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행정학원론
신간
행정학원론
저자
김용철 외
역자
-
분야
행정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2.02.25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560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1369-6
부가기호
93350
강의자료다운
정가
35,000원

초판발행 2022.02.25


행정학이라는 학문은 종합학문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있는 학문 분야의 이론들이 총망라되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한 가지 더 특이한 것은 실용 학문이라는 것이다. 때로는 순수이론적인 논의도 있지만 대부분 우리 실생활에서 응용되고 적용될 수 있는 학문 분야가 많다. 그래서 훨씬 더 다른 학문보다 가깝게 느껴지고 애착이 가는 학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본서를 집필하고자 했던 주목적은 이러한 종합적이고 실용적인 학문 분야를 좀 더 쉽고 현실성을 반영한 원론서를 새롭게 만들어 보고자 했던 의도에서였다. 그래서 행정학을 배우고 또한 시험을 대비하는 학생들이 좀 더 이해를 쉽게 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갖게 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던 애초 목적이 있었다. 더 나아가 본서를 통하여 사회현상을 바라보는 안목을 키우고 정부 정책의 장단점과 문제점들을 스스로 분석, 평가하는 능력을 가지도록 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었다. 이런 목적하에 이에 찬동하는 많은 공저자 집필진 교수들이 대거 참여하여 각자 맡은 바 최고의 심혈을 기울여 집필하였고, 그래서 최고 양질의 원론서를 완성해 본다는 각오로 임하여 본서의 집필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이제 본서가 완성되어 사회로 출판되어 나오게 되면 오로지 그 공과는 독자들의 판단에 맡길 수밖에 없다. 이런 의미에서 2년여에 걸친 집필에서 오는 홀가분한 심정보다는 오히려 앞으로 있을 독자들의 지도편달에 더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게 된다. 본서는 모두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정책이론 부분은 기존의 정책학적 논의와 더불어 경제학적 측면에서 본 정책이론적 논의를 특별히 첨가하였다. 그리고 지방자치 부분은 현재의 지방자치법 개정 변화와 현 지방자치 상황을 모두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조직이론에서는 최근에 가장 논의되고 있는 조직이론들을 담아내고자 노력하였고, 정보화 행정과 미래 행정의 논의에서는 현대의 4차 산업혁명에 따르는 정보정책과 미래행정의 변화에 대해 특별히 새로운 내용들을 많이 첨가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행정의 민·관 협력적 차원이 최근 많이 강조됨에 따라 거버넌스와 행정이라는 부분을 새로 신설, 구성하여 보다 깊이 있는 행정과 거버넌스 이론의 상호연관성에 대해 논의하고 소개하였다. 따라서 본서는 훨씬 더 최근의 연구와 이론경향 및 현재의 시대적 현실 상황을 최대한 반영하여 집필되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본서는 대학생이나 대학원생 그리고 공무원 수험생이나 실무에 종사하고 있는 행정공무원 등 누구나 쉽고 가깝게 볼 수 있도록 집필되어서 그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큰 기쁨이라 아니 할 수 없다. 본서의 완성에는 일일이 열거할 수 없지만 특별히 소중하고 고마운 분들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많이 주셨기 때문에 출판이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특히 출판계의 여러 가지 사정에도 불구하고 흔쾌히 출판을 허락해 주신 박영사의 안종만 회장님께 이 자리를 빌려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2022년 2월저자 일동

강은숙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행정학 전공 교수
한국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
한국정책학회 정책학교수특별위원회 이사

김국진
현재 인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한국정책학회 지속가능정책특별위원회 이사
한국정책개발학회 기획이사

김선희
현재 한경대학교 공공행정전공 교수
강릉원주대 자치행정학과 교수
경기복지재단 책임연구원

김용철
현재 부산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경상남도 제13대 경남연구원 원장
경상남도 제2대 경남평생교육진흥원 원장

김정완
현재 대진대학교 행정정보학과 교수
대통령 자치분권위원회 전문위원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사회민관협의회 위원

김정학
현재 고려대학교 행정전문대학원 교수
세종특별자치시의회 행동강령자문위원장
한국정책학회 재정정책특별위원회 이사

김종석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영경제학부 교수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
국토교통부 항공심의위원회 심의위원

김태진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행정학전공 교수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한국정책학회 부회장

김태희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행정안전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 편집위원

김혜정
현재 선문대학교 행정공기업학과 교수
국방부 자체평가위원
행정안전부 합동평가위원

남창우
현재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경북대 행정대학원 원장
한국도시행정학회 회장

노승용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발전기금 심의위원
한국조직학회 회장

류근필
현재 전남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전남대 정책대학원 부원장
한국인사행정학회 연구이사

문광민
현재 충남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기획재정부 공공기관감사평가단 위원
서울행정학회 연구위원장

박종관
현재 백석대학교 경찰학부 교수
기획재정부 공기업 평가위원
한국공공행정학회 회장

송건섭
현재 대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경찰청 성과평가위원
한국정부학회 회장

안성수
현재 창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행정고시 출제 및 채점 위원
기획재정부 지방공기업 평가위원

오승은
현재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대통령 자치분권위원회 위원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위원

이  건
현재 한양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기획재정부 책임운영기관 평가위원
기획재정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위원

이석원
현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서울대 국제개발협력평가센터 소장
세계 스마트시티기구(WeGO) 자문위원

이석환
현재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교육부 자체평가위원회 평가위원
한국행정학회 대한민국재설계추진단 위원장

이승모
현재 지방자치인재개발원 교수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 이사
한국지방자치학회 공무원교육특별위원장

장봉진
현재 대구한의대학교 의료경영학과 교수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정책 평가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공공기관 평가위원

장인봉
현재 신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경인행정학회 회장
대통령 자치분권위원회 위원

조승현
현재 전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한국자치행정학회 회장
대통령 자치분권위원회 위원

조주연
현재 충북도립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논산시 성과평가위원
도로교통공단 평가위원

한세억
현재 동아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회장
국민권익위원회 정책자문위원

제1장 행정의 학문적 기초   1
제1절 행정의 개념과 성격   17
제2절 행정학의 역사적 발달과 변천   28

제2장 행정이념과 가치   37
제1절 행정이념의 개념   39
제2절 행정이념의 특성   41

제3장 행정책임과 통제   49
제1절 행정책임의 이론적 기초   51
제2절 행정통제의 이론적 기초   60

제4장 비교·발전행정론   73
제1절 비교·발전행정론의 개괄   75
제2절 비교·발전행정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특징   80
제3절 비교·발전행정론의 연구대상 및 방법론   85

제5장 정치행정과 경제   93
제1절 다원주의 이론   95
제2절 조합주의 이론   102
제3절 근대화 이론   105
제4절 종속이론   107

제6장 정책이론   111
제1절 정책이론의 기초   113
제2절 정책과정   119
제3절 정책과 제도, 정책참여자, 정책네트워크   130
제4절 정책변동론   141
제5절 정책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   149

제7장 기획이론과 성과관리   161
제1절 기획이론의 기초   163
제2절 내·외부환경 평가   168
제3절 전략적 기획과 성과관리   172
제4절 전략적 성과관리   189
제5절 전략적 기획의 평가와 통제   198

제8장 조직이론   201
제1절 조직이론의 기초   203
제2절 조직 환경과 목표   211
제3절 조직과 구조   220
제4절 조직과 리더십 이론   230

제9장 행정과 거버넌스   251
제1절 거버넌스의 기초   253
제2절 거버넌스의 등장배경   259
제3절 거버넌스의 접근법   262
제4절 거버넌스 이론의 문제점   278

제10장 인사행정   281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   283
제2절 인사행정제도   285
제3절 공직의 분류   290
제4절 임용   295

제11장 재무행정   299
제1절 예산의 기초   301
제2절 예산 과정   317
제3절 예산이론과 예산개혁   334
제4절 재정관리 제도   346

제12장 지방자치   359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   361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구   364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382
제4절 지방재정   397
제5절 지방정치   411
제6절 정부간관계론   423

제13장 정보화 행정   429
제1절 전자정부의 개괄   431
제2절 국가정보화 발전 과정   436
제3절  전자정부 추진 내용   449

제14장 행정개혁과 정부혁신   457
제1절 행정개혁의 기초   459
제2절 행정개혁의 과정과 방법   462
제3절 행정개혁의 저항 및 해결 방안   469
제4절 정부혁신과 적극행정   475
제5절 행정개혁의 방향   483

제15장 미래행정의 과제 99
제1절 디지털 정부의 기초   501
제2절 디지털 전환과 정부의 역할   503
제3절 인공지능 정부의 양면성   507
제4절 인공지능 정부의 이념과 가치    512
제5절 창조적 정부의 전망   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