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신 국가안보론
개정판
신 국가안보론
저자
황진환 외
역자
-
분야
군사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4.09.10
장정
페이지
384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2073-1
부가기호
93340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28,000원

개정판발행 2024.09.10

초판발행 2014.03.10


개정판 머리말

 

2001??국가안보론??이 출간되고, 전면 개정을 거처 2014??국가안보론??이 출간되었다. ??국가안보론??이 출간된 이후 10여 년 동안 국가안보를 공부하는 많은 독자들이 꾸준히 사랑해 주신 것에 대해 깊이 감사를 드린다. 전면 개정이 이루어진 후 개선해야 할 방안 도출되었지만 좀 더 빨리 개정을 하지 못한 점에 대하여 너그러운 양해를 구한다.

이번에 출간된 ??국가안보론??(개정판)은 다음 세 가지 점에서 기존의 내용을 보완했다. 첫째, 비전통안보위협에 대한 내용을 추가했다. 이 책이 처음 출간되고 개정되었을 당시 국제안보환경의 중요한 쟁점은 탈냉전 및 서구와 이슬람 세계 간의 갈등이었다. 최근 포괄안보 및 인간안보에 대한 개념이 대두되고 새로운 틀에서 안보를 바라보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는 전통적 안보위협 요인과 더불어 비전통적인 안보위협이 가중되었기 때문에 발생했다. 2장에서는 비전통안보위협의 종류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군대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일부 챕터의 내용을 사례 중심에서 이론 중심으로 조정했다. 기존의 자력방위론과 군사혁신론을 하나의 챕터로 통합하여 군사력건설론으로 개정했다. 통합된 두 챕터는 본질적으로 군사력건설을 주제로 하기 때문에 군사력건설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강화하고 4차 산업혁명이 군사력건설에 주는 함의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기존의 위기관리론 역시 사례 위주의 내용을 개정하여 위기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강화했다. 군사위기의 본질과 군사위기가 확대되는 조건, 군사위기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군사위기 관리 방법의 장점과 단점을 제시했다.

셋째, 안보정책결정론의 내용을 보강했다. 기존 안보정책결정론의 주요 내용은 안보정책결정 과정과 안보정책결정 모델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안보정책결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가안보정책의 특성과 정책결정에 참여하는 공식적 및 비공식적 행위자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가안보정책의 공공재로서의 본질적 특성에 관하여 자세히 소개하고, 국가안보정책결정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행위자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제시했다.

??국가안보론?? 개정판은 기존 교과서의 집필 방향을 계승했다. 안보를 바라보는 세 가지 접근인 절대안보, 공동안보, 협력안보의 프레임을 그대로 유지한 가운데, 각 프레임에 기반한 정책수단과 기제가 이 책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각 접근에 기반하여 발전한 각각의 정책수단이 어떻게 국가안보의 증진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각 정책수단이 갖는 장점과 한계에 대하여 제시했다. 또한, 한부 수준의 학생들의 학습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각 챕터의 학습목표, 탐구중점, 핵심개념을 제시하고 요약과 더 읽으면 좋은 글을 추가했다.

이 책의 개정에 참여한 공저자들의 노력과 헌신에도 불구하고 개선하고 추가해야 할 부분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에 대해서는 독자 여러분의 아낌없는 조언과 비판을 기대한다. 이 책의 기초적인 토대를 닦아주신 기존 공저자들에게 깊이 감사드리며, 새로운 챕터의 집필에 참여해 주신 공저자들의 헌신에도 감사를 드린다. 끝으로 이 책을 기꺼이 출판해주신 박영사에 감사드리며 출판 실무를 담당해 주신 최동인 팀장님께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249

집필자를 대표하여

성 기 은 씀

 

저자 약력

황진환(黃珍煥)

육군사관학교 정치학 교수

미국 남가주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정치학 석사 및 박사

 

윤정원(尹淨遠)

육군사관학과 정치학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 석사, 미국 조지아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 국제정치학 박사

 

김순수(金淳洙)

육군사관학교 정치학 부교수

중국인민대학 국제정치학 석사,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

 

김인수(金寅洙)

육군사관학교 사회학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학 석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 사회학 박사

 

성기은(成基恩)

육군사관학교 정치학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학 석사, 미국 아이오와주립대(University of Iowa) 정치학 박사

 

이만석(李萬䄷)

육군사관학교 정치학 조교수

미국 UC 버클리대 핵공학 석사, 미국 UC 버클리대 정책학 박사

차례

 

1장 국가안보의 이해_황진환

1절 국가안보와 국가이익

2절 국가안보 개념의 확대

3절 국가안보 연구 패러다임

 

2장 비전통적 안보위협과 군대의 역할_김인수

1절 비전통 안보위협의 이해

2절 안보위협의 변화와 군사작전의 확대

 

3장 군사력건설론_성기은

1절 군사력 건설의 원인

2절 군사력의 구성요소와 기능

3절 군사력 건설과 군사혁신

 

4장 군사동맹론_윤정원

1절 동맹의 개념

2절 동맹의 목적

3절 동맹의 분류

4절 동맹의 특성과 한계

5절 동맹의 관리

6절 사례: 한미동맹의 변화와 지속

 

5장 위기관리론_성기은

1절 위기의 정의와 군사위기의 특수성

2절 군사위기의 확대 요인과 군사위기관리 방식

3절 한반도 군사위기의 특징과 위기관리

 

6장 군사외교와 협상_김순수

1절 군사외교의 개념과 기능

2절 군사외교 전개 유형

3절 협 상

 

7장 군비통제론_황진환

1절 군비통제: 개념과 기능

2절 군비통제의 분류

3절 군비통제와 국가안보정책

4절 군비통제 결정요인: 이론적 변수군

5절 사례: 남북한 군비통제

 

8장 집단안보론_김인수

1절 집단안보의 의미와 형성 배경

2절 평화유지활동

3절 한국의 평화유지활동

 

9장 국가안보와 시민사회_김인수

1절 시민사회의 개념과 기능

2절 국방 NGO의 등장배경과 유형

3절 국방 NGO와 안보정책 결정과정

4절 시민사회와 국가안보의 관계

 

10장 국가안보정책과 기구_이만석

1절 국가안보정책의 특징

2절 국가안보정책의 구성요소_

3절 국가안보정책과정의 참여자와 기구

4절 정책의제설정(Agenda Setting)

 

11장 국가안보정책 결정_이만석

1절 합리적·분석적 국가안보정책 수립_

2절 합리적 정책결정 모형

3절 대안적 정책결정 모형

4절 쿠바 미사일 위기로 본 정책결정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