품산업과 국민경제, 국제무역 38
section 07 농·식품산업 현황 요약 41
PART
Ⅱ
시장이론
CHAPTER 03 소비
section 01 효용이론 47
section 02 무차별곡선 50
section 03 예산제약 53
section 04 소비자선택 56
section 05 선택의 변화 60
section 06 시장수요 64
CHAPTER 04 생산
section 01 생산기술 69
1
단기의 생산기술 70
2
장기의 생산기술 72
section 02 생산비용 75
1
단기의 생산비 75
2
장기의 생산비 78
section 03 생산량의 결정 83
1
단기 84
2
장기 85
section 04 다수 산출물의 생산 87
section 05 생산자이자 소비자로서의 자급농 90
CHAPTER 05 완전경쟁시장
section 01 시장의 범위 97
section 02 완전경쟁시장의 균형 98
section 03 소비자잉여, 생산자잉여와 완전경쟁시장균형의 효율성 100
section 04 농산물 시장개입의 후생효과 103
1
가격지지제도 104
2
생산량 조정제도 105
3
생산자와 소비자 간 후생의 재분배 107
section 05 농산물 가격안정화의 후생효과 111
CHAPTER 06 불완전경쟁시장
section 01 판매독점 117
1
독점시장의 균형 117
2
독점력의 크기와 결정요인 121
section 02 수요독점 124
section 03 독점생산자의 가격설정전략 126
1
가격차별화 126
2
2부가격제와 묶어팔기 131
section 04 독점적 경쟁 133
section 05 과점시장 135
CHAPTER 07 요소시장
section 01 농·식품 요소시장의 개념과 특징 141
1
파생수요로서의 요소수요 141
2
농·식품 요소시장의 특징 142
section 02 요소시장의 균형원리 144
1
요소수요 144
2
요소공급과 요소시장균형 146
section 03 경제지대 147
section 04 농업노동력 시장의 균형 149
section 05 농업정책과 농지가격 152
1
농지공급이 탄력적인 경우 153
2
농지공급이 비탄력적인 경우 155
section 06 농지가격의 결정요인 156
section 07 농산물이 투입요소로 사용되는 경우: 바이오에너지 159
PART
Ⅲ
농‧식품경제의 확대와 고도화
CHAPTER 08 농·식품 유통
section 01 유통과 가격 171
1
유통의 개념과 역할 171
2
농산물 가격의 특성과 발견 173
section 02 유통 경로 및 기능 175
1
유통경로 175
2
유통마진 178
3
유통단계별 기관과 기능 179
section 03 마케팅 및 시장 분석 183
1
마케팅의 개념과 전략 183
2
시장 분석의 개념과 주요 이론 188
CHAPTER 09 식품산업
section 01 식품산업의 개념과 실태 195
1
개념과 여건 195
2
식품가공산업 198
3
외식산업 201
section 02 푸드 시스템과 가치사슬 205
1
푸드 시스템 205
2
가치사슬 207
CHAPTER 10 농·식품 관련 보험과 파생상품
section 01 농업재해보험 213
1
농작물재해보험 213
2
가축재해보험 217
3
농업수입보장보험 219
section 02 농산물 파생상품 221
1
선물(Futures) 221
2
옵션(Options) 233
CHAPTER 11 협동조합
section 01 협동조합의 원리 243
1
기본 개념 243
2
이론적 검토 244
section 02 농업협동조합과 소비자협동조합 252
1
농업협동조합 252
2
소비자협동조합 256
CHAPTER 12 농·식품산업과 기술경제
section 01 농업혁명 263
section 02 농업기술의 정의와 발달 유형 265
1
농업기술의 정의 265
2
농업기술 유형 268
section 03 기술경제 이론과 원천 270
1
기술경제 이론적 동향 270
2
미시적 기술진보 원천 273
section 04 기술진보의 개념과 영향 275
1
기술진보의 개념 275
2
기술진보의 영향 275
3
기술진보와 사회후생 변화 282
section 05 기술가치평가와 평가 방식 287
PART
Ⅳ
농·식품경제와 국민경제
CHAPTER 13 농업과 거시경제
section 01 경제순환모형 295
1
생산요소 시장 296
2
생산물 시장 296
3
정부의 역할 297
4
공공부문(정부)을 포함한 경제순환모형 298
section 02 국민계정 299
1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소득(GNI) 간 차이 299
2
국내총생산의 산출 300
3
국민총소득과 처분가능소득 302
4
명목 국내총생산과 실질 국내총생산 304
section 03 국내총생산과 농·식품산업 307
CHAPTER 14 거시정책과 농·식품산업
section 01 농업 금융정책 315
1
융자 315
2
보증 317
3
투자 318
4
기술금융 319
5
농업금융정책 효과 321
section 02 농업재정정책 322
1
소득지지 323
2
경영안정 325
3
다원적 기능 지원 332
4
농업 기술개발(R&D) 지원 333
PART
Ⅴ
자원·환경 및 농촌발전
CHAPTER 15 자원·환경과 농·식품산업
section 01 자원·환경과 경제 341
1
자원·환경의 경제학설사(史)적 고찰 341
2
자원·환경과 경제와의 관계 343
section 02 시장실패와 자원·환경 문제 345
1
자원의 효율적 분배: 소유권과 시장메커니즘 346
2
자원의 비효율적 분배: 시장실패 347
section 03 자원·환경 문제의 해결 354
1
오염물질의 적정 관리 354
2
시장실패의 해결방안 359
CHAPTER 16 천연자원의 합리적 이용
section 01 자원의 개념 369
1
자원의 경제학적 의미 369
2
자원의 희소성과 경제문제 370
3
자원의 부존량 371
section 02 자원의 분류 371
1
자원의 분류 방식 372
2
비재생자원, 재활용자원, 재생자원 373
section 03 동태효율성과 지속가능성 377
1
동태효율성 377
2
지속가능성 385
CHAPTER 17 농촌발전
section 01 산업의 입지 및 지역성장과 경제적 분석 395
1
입지이론 395
2
지역성장이론 399
3
지역성장의 경제분석 404
section 02 농촌 현황과 발전 방향 410
1
농촌의 현황 410
2
낙후지역으로서의 농촌 발전방향 414
PART
Ⅵ
무역과 발전
CHAPTER 18 농·식품 무역
section 01 무역과 개방경제 425
1
무역의 원인과 결과 425
2
개방경제와 세계경제 428
section 02 무역이론의 전개 430
1
비교우위와 리카르디안 모형(The Ricardian Model) 431
2
요소부존도와 헥셔-오린 모형(Heckscher-Ohlin Model) 433
3
산업 간 요소이동과 무역의 소득분배 효과 435
4
산업 내 무역(intra-industry)의 증가와 새로운 무역이론 437
CHAPTER 19 무역정책과 시장개방
section 01 무역정책 445
1
관세 445
2
수입쿼터 448
3
수출보조 451
4
기타 비관세장벽 453
section 02 WTO와 FTA 455
1
WTO 체제 456
2
지역무역협정 462
CHAPTER 20 개발경제학과 농·식품 산업
section 01 개발이론 및 경제성장모형 473
1
개발이론의 경제학설사(史)적 고찰 473
2
경제성장이론 475
3
로스토우의 경제성장단계론과 해로드-도마 성장모형 477
4
2부문모형 478
5
내생적 경제성장론과 조정실패론 482
section 02 농업경제의 발전 485
section 03 해외 농업협력 및 개발 489
1
국제농업개발협력 489
2
해외농업개발 493
연습문제 해답_501
찾아보기_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