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역사와 고전의 창으로 본 21세기 공공리더십
신간
역사와 고전의 창으로 본 21세기 공공리더십
저자
CNU 리더스피릿연구소 기획
역자
-
분야
인문학/교양/어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3.07.17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184P
판형
신A5판
ISBN
979-11-303-1782-3
부가기호
03320
강의자료다운
정가
16,000원


초판 2023.7.17

눈부신 경제발전과 민주주의의 제도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오피니언 리더 그룹과 기득권층을 향한 비판의 시선이 어느 때보다 매서운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진실로 필요한 과제는, 리더와 리더십의 수준을 꾸준히 높이는 노력일 것이다. 훌륭한 리더의 등장과 활동은 그가 지닌 개인적 역량이 발휘된 결과이기도 하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자신이 속한 사회와 그 사회에서 진행된 교육의 산물로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정치의 수준은 국민의 수준에 비례한다는 속설이 있듯이, 리더의 수준 역시 그가 속한 사회와 교육의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따라서 한 사회의 리더에 대한 기대치를 상향 조정하거나 역할 행동을 강화시키는 노력은, 구성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사회 전반의 의식수준을 끌어올리는 작업과 연결되어야 한다. 특히 대학을 비롯한 고등교육기관에서 활동하는 지식인들은 리더십의 의미와 가치에 관한 연구와 성찰을 바탕으로, 사회 각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리더 육성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리더 정신 함양에 적합한 저술 출판에도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 저술을 기획하고 출판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소명(Beruf)으로서의 정치??에서, “정치란 열정과 균형감각을 가지고 단단한 널빤지를 강하게 그리고 서서히 뚫는 작업이라고 규정한 바 있다. 그런데 베버의 묘사가 꼭 정치인에게만 적용된다고 볼 필요는 없을 것이며, 어떤 조직이나 사회의 리더를 자임하는 인물이라면 자신에게 주어진 책임과 역할을 냉철함과 열정을 바탕으로 끝까지 완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 폭넓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진정한 리더는 단지 조직의 관리 기술뿐만 아니라 공동체 전체의 긍정적인 변화와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지도자정신(leaderspirit)이란 구성원들이 지금 여기서 가장 필요로 하는 바, 즉 시대정신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새로운 공유비전으로 개념화한 후 다시 구성원과 더불어 성취할 수 있는 자세와 역량으로 규정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로 대변되는 21세기는 인류의 문명사에서 끊임없이 등장했던 고전적 단어인 리더십을 새로운 정신적·문화적 가치개념으로 해석해야 할 시기이다. 공적 합리성, 개인의 자율성과 평등, 지속적인 자기계발이 공존과 번영의 필수조건인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역사와 고전의 창으로 본 21세기 공공리더십??은 지난 2022년 봄부터 충남대학교 리더스피릿연구소가 기획하여 교수신문(www.kyosu.net) 지면에 약 일 년간 연재했던 50여 편의 칼럼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집필에 참여해 주신 선생님들께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또한 출판업무를 진행해 주신 박영사 임재무 전무님을 비롯한 관계자들께도 감사드린다. 이 저술이 개인의 가치와 공동체의 가치 사이에서 균형을 잡고, 진정성을 바탕으로 윤리적 결단을 감행할 수 있으며, 선하고 균형 잡힌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구성원들의 공감과 제도적 변화를 견인할 수 있는 리더의 등장을 촉진하는 마중물 역할이 되기를 희망해 본다.

집필진을 대표하여,

충남대학교 리더스피릿연구소장 서영식

 


고명수  충남대학교 사학과 교수

고려대학교에서 쿠빌라이 정부의 교통·통상 진흥 정책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몽골 시대 정치·사회, 민족관계, 외교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몽골-고려 관계 연구󰡕(2019)가 있다. 

kohms@cnu.ac.kr 


김문준  건양대학교 휴머니티칼리지 인문융합부 교수

성균관대학교에서 한국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동서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중봉조헌선생기념사업회 회장을 맡고 있다.

kmj@konyang.ac.kr


김시덕  문헌학자

임진왜란부터 현대에 이르는 동아시아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일본에서 출간한 저서 [일본의 대외 전쟁]은 2011년 일본에서 제4회 일본고전문학학술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으며 2017년도에는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후속작 [전쟁의 문헌학]은 2017년도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선정되었다. 2021년에는 제70회 서울특별시 문화상 학술부문을 수상했다.

hermod_k@naver.com


김응종  충남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1978년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졸업 후 1984년 프랑스 낭트 대학교에서 석사, 1987년 프랑스 프랑쉬콩테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이래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충남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장, 인문대학장, 한국프랑스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아날학파](민음사, 1991), [오늘의 역사학](공저, 한겨레신문사, 1998), [아날학파의 역사세계](아르케, 2001), 서양의 역사에는 초야권이 없다(푸른역사, 2005), [페르낭 브로델](살림, 2006), [서양사개념어 사전](살림, 2008), [관용의 역사](푸른역사, 2014), [프랑스혁명사는 논쟁 중](푸른역사, 2022) 등이 있고, 역서로는 [16세기의 무신앙 문제](문학과지성사, 1996), [고대도시](아카넷, 2000), [랑그도크의 농민들](공역, 한길사, 2009), [유럽은 어떻게 관용사회가 되었나](푸른역사, 2015), [라로슈자클랭 후작부인의 회고록](한국문화사, 2018) 등이 있다.

fides@cnu.ac.kr


김찬동  충남대학교 도시·자치융합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도쿄대학교 대학원 법학정치학연구과에서 정책 과정에서의 정관 관계와 행정책임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연구원(시정개발연구원)에서 10년간 연구위원으로서 서울시 행정과 정책을 연구했고, 현재 충남대에서 자치행정 인재들을 길러내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지방자치](공저, 2022) [주민자치정책론](2019), [주민자치제도의 재설계](2017), [주민자치의 이해](2015) 등이 있다.

cdkim15@cnu.ac.kr


김충현  충남대학교 리더스피릿연구소 교수

충남대학교에서 프랑스 종교전쟁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한밭대학교에서 교양강의를 하고 있다. 저술로는 [공공성과 리더스피릿](공저, 2022), [인문학 속 민주시민 교육](공저, 2022), [고전의 창으로 본 리더스피릿](공저, 2021), 「17세기 후반 위그노 망명과 영국의 명예혁명」(2020), 「루이 16세의 <관용칙령>과 얀센주의 운동」(2019) 등이 있다.

sky1717@hanmail.net

김희정  충남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고려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였고, 동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충남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반테러리즘과 자유, 안전에 관한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연구 관심분야는 안전, 정당, 정보인권, 구금인권, 선거, 교육권 등이다. 국가인권위원회 자유권 위원으로 구금, 군인, 국제인권 분야의 일을 하고 있다.

sidhj001@naver.com


남기택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충남대학교에서 한국 현대문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교수이자 강원문학연구회 회장, 계간 [문학의 오늘]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제도 너머의 문학](2020), [강원권 시문학과 정전의 재구성](2021),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공저, 2022) 등이 있다.

litoem@kangwon.ac.kr


민경택 충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충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White Fang & Other Stories](편저, 2020), [19세기 미국소설 다시읽기](2019), [The Call Of The Wild & Other Stories](편저, 2018),[미국소설과 서술기법](공저, 2014), [영화로 읽는 영미소설1-사랑이야기](공저, 2010), [모비딕 다시 읽기](공저, 2005), [미국소설 명장면 모음집](공저, 2004),[비극적 세계에서 희망찾기-멜빌과 그린의 작품세계-](2004), [알파 미국문학사](공역, 2003) 등이 있다. 그 밖에 미국소설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mkt201@cnu.ac.kr


박규철  국민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국민대학교 후마니타스 리더십 연구소 소장이며 한국동서철학회 부회장이다. 연세대학교에서 ‘플라톤 [고르기아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된 연구 분야는 플라톤 정치철학과 신플라톤주의 그리고 고대 회의주의와 인문학 리더십 등이다. 저서로는 [고전의 창으로 본 리더스피릿](공저, 2021)와 [그리스 로마 철학의 물음들](2017)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철학과 신학](공역, 2016)과 [플라톤과 소크라테스적 대화](공역, 2015) 그리고 [신플라톤주의](공역, 2011)가 있다.

ttakala@hanmail.net


박병기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윤리학과 도덕교육을 전공하여 서울대학교에서 ‘사회윤리의 책임주체 문제’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고, 불교원전전문학림 삼학원에서 불교철학과 윤리를 공부했다. 관심 분야는 시민교육과 도덕교육이고, 한국교원대 대학원장, 교육부 민주시민교육자문위원장을 역임했다.

bkpak15@knue.ac.kr


박지성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으로 학·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인사컨설팅회사에서 선임컨설턴트를,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방문연구원을 역임하였다. 인적자원관리와 관련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출간했으며,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jspark1@cnu.ac.kr


박현모  여주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

1999년 서울대학교에서 ‘정조(正祖)의 정치사상’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2001년부터 14년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정조와 세종, 정도전과 최명길 등 왕과 재상의 리더십을 연구했다. 2013년부터는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 일본 ‘교토포럼’ 등에서 외국인 대상으로 ‘한국형 리더십’을 강의하는 한편, 시민강좌 ‘실록학교’를 운영해 왔다. 현재 여주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 및 세종리더십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며 ‘세종 리더십’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태종평전], [정조평전] 등이 있고, 「경국대전의 정치학」, 「정약용의 군주론: 정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등 8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hyunmopark@daum.net


변은진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교수

고려대학교에서 한국 근현대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 후 고려대·영남대·가천대·방송대 등에서 연구교수를 지냈다. 저서로 [허헌 평전, 항일운동의 선봉에 선 인권변호사](2022), [일제말 항일비밀결사운동 연구](2018), [독립과 통일 의지로 일관한 신뢰의 지도자, 여운형](2018), [자유와 평화를 꿈꾼 ‘한반도인’, 이소가야 스에지](2018), [파시즘적 근대체험과 조선민중의 현실인식](2013) 등이 있다.

bbdbej@naver.com


서영식  충남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스위스 루체른대학교에서 서양고전철학 연구로 박사학위(Dr.phil.)를 취득했다. 현재 충남대학교 자유전공학부장, 리더스피릿연구소장, 출판문화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리더와 리더스피릿](2023), [70년 CNU의 리더스피릿](공저, 2022), [공공성과 리더스피릿](공저, 2022), [인문학 속 민주시민교육](공저, 2022), [고전의 창으로 본 리더스피릿]공저, 2021), [청춘의 철학](2021), [플라톤철학의 실천이성담론](2017), [전쟁과 문명](공저, 2016), [플라톤과 소크라테스적 대화-문학형식의 철학적 사용](공저, 2015), [인문학과 법의 정신](공저, 2013), [신플라톤주의](공역, 2011), [시간과 철학](공저, 2009), “Selbsterkenntnis im Charmides”(2005) 등이 있다.

youngsik@cnu.ac.kr


선우현  청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사회비판과 정치적 실천], [우리 시대의 북한철학], [위기시대의 사회철학], [한국사회의 현실과 사회철학], [자생적 철학체계로서 인간중심철학], [홉스의 리바이어던],[평등], [도덕 판단의 보편적 잣대는 존재하는가], [한반도의 분단, 평화, 통일 그리고 민족](기획·편집), [왜 지금 다시 마르크스인가](기획·편집) 등이 있다.

hyunsunw@cje.ac.kr


송석랑  목원대학교 창의교양학부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학사, 석사) 하였고, 충남대학교 대학원에서 실존현상학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역서로 [인문예술, 세계를 담다](공저, 2022), [프랑스철학의 위대한 시절](공저, 2014), [현상학, 시적감각의 지성](2012), [언어와 합리성의 새 차원: 하이데거와 메를로퐁티](2004), [정신과학 입문: W. 딜타이](역서, 2014) 등이 있다.

phzeit@mokwon.ac.kr


안성호  대전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

대전대학교 교수와 부총장, 한국지방자치학회장, 한국행정연구원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대전대학교 명예교수와 한국경찰연구원 이사장 및 개헌국민연대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최근 [왜 서번트 리더십인가](공저, 2021), [왜 분권국가인가](2018) 등을 저술했다.

seongho.ahn214@gmail.com


양정호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중세 여성 영성을 전공했으며, 미국 클레어몬트 대학원에서 종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교회 협동목사로 있으며, 저서로는 [예수님과 함께하는 일만시간의 비밀](한국NCD미디어, 2022), [하나님을 향한 영혼의 여정](공저, 한국장로교출판사, 2018), 역서로는 [기독교 인물 사상 사전](홍성사, 2007)이 있다.

caritasnine@gmail.com


양준석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연세대학교에서 한국정치외교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연구이사, 한국정치학회 이사, 한국국제정치학회 대외협력간사로 활동 중이다. 대표 저술로는 [해방공간과 기독교](공저, 2017), [대한민국 국무회의록 1958](공편, 2018), “The Clash over Democrac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the Korean Liberation Period, 1946-1947”(2020) 등이 있다.

chirira@hanmail.net


이정우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대학 교수

충남대학교에서 조선시대사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연구 관심분야는 인물의 삶, 사회와 정치, 리더십 등이다. 저서로는 [천년을 거슬러 만나 본, 세종시 역사인물 12인 이야기](2023), [70년 CNU의 리더스피릿](공저, 2022), [20세기 대전의 리더스피릿](공저, 2022), [고전의 창으로 본 리더스피릿](공저, 2021), [조선시대 호서사족 연구](2002), [한국근세 향촌사회사 연구](2002) 등이 있다.

ljw729@hanmail.net


이종성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현재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장을 맡고 있다. 장자연구로 충남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저서로 [믿음이란 무엇인가](2014), [율곡과 노자](2016), [맨얼굴의 장자](2017), ][역사 속의 한국철학](2017), [동양필로시네마](2019), [위진현학](2001, 공저), [21세기의 동양철학](2005, 공저) 등이 있다.

chaos@cnu.ac.kr


이한우  논어등반학교장

고려대학교 영어영문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92년부터 신문기자로 일했고 2003년 조선일보 논설위원, 2014년 조선일보 문화부장을 거쳐 2016년부터 논어등반학교를 세워 논어, 주역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논어로 논어를 풀다], [이한우의 태종 이방원]이 있고 반고의 [한서] 등을 번역했다.

oxen7351@naver.com


임채광  대전신학대학교 교수

독일 카셀대학교에서 기술 사회의 문화 개념 관련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현재 한국철학적인간학회 연구이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마르쿠제의 ‘일차원적 인간’ 읽기](2015), [사랑](2020, 공저), [에리히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 읽기](2022), [인문학 속 민주시민교육](2022, 공저) 등이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철학적 인간학, 문화이론, 기술철학 등이다.

limchaikuang@hanmail.net


장영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한국외국어대학에서 서양고전철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 미네르바교양대학 교수이며, 한국여성철학회와 한국동서철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신들의 전쟁과 인간들의 운명을 노래하다](사계절, 2021), [영혼이란 무엇인가](서광사, 2020), [호모 페스티부스: 놀이와 예술과 여가로서의 삶](서광사, 2018),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서광사, 2018), [죽음과 아름다움의 신화와 철학](루비박스, 2015) 등이 있다.

phileidos@gmail.com


정영기  호서대학교 창의교양학부 교수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민주시민교육의 인문학적 기반연구](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학 독서토론 20선](에이치북스), [논리적 사고와 표현](에이치북스), [철학과 영상문화](해피북스), [과학적 설명과 비단조논리]엘맨출판사), [논리와 사고](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귀납논리와 과학철학](철학과 현실사), [논리와 진리](철학과 현실사)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현대 경험주의와 분석철학](고려대학교 출판부), [근대 철학사 데카르트에서 칸트까지](서광사), [공학 철학](서광사) 등이 있다.

jsch123@hanmail.net


최승우  교수신문 기자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군 시절 병영문학상에 응모, 국방부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교수신문 기자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마광수의 자유주의’와 ‘68혁명’, ‘네오마르크시즘’ 등이다.

kantmania@naver.com


최신한   한남대학교 명예교수(철학)

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독일고전철학으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헤겔학회, 대한철학회, 철학연구회의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Studia Humanitatis’의 대표로 활동 중이다, 저술로는 [헤겔철학과 형이상학의 미래], [지평확대의 철학], [현대의 종교담론과 종교철학의 변형]등 다수의 학술서적이 있다. 또한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과 [기독교 신앙] 등을 번역하였다.

ch0111@hnu.kr


허 현  충남대학교 사학과 교수

미국 위스컨신 주립대학교(매디슨)에서 도망노예와 관련된 북부 자유주들의 인신자유법(personal liberty laws)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의 노예제와 노예제폐지운동, 미국 혁명, 미국 내전 및 인종주의 등과 관련된 일련의 논문들이 있으며 현재 미국사는 물론, 기록학과 여성젠더학과 관련한 연구 및 대학원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hon422@cnu.ac.kr


황병기  서경대학교 동양학과 교수

연세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저서로 [정약용의 주역철학(연세국학총서96)](2014), [공자혁명: 2000년 전의 유교, 현대 교육에 메스를 대다](공저, 2015) 등이 있고, 역서로 [역주 대학공의 대학강의 소학지언 심경밀험] (공역, 2014) 등이 있으며, 「여헌 장현광의 도맥과 퇴계학 전승의 문제」(2016) 등의 논문이 있다.

philculture@hanmail.net

서언 3

 

1한국·동양의 공공성과 리더정신


주역과 태종 리더십 11

태종과 세종이 발휘한 국가경영 리더십 15

위기 상황 속 평정심 유지하기 - 청허 휴정의 리더십 18

율곡 이이 선생이 가르친 중화의 리더십 21

정약용의 [목민심서]에서 배우는 공직 리더십의 철칙: 위엄과 신뢰 24

우남 이승만의 자립국가를 향한 리더십 27

도산의 대공(大公)정신과 레스 푸블리카 31

민족의 천석종(千石鐘)을 울린 만해 한용운 35

단재 신채호의 사상적 실용주의와 자기 혁신의 셀프리더십 39

나라 없던 시대의 참 정치가’, 여운형의 리더십 43

가인 김병로가 보여준 공정과 정의의 실천 리더십 47

빈들에서 찾은 함석헌과 씨알의 리더십 50

공존과 평화의 담론, 노자의 어머니 리더십 53

고타마 붓다의 리더십: 지혜와 자비를 갖춘 지도자 56

공자가 제시한 리더상() 59

한비자와 경청리더십 62

당태종, 창업보다 수성이 어렵다. 어떻게 수성할 것인가? 65

팍스 몽골리카를 이룬 쿠빌라이의 실용 리더십 68

일본 전쟁사에서 확인하는 공공리더십 문제 - 세계관, 정보, 보급 71

약육강식에 대항한 불굴의 리더십, 호치민 74

 

 

 

2서양의 공공성과 리더정신

 

아가멤논의 폭군의 리더십과 정반대의 리더십을 가진 리더를 찾아야 81

오디세우스의 춘풍추상(春風秋霜) 리더십 84

플라톤의 [국가]에 투영된 전사의 용기와 리더십 87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의 리더십과 민주주의 이상 90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바라본 법의 지배와 법의 한계 94

로마공화정 최후의 리더스피릿, 카이사르와 옥타비아누스 97

예수처럼 리드하라 100

그리스도교 세계에서 인정받은 이슬람의 기사술탄 살라딘 104

시에나의 카타리나, 교황을 움직인 여성의 리더스피릿 107

엘리자베스 1세와 공공성 111

볼테르와 관용의 리더십 115

슐라이어마허의 국가론과 프랑스 혁명 118

꼬마 상병의 리더십으로 황제가 된 나폴레옹 121

페더럴리스트 페이퍼, 자유와 민주주의 리더십의 교과서 124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과 노예제폐지론자들이 일구어냈던 정치적 상상력의 리더십 127

토크빌의 민주주의 리더십과 풀뿌리 민주주의 131

아합 선장과 카리스마 리더십 134

라이트 형제의 셀프 리더십 137

리더의 조건, 성실한 사유와 인정의 용기 140

비판적 지식인의 역할과 계몽적 리더십 143

근대적 지식인론에 개진된 지식인의 계급 초월적·역사적 보편성 146

가능성과 불가능성의 경계에 서기 149

과학자 오펜하이머의 리더십 152

지휘자처럼 능력을 연결하고 상인처럼 희망을 팔아라! - 피터 드러커가 본 21세기 리더의 조건 155

무한한 대화로 새로운 길 찾기, 교육으로 인간을 치유하다 - 파울로 프레이리와 교육자의 리더십 158

정치의 퇴락과 민주주의 리더십 161

악동 휘어잡은 감독, 49번 우승을 이끌다 - 알렉스 퍼거슨 감독의 카리스마 리더십 164

과학자와 마에스트로 리더십 168

21세기 대한민국 공공리더십의 향방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