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3.11.24
새벽의 타지마할 온통 흰색 대리석으로 덮인 이 멋진 건축은 현세의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가 없을 정도로 감동적이었다. 유폐된 샤?자한이 하루 종일 바라보고 지냈다는 아그라성에서의 조망 또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아름다움이었다. 앙코르?와트의 꼭대기에 걸터 앉아서 바라 본 해가 떨어지는 석양은 또 얼마나 황홀했으며, 거대한 입체 만다라인 보로부두르는 벌써 몇 번이나 올랐던가. 갈 때마다 부처님의 생애와 그 가르침을 느낄 수 있다는 부조를 오른쪽에 두고 한 바퀴 걷는다. 부조에 묘사된 건물은 놓치지 않고 수백 장의 사진에 담았지만, 흙바닥으로 되어 있는 토간1식 건물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
이스파한의 이맘?모스크(王의 모스크), 그 정교한 기하학에 놀란다. 그리고 금요모스크의 수많은 작은 돔들과 그 독창성에 감동한다. 아야?소피아는 단순하고 소박하지만 강력한 공간인데, 이스탄불의 원래는 기독교 교회가 모스크로 바뀐 예이다. 증축에 증축을 거듭한 이슬람건축의 걸작 코르도바의 메스키 타는 반대로 기독교의 대성당으로 바뀐다. 힌두건축을 모스크로 용도를 바꾼 사례로 델리의 쿠틉?모스크를 들 수 있는데, 그 첨탑(쿠틉?미나르)은 아득히 먼 자미?마스지드의 첨탑에서도 보인다. 인도네시아에 이슬람이 전파되고, 모스크가 세워지게 되는데, 이 때 모스크는 목조로 세워지게 된다.
북경의 천단, 이것은 정말로 우주건축이라고 부를만한 것이 아닌가. 경산에서 바라보는 자금성 고궁의 쭉 이어진 지붕, 이것이 바로 ‘군우의 아름다움’인데, 사합원이라는 동일한 형식의 반복이지만 변화무쌍한 경관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만리장성, 이것은 또 지구적 스케일의 건축이다.
세계유산급의 건축만이 아니라, 소규모 건축에도 주옥같은 것들이 많다. 베트남 하노이의 일주사, 하나의 기둥 위에 불당이 얹혀 있는데 이런 건축을 만들어 보고 싶었다. 경주의 석굴암, 불상의 이마에 박힌 수정 구슬에 동지의 태양이 정확히 들어맞는다고 한다. 인도네시아의 가우디라 불리는 네덜란드의 건축가 M?폰트가 세운 자바의 작은 포사랑교회는 수작업의 아름다움이 느껴지며, 마하발리푸람의 작은 힌두사원, 5 개의 라타, 이것은 아마 건축의 원형(모델)일 것이다. 또한 자바 치르본의 왕궁에서 본 파테푸르? 시크리의 내알전(왕이 사적으로 손님을 맞이하는 곳)의 중앙기둥과 같은 목조기둥도 잊을 수 없다.
아시아에는 아직 미지의 무수히 많은 훌륭한 건축이 주목받지 못한 채 기다리고 있다. 그래서 실제로 아시아에는 곳곳에서 발전한 보석같은 마을이 남아있으며, 사람들이 꾸준히 만들어 온 수많은 매력적인 도시가 있다. 롬복섬의 차크라느가라 및 라자스탄의 자이푸르 같은 격자형의 힌두 도시, 그리고 카트만 두 분지의 파탄, 티미, 박타푸르를 비롯한 많은 도시의 아름다움을 잊을 수 없다. 이슬람 도시의 막다른 골목들은 어디서나 활기에 넘쳤으며, 테헤란의 바자르, 아마다바드와 올드?델리의 막다른 골목도 인상 깊었다. 서구 유럽 사람들이 만들어 낸 도시도 이미 아시아 도시의 일부가 되었는데, 북부 루손의 비간, 스리랑카의 골, 말레이시아의 말라카, 페낭 등이 금방 떠오르는 도시들이다.
건축이란 사람의 생활방식과 함께 존재한다. 살아가는 일과 집에 거주하는 일, 그리고 집을 짓는 일은 모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건축 행위가 모여 도시가 만들어진다. 나는 이 책이 아시아의 건축과 도시를 둘러보기 위한, 그리고 우리들의 도시가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그마한 단서라도 줄 수 있다면 다행이겠다.
후노슈지
편저자소개
후노슈지(布野修司)
후노슈지(布野修司)는 일본의 건축, 도시 연구자, 건축 평론가이다. 공학박사(1987년 도쿄(東京)대학 논문박사). 시가(滋賀)현립대학(縣立大學) 명예교수. 동 대학 부총장 및 이사(연구·평가담당)를 역임. 일본건축학회 부회장, 복구부흥지원부회(復.復興支援部會) 부회장을 역임했다.
<약력>
1949년 시마네(島根)현 이즈모(出雲)시 출생. 1972년 도쿄(東京)대학 공학부 건축학과 졸업, 도쿄(東京)대학 박사과정을 마친 후 도쿄(東京)대학 조교, 도요(東洋)대학 조교수, 교토(京都)대학 조교수 등을 거쳐 2005년 시가(滋賀)현립대 환경과학부 교수, 2015년 시가(滋賀)현립대 정년 후 니혼(日本)대학 특임교수가 되었다. 일본건축학회 건축기획위원회 위원장, 영어회보위원회 위원장. 『건축잡지 (建築雜誌)』 편집 위원장.
<수상>
1987년 “인도네시아의 거주환경의 변용과 그 정비수법에 관한 연구-하우징 시스템에 관한 방법론적 고찰(インドネシアにおける居住環境の変容とその整備手法に關する硏究-ハウジング·システムに關する方法論的考察)”로 도쿄(東京)대학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 논문으로 1991년 일본건축산업협회상 최우수논문상 및 일본건축학회상을 수상, 1982년부터 2000년까지 주거·마을만들기를 위한 동인지 ‘군쿄(群居)’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근대 세계 시스템과 식민지 도시(近代世界システムと植民都市)’로 2006년 일본도시계획학회 논문상, ‘한국의 근대 도시경관의 형성: 일본인 이주어촌과 철도마을(韓國近代都市景觀の形成: 日本人移住漁村と鐵道町)’(교토대학 학술출판회, 2010, 후노슈지, 한삼건, 박중신, 조성민 공저)로 2013년 일본건축학회 학회상(저작상)을 수상했다.
감수자 및 역자약력
한삼건 / 韓三建 / Samgeon Han
교토대학 대학원 건축학전공(공학박사)
1994. Ph.D., Department of Architecture, Kyoto University
현재. 울산대학교 명예교수
Present. Professor emeritus, University of Ulsan
조용훈 / 趙庸薰 / Yonghoon Cho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공학박사) 1991. Ph.D., Department of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현재.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교수 Present. Professor of Architecture Major, School of Architecture and Design Convergence of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임정아 / 林貞我 / JeongA Lim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중일어문학과(문학박사 수료)
2022. Ph.D. Candidate, Department of Chinese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 University
현재. 통번역회사 뉴젠 컴 대표
Present. CEO, Translation Company NewGen Com
김성룡 / 金聖龍 / Sungryong Kim
도쿄도립대학 대학원 도시환경과학연구과(공학박사)
2016. Ph.D., Urban Environmental Science, Tokyo Metropolitan Univ.
현재.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조교수
Present. Assistant Professor of Architecture Major, School of Architecture and Design Convergence of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서문 iii
序章 아시아의 도시와 건축 1
01 ‘아시아’와 ‘유럽’ / 3
02 ‘아시아’와 ‘동양’ / 8
03 아시아는 하나 / 11
04 호류지의 뿌리찾기 / 15
05 일본건축의 기원 / 17
06 동양예술의 계통 / 20
07 동양건축계통사론 / 24
1章 버내큘러건축의 세계 27
01 아시아의 전통적 주거 / 29
02 오스트로네시아 세계 / 40
03 원시 팔작지붕 / 47
04 이동주거 / 52
05 정롱조 / 56
06 석조•벽돌조 / 59
07 고상식 주거 / 63
08 중정식 주거 / 67
09 가족과 주거형식 / 71
10 우주로서의 집 / 77
2章 불교건축의 세계사 - 불탑이 들어온 경로 85
01 불교의 성지 / 88
02 불교의 계보 / 93
03 스투파의 원형 / 98
04 차이티야와 비하라 / 103
05 불탑의 여러 형태 / 109
06 불교사원 / 123
07 불교의 우주관 / 135
3章 중화의 건축세계 141
01 자금성 / 143
02 사합원 / 149
03 ‘명당’과 예제건축 / 155
04 능침건축 / 159
05 목조건축의 발달 / 162
06 문묘와 도관 / 174
07 티베트건축, 몽골건축과의 교류 / 178
08 중국정원의 세계 / 181
4章 힌두의 건축세계 - 신들의 우주 185
01 힌두교의 신들 / 187
02 힌두건축 / 194
03 가장 초기의 힌두사원 / 202
04 석굴사원과 석조사원 / 205
05 5개의 라타 / 210
06 찰루키아의 실험 / 214
07 시카라의 융성 / 218
08 높이 솟은 고푸람 / 223
09 힌두•버내큘러 / 230
10 바다를 건넌 신들 / 235
5章 아시아의 도성과 코스몰로지 245
01 도성과 코스몰로지 / 247
02 고대 인도의 도성사상 / 252
03 고대 중국의 도성 사상 / 258
04 고대 인도와 고대 중국의 도성사상 비교 / 261
05 인도세계와 중국세계에서 도시의 원초형태 / 265
06 인도 도성의 바로크적 전개 / 268
07 중국 도성의 바로크적 전개 / 277
08 원나라 대도 / 286
09 베트남의 도성 / 291
10 일본의 도성 / 296
6章 이슬람 세계의 도시와 건축 327
01 도시국가의 탄생 / 329
02 최초의 모스크 / 332
03 바위의 돔 / 337
04 왈리드 1세와 3개의 모스크 / 340
05 원형도시와 방형도시 / 344
06 레콩키스타와 콩키스타 / 349
07 아랍•이슬람 도시의 원리 / 355
08 아즈하르•모스크 / 358
09 이완 / 362
10 시난 - 이스탄불 / 370
11 악바르 / 375
12 청진사 / 381
7章 식민도시와 식민지건축 389
01 서구 열강의 해외진출과 식민도시 / 391
02 식민도시의 여러 유형 / 405
03 펠리페 2세의 식민도시 / 411
04 해협식민지 / 420
05 동양의 파리 / 424
06 스테빈의 이상도시계획과 네덜란드령 동인도식민지 / 429
07 인도•사라센양식의 전개 / 436
08 대영제국의 수도 / 443
09 러시아의 식민도시 / 447
10 중국과 서양열강 / 454
11 일본식민지의 도시와 건축 / 458
終章 현대 아시아의 도시와 건축 465
01 캄퐁의 세계 / 467
02 도시유산의 계승과 활용 / 471
03 지역생태계에 기반한 건축 시스템 / 473
후기 475
역자 후기 478
색인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