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4.08.26
머리말
학문적 연구결과를 책으로 세상에 내놓는다는 것은 조심스러운 일이다. 부족한 측면들이 드러나 자신의 지식수준이 세상에 알려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력에 대한 성과를 드러내고 싶은 마음이 있는 것 같다.
이 책은 지금까지 저자가 연구해 온 자치경찰 분야의 연구들을 정리하고, 이에 가필하여 구성한 것이다. 자치경찰 분야의 연구는 현재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보다 발전적인 연구들이 나오면 또다시 보완할 것이다.
본서의 특징은 자치경찰의 이론적 기초로서 지역사회경찰활동론을 제시한 것이다. 자치경찰활동의 이론적 근거를 지역사회경찰활동론으로 삼아 자치경찰론을 서술하였다.
본서의 구성은 제1편 지역사회경찰활동론, 제2편 지방자치와 자치경찰, 제3편 한국의 자치경찰 제도, 제4편 외국의 자치경찰 제도로 구성되었다.
자치경찰론의 중요한 분야들을 본서에서 다루고 있다. 앞으로 연구결과가 다시 나오면 보완해서 증보해 나갈 것이다. 본서를 출간하는 데 도움을 주신 여러분들과 출판사 관계자께 감사를 표한다.
2024. 07. 18.
저자 최 종 술
최종술
(崔宗述, Choi, jong sool, E-mail: cjs2634@deu.ac.kr)
◎ 학력 · 경력
•부산대학교(행정학 학사 · 석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찰행정학과 졸업(법학 박사, 경찰학전공)
•2013년 2월 22일 대통령 표창장 수상(지방분권 공로)
•2016년 10월 21일 경찰청장 감사장(경찰의 날 기념)
•현, (KCI 등록) 한국지방자치경찰학회 회장(2021~ )
•현, 부산지방검찰청 시민검찰위원회 위원(2021~ )
•전, 부산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조정부분)(2020~2023)
•전 부산지방경찰청 인권위원회 위원장(2018~2019)
•전, (대통령소속) 지방분권촉진위원회 실무위원(2008~2013)
•전, (대통령소속)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실무위원(2014~2016)
• 전, 미국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in New York City)
Visiting Scholarship(2007~2008)
•전, 미국 University of West Georgia, Visiting Scholarship(2017~2018)
•현, 2001년 3월 ~ 동의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경찰행정학과 교수
◎ 주요 논문 및 저서
•서울형 자치경찰 정착을 위한 행 · 재정적 지원 방안 연구(2023), 서울시의회
•한국경찰의 이원화 자치경찰제 도입방안 연구(2023), 한국자치행정학회
•국가경찰위원회의 실질화 방안 비교 분석 연구(2023), 한국지방정부학회
•부산형 자치경찰제 추진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2020), 부산발전연구원
•한국의 이원화 자치경찰제 도입방안 연구(2023), 한국자치행정학보
•정부의 자치경찰제 도입방안의 개선방안과 과제(2019), 한국경찰학회보
•한국 자치경찰 도입 갈등의 프레임 분석(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경찰인사관리론, 대왕사, 2004. 08.
•현대행정의 이해(4인공저), 도서출판 지누, 2016. 12.
•한국경찰의 역사와 국민생활, 도서출판 다찬, 2013. 12. 외 다수.
제1편 자치경찰의 이론적 기초
제1장┃ 지역사회경찰활동론 5
제1절 ◆ 지역사회경찰활동의 등장 6
제2절 ◆ 지역사회경찰활동의 특성과 운영전략 13
제3절 ◆ 경찰의 조직 문화와 지역사회경찰활동 20
제4절 ◆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장애요인과 성공적 수행 지침 27
제2장┃ 경찰활동론의 발전과정 35
제1절 ◆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전통적 경찰활동의 비교 36
제2절 ◆ 경찰과 지역사회관계론 42
제3절 ◆ 경찰과 지역사회 관계의 개선 47
제4절 ◆ 합동경찰활동 51
제3장┃ 지역경찰 제도 55
제1절 ◆ 우리나라 지역경찰 제도 56
제2절 ◆ 우리나라 지역경찰 제도의 변천 63
제3절 ◆ 각국의 지역경찰 제도 실례 72
제2편 지방자치와 경찰자치
제1장┃ 지방자치 제도 79
제1절 ◆ 지방자치의 본질 80
제2절 ◆ 지방자치의 효과와 원리 83
제2장┃ 자치경찰제의 이해 87
제1절 ◆ 경찰자치의 본질 88
제2절 ◆ 자치경찰 제도 개관 92
제3절 ◆ 자치경찰제의 발전 단계론 102
제4절 ◆ 자치경찰의 역할과 기능 106
제5절 ◆ 자치경찰제의 기대효과와 한계 111
제3장┃ 우리나라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논의들 115
제1절 ◆ 자치경찰제 도입 방안에 관한 주요 연구들 116
제2절 ◆ 1980년 이후 자치경찰제의 구상과 논의들 121
제3절 ◆ 2000년 이후 자치경찰제의 구상과 논의들 128
제4절 ◆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의 출범과 변화 140
제5절 ◆ 문재인 정부의 자치경찰제 도입 방안들 144
제4장┃ 자치경찰제 도입 방안의 변화 과정 163
제1절 ◆ 자치경찰제 도입 방안의 비교 164
제3편 한국의 자치경찰 제도
제1장┃ 자치경찰 제도의 주요 내용 175
제1절 ◆ 자치경찰 제도의 도입 배경 176
제2절 ◆ 자치경찰 제도의 주요 내용 182
제3절 ◆ 자치경찰 제도의 특징 186
제4절 ◆ 자치경찰 제도의 분석과 평가 188
제2장┃ 한국 자치경찰제의 변천과 새로운 모형 모색 193
제1절 ◆ 한국 자치경찰제의 변천 과정 194
제2절 ◆ 새로운 자치경찰제의 모형 모색 197
제3장┃ 이원화 자치경찰제 도입 방안 203
제1절 ◆ 윤석열 정부의 이원화 자치경찰제 도입 논의 204
제2절 ◆ 이원화 자치경찰제의 기본 방향 207
제3절 ◆ 이원화 자치경찰제 방안의 주요 내용 210
제4편 외국의 자치경찰 제도
제1장┃ 미국의 자치경찰 217
제1절 ◆ 경찰 체제의 특징 218
제2절 ◆ 경찰 체제의 구성 220
제3절 ◆ 경찰 체제의 시사점 224
제2장┃ 영국의 자치경찰 227
제1절 ◆ 지방자치경찰 체제의 특징 228
제2절 ◆ 지방자치경찰 기관 233
제3절 ◆ 시사점 236
제3장┃ 일본의 자치경찰 241
제1절 ◆ 지방자치경찰 체제의 특징 242
제2절 ◆ 시사점 256
제4장┃ 독일의 자치경찰 261
제1절 ◆ 경찰조직 체계와 운영 262
제2절 ◆ 지방자치경찰 체제의 개관 266
제3절 ◆ 지방자치경찰 체제의 특징 268
제4절 ◆ 시사점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