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4.02.29
20년 이상 경영 정보 시스템(MIS) 강의를 하면서 다양한 교재와 원서를 활용했다. 이 분야는 기본적으로 최신 기술과 추세를 반영해야 해서, 영어로 된 전문 용어 사용이 필수적이다. 그래서 근래 10여 년 동안은 주로 영어 원서를 교재로 사용했다. 그러나 최근 교재 수급과 가격 문제로 적절한 원서를 확보하기 어려운 현실이 되었다. 이런 점은 가르치는 입장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큰 부담일 수밖에 없다. 이를 고려하여 MIS를 개론 수준으로 공부할 수 있는 교재를 오래간만에 직접 집필하게 되었다.
교재는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기업과 정보 기술, 정보 시스템 간의 관계와 역할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구성했다. 학습 부담을 최소화하고, 핵심적인 개념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분량은 한 학기 16주나 15주 강의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총 13개 장으로 구성했다.
현대 경영 환경에서 필수적인 정보 기술과 정보 시스템의 다양한 요소들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어, 교강사의 재량에 따라 강의 내용을 조정할 수 있으며, 각 주제의 중요성에 따라 강조점을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교재 강의 후에 정보 시스템 개발, 정보 자원 관리, 프로젝트 관리 등의 후속 과목들이 다루어진다면 더 좋을 것으로 보인다.
본 교재는 MIS 분야에 대한 심오한 이해를 제공하는 데는 부족하겠지만. 강의실에서 이 분야의 기초 개념을 가르치고 배울 때 효율적인 중간 매개체로서 긍정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24년 2월
박 철 우
박 철 우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글로벌 시대의 경영 정보론》, 《Mobile Business in Korea. In Trends in Mobile Technology & Business in the Asia-Pacific Region》, 《경영을 위한 정보 통신 기술 입문》, 《인터넷과 전자 상거래》, 《모바일 비즈니스의 수용 요인과 신뢰의 역할》, 《유비쿼터스 컴퓨팅》, 《e-비즈니스 기술 체계》, 《스테이블 디퓨전 마스터북》 등의 저술 활동을 통해 학문적 연구와 실용적 경험을 결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조직 내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인공 지능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의 활용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강의 홈페이지: ilovemis.com
블로그: cantips.com
유튜브: youtube.com/@cantips
01 현대 경영 환경의 변화와 저보 기술
1. 현대 경영 환경의 변화 5
1제4차 산업 혁명과 경영 환경의 변화 5
24차 산업 혁명 시대 신경제의 특징 6
3경영 환경의 변화와 디지털 기업 10
2. 경영 혁신과 혁신 기술 11
1 혁신의 개념과 유형 11
2혁신 기술의 유형 12
3최신 정보 기술의 추세 14
3. 스마트 시대의 핵심 정보 기술 17
1스마트 시대의 핵심 기술: ICBM 17
2사물 인터넷 18
3클라우드 컴퓨팅 19
4빅 데이터 21
5모바일 컴퓨팅 22
6 스마트 시대의 핵심 기술: ICBM → ICBA 23
7인공 지능 23
8스마트 비즈니스 26
02 정보의 개념과 조직
1. 정보 시스템의 개념 31
1정보 기술(IT) 31
2정보 시스템(IS) 33
3시스템이란 34
2. 정보의 개념 35
1관련 개념과 차이점 35
3. 조직과 정보 시스템 39
1조직 경영과 경영자 39
2조직의 구성 41
3경영층의 수준 43
4기업의 직능 44
5비즈니스 프로세스 45
03 경영 정보의 정보 시스템
1. 정보 시스템의 유형 51
1정보 시스템의 구분 51
2경영층별 정보 시스템: TPS 53
3경영층별 정보 시스템: MRS 54
4경영층별 정보 시스템: DSS 55
5경영층별 정보 시스템: EIS 56
6인트라넷과 엑스트라넷 57
2. 기업의 4대 정보 시스템 59
1SCM: 공급 사슬 관리 시스템 59
2ERP: 전사적 자원 관리 60
3CRM: 고객 관계 관리 시스템 62
4KMS: 지식 관리 시스템 63
3. 정보 시스템 관리 조직의 구성과 역할 64
1정보 시스템 도입 이유 64
2정보 시스템 관리 조직의 구성 65
3정보 시스템 관리 조직의 구성원 66
4정보 시스템 관리 조직의 업무 71
04 경영 전략과 정보 기술의 역할
1. 경영 전략과 정보 시스템 79
1전략의 개념 79
2경영 전략 80
3경영 전략과 정보 기술의 영향 82
2. 정보 윤리와 개인 정보 88
1정보 윤리 88
2프라이버시 93
3개인 정보 97
4마이데이터 100
3. 정보 기술과 인간의 기본권 102
1디지털 권리 102
2정보 격차 104
3정보 기술의 부작용 106
4사용자의 건강과 일과 생활의 균형 108
05 정보 기술 인프라스트럭처
1. IT 인프라스트럭처의 진화 과정 117
1IT 인프라스트럭처의 시대 구분 117
2메인프레임 시대 119
3개인용 컴퓨터 시대 121
4클라이언트/서버 시대 123
5기업 컴퓨팅 시대 126
6클라우드 컴퓨팅 시대 127
7모바일 컴퓨팅 시대 130
8인공 지능 컴퓨팅 시대 132
2. 컴퓨터 하드웨어와 최신 동향 136
1컴퓨터 하드웨어 136
2컴퓨터 하드웨어의 응용 142
3컴퓨터 하드웨어 분야의 최신 동향 145
3.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최신 동향 150
1컴퓨터 소프트웨어 150
2프로그래밍 언어 154
3오픈 소스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156
4기업의 소프트웨어 활용 이슈 158
06 데이터 관리
1. 데이터 관리의 기본 개념 167
1데이터 관련 용어 체계 167
2데이터 관련 용어 168
3개체와 속성 174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177
1전통적 파일 관리 방식 177
2데이터 처리 및 저장 방식 179
3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181
3.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과 데이터 관계 184
1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 184
2SQL 187
3데이터 관계의 유형 191
07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와 응용
1. 데이터베이스 설계 197
1데이터베이스 설계 197
2정규화와 참조 무결성 199
3개체 관계도(ERD) 202
2.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데이터 마이닝 204
1데이터 웨어하우스 204
2빅 데이터와 데이터 레이크 212
3데이터 마이닝 217
4 블록체인 221
3. 데이터 분석과 관리 226
1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자원 관리 226
2정보 정책과 데이터 품질 관리 230
3데이터 거버넌스 234
08 통신 네트워크
1. 통신 네트워크 개요 239
1통신 네트워크 239
2네트워크의 구성 242
3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 246
2. 컴퓨터 네트워크의 유형과 관리 248
1컴퓨터 네트워크의 유형: LAN과 WAN 248
2전송 매체의 유형 252
3네트워크 관리 256
3. 주요 디지털 네트워크 기술 258
1인터넷을 가능하게 한 3대 핵심 기술 258
2클라이언트/서버 구조 258
3패킷 교 방식 259
4TCP/IP 262
09 인터넷
1. 인터넷의 출현과 역사 267
1인터넷의 출현 267
2. 인터넷 주소 체계와 구성 277
1인터넷 주소 체계 277
2도메인 네임 시스템 281
3URL 283
3. 주요 인터넷 서비스 285
1인터넷의 주요 서비스 285
2융합 서비스 288
3가상 사설망 290
10 월드 와이드 웹과 무선 통신 기술
1. 월드 와이드 웹 297
1월드 와이드 웹 297
2 검색 엔진 307
3검색 엔진 최적화 308
2. 웹의 현재와 미래 311
1웹 2.0 311
2블로그 314
3위키 319
4소셜 미디어 321
3. 무선 통신 기술 325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유형 325
2셀룰러 네트워크 326
3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330
4. 무선 센서 네트워크 333
1위치 기반 서비스 333
2무선 센서 기술 336
3무선 센서 네트워크 340
11 정보 보호의 개념과 중요성
1. 정보 보안 347
1보안 347
2정보 보안 349
3 정보 보안 취약점 353
2. 컴퓨터 보안 357
1컴퓨터 보안 357
2 맬웨어 358
3도청 359
4스니핑 360
5신원 도용 361
6해킹 364
7서비스 거부 공격 366
8사이버반달리즘 367
12 정보 보안 기술과 관리
1. 정보 보안 기술 373
1인증과 신원 확인 373
2방화벽 376
3암호화 378
2. 무선 네트워크 보안과 시스템 가용성 관리 383
1무선 네트워크 보안 383
2시스템 가용성 387
3. 개인 수준의 보안 기술과 용어 393
1애플리케이션 관리 393
2웹 관련 보안 기술 396
3암호 작성과 관리 401
13 전자 상거래와 지식 경영
1. 전자 상거래와 e-비즈니스 409
1 디지털 경제 409
2전자 상거래 412
3전자 상거래의 학문적 관점 416
2. 전자 상거래 유형과 수익 모델 417
1 전자 상거래 모델의 유형 417
2수익 모델 427
3 전자 상거래의 안전성 429
3. 지식 경영 431
1 지식 경영 431
2지식의 획득과 참조 435
3지식의 공유와 이전 438
4지식 관리 기술 443
국문색인 449
영문색인 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