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산업보안 및 위기관리> 국제표준 개론
신간
<산업보안 및 위기관리> 국제표준 개론
저자
박현호
역자
-
분야
경찰행정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1.08.10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72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1325-2
부가기호
93350
강의자료다운
-
정가
25,000원

초판발행 2021.08.10


표준은 보안 및 재난안전 산업을 포함한 산업 경제와 기업성장을 견인하는 국가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동시에 각종 테러 공격이나 범죄,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편안하고 안전한 삶을 보장하는 국가인프라에 해당한다.
저자는 보안, 범죄과학, 리스크?위기 관리(risk?crisis management) 분야에서 약 10여년 간 연구책임자로서 다수의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관련 국제 및 국내 표준화 기구에서 활동해 왔다. 개인적으로 표준을 접한 최초의 경험은 현직 경찰관 신분으로 2000년대 초반에 공무원 국외훈련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영국에 교육 파견을 가서 석사과정 공부를 하던 중에 있었다. 당시 만나서 많은 이야기를 나눈 영국 경찰관들이 보안과 범죄예방 분야에서 EN, BS, PAS 등 표준을 수시로 언급 및 강조하는 점을 보고 한국에는 왜 이런 표준이 없고 표준화가 안되어 있는지에 대한 강한 호기심에서 표준을 연구하면서,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는 헌법 제127조에 의해 국내외 표준체계를 총괄하는 산업통상부와 국가기술표준원(특히 당시 박정우?조영돈 연구관님) 관계자분들의 열정적인 가이드와 도움을 받아 국내와 스위스 ISO 본부 등에서 표준화 전문교육을 이수하면서, 나아가 관련 분야 ISO 표준 기술위원회 총회와 워킹그룹 회의에 참여하면서 표준 전문가로 성장하게 되었다. 
초기인 2007~2010년 사이에는 유럽 CEN/TC 325(물리보안)에 국제옵서버로 참여하여 활동하면서 비엔나 협약의 의미를 다소나마 이해하게 되었다. 2009년에 ISO/TC 292로 통합된 ISO 프로젝트위원회 ISO/PC 246 제품위조방지(anti-counterfeiting tools)에 한국 전문가로 참여를 시작하였고, 2010년부터는 ISO/TC 247 위조사기방지(fraud countermeasures and control)의 워킹그룹 컨비너, ISO COPOLCO(소비자정책위원회)의 태스크그룹 컨비너로 각각 임명되어 더 이상 방관자가 아닌 리더급으로 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특히 2014년 7월에는 컨비너 자격으로 국가기술표준원과 함께 서울에서 ISO/TC 247 총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 TC247이 2015년 1월에 ISO/TC292 보안 및 회복력(Security and Resilience)에 흡수되고 나서는 산업보안, 재난관리, 위기관리 분야의 다양한 워킹그룹에 참여하면서 프로젝트리더 및 전문가로서 ISO 국제표준을 제안하거나 코멘트 제시, 회의 주재 등의 적극적인 방식으로 활동하였다. 
저자의 표준 개발 노력을 연대기적으로 돌이켜 보면, 2007년~2011년 간 매년 국가기술표준원(KATS) 학술연구용역 ‘범죄예방환경설계 (CPTED) 표준화 연구’을 통해 KS A 8800 1종을 제정 완료하였고, KS 표준안 5종 개발을 완료한 바 있다. 이후 2012~2014년에는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 R&D 총괄책임자 과제 수행으로 ISO 22380 표준을 제안 및 제정 완료하였으며, 2017~2020년에도 총괄책임자 과제 수행으로 물리보안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ISO 22341 범죄예방환경설계 표준을 제안 및 제정 달성하였다. 국가표준인 KS 4종도 제안하여 입법예고를 완료한 바 있다. 연구 성과인 ISO 22341 제정으로 우리나라가 보안 및 범죄예방시스템 분야 국제표준화를 주도하고, 보안산업 및 방범기기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서비스 표준으로서 ISO 22341는 CPTED 분야 세계 최초의 국제표준으로서 이 분야 산업화와 응용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표준이다. 이 밖에도 한국표준협회 부합화 표준 제정안 개발 과제 연구책임 수행으로 ISO 22380, 22381, 22382(제품위조방지 3종) 및 ISO 18385, 21043-1, 21043-2(법과학 3종)의 부합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2017~2020년(4년) 간 국제저명저널 SCI급 2편과 연구재단 등재지 포함 총 22건의 보안 및 리스크관리 표준화 분야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표준의 선진화 및 활용 활성화에도 기여하였다. 먼저 공공서비스 전문위원회 위원으로서 재난관리, 범죄예방, 법과학, 부패방지경영시스템 등 30여종의 서비스 표준의 KS제정 및 개정 활동에 참여하였다. 2016~2019년 간 대학, 경찰청 등 정부 기관 등을 대상으로 범죄예방 시스템 표준화 등 강의와 컨설팅을 하여 국제표준과 국가표준 도입을 권고하고 표준화가 미진한 경찰의 범죄예방시설 환경디자인 분야 표준화를 지원하였다. 또 저자가 주도하여 제정한 ISO 22341 표준의 보급과 표준화를 위해 보안 및 범죄예방 표준화 사업 관련 핵심 전문단체인 (사)한국방범기술산업협회의 범죄예방성능 관련 단체표준 2건 제정을 완료하였다. 이후 단체표준 제정 후 인증심사위원회를 거쳐서 (사)한국방범기술산업협회의 1호 단체표준 인증을 획득하는 등 산업화에도 기여하였다.
이러한 개인의 표준화 경험과 연구를 통해 쌓은 지식과 정보를 저술 작업을 통해 보다 많은 분들과 공유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던 차에 2017년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사업에 채택되어 4년여의 작업 끝에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
아무쪼록 이 저서가 산업보안, 재난관리, 위기관리 분야에서 열띠게 진행되고 있는 ISO 표준화의 내용에 대하여 나름 유익한 정보이자 소스가 되어 주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저자가 본서에 나오는 방대한 표준 분야를 모두 잘 아는 전문가는 아니며 그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분량이 방대하고 분야도 다양한 표준 분야 학술서의 저술은 당연하게도 큰 어려움과 도전을 받았고 그런 이유로 완성도에 한계가 많음을 고백하며 이 분야 전문가와 연구자들께서 너그러운 마음으로 양해를 구하는 바이다. 다만 겸허한 마음으로 표준의 내용을 번역, 정리, 해석, 재해석 과정을 통해 내용을 요약하고 시사점도 발굴하기 위해 장기간 성실하게 땀을 흘린 점에 스스로 자긍심을 갖고 위안을 삼고자 한다. 앞으로 독자분들께 이 저서의 완성도가 조금이라도 향상되기 위한 지적과 조언을 머리 숙여 요청드리고자 한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많은 사람의 인내와 배려가 있었다. 우선 오랜 연구와 집필로 인하여 자주 힘들어하던 저자를 늘 감싸고 응원해주신 부모님, 항상 격려와 위로를 아끼지 않은 아내와 사랑스런 딸 상미, 시연, 지안에게 감사한다. 또한 고된 집필과 교정 과정에서 지도교수를 철석같이 믿고 처음부터 끝까지 정성으로 도와준 연구소의 박민진, 정지연 연구원에게 머리 숙여 고마움을 표현하고 싶다. 그리고 그간 저자의 연구를 직접, 간접적으로 도와주신 장태우 교수(경기대), 이주락 교수(중앙대), 김면기?서준배 교수(경찰대), 김학경 교수(성신여대), 정제용 교수(울산대), 조준택 박사(경찰인재개발원), 박윤규 회장님(한국방범기술산업협회), 표창원 소장님(표창원범죄과학연구소), 국내 소방시설 표준화에 대응하여 방범시설 성능표준화를 도와주신 민갑룡 경찰청장님, 박인욱 센터장 및 김효건 연구원(KCL), 신지웅 대표님과 고정림 사장님(EAN 테크놀로지)을 비롯하여 많은 분들께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국제표준 ISO/TC 292 등에 대응하는 공공서비스 전문위원회의 위원님들과 국가기술표준원 및 한국표준협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담당자분들의 정성 어린 조언과 기여도 저술에 큰 힘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어려운 출판환경과 여러 가지 무리한 부탁에도 불구하고 흔쾌히 응해주신 도서출판 박영사의 직원분들과 멋진 모습의 저서를 위해 세심하게 편집을 맡아 주신 염상호 위원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

저를 아는 모든 분들의 안전과 행복을 기원하며......
2021년 8월에 부아산 자락 연구실에서

학력
국립경찰대학 행정학과 졸업
영국 Portsmouth 대학교, 형사사법학 석사
영국 Portsmouth 대학교, 박사(보안 및 범죄과학)


경력
(현) 산업통상부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 프로젝트 총괄책임자
(현) ISO/TC 292 Security and Resilience 프로젝트 리더
(현) ISO 22341 및 ISO 22380 프로젝트리더 ISO/TC247 Fraud countermeasures and control 컨비너 역임ISO COPOLCO(소비자정책위원회)의 태스크그룹 컨비너 역임
(현) 용인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겸 범죄과학연구소(www.crimescience.kr) 소장
(현) 산업통상부 NEP 인증 심사위원
(현) ISO 표준 KS부합화 프로젝트 책임연구자
(현) 한국경찰연구학회 회장
(현) 한국셉테드학회 부회장
(현) 한국산업보안학회 및 한국경호경비학회 이사
(현) 국가기술표준원 공공서비스 전문위원
(현) 과학기술정통부 심의위원  국립경찰대학 경찰학과 교수 역임

[저서 및 논문]
ISO/TC 292에 의한 산업보안 분야 국제표준화의 동향
제품 및 문서의 위조·사기 범죄 대응 관련 ISO 국제표준 고찰
Global trends in the standardization of the burglary-resistance testing of security hardware
산업분야에서 물리적·인적 보안 시스템의 개선방안
범죄유발 지역·공간에 대한 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적용 및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주거시설에 대한 CPTED 평가인증 기준 개선방안 연구
주거침입범죄 예방을 위한 물리적 침입저항체계 기준 연구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와 범죄과학(저술서)
민간보안론(저술서)

CHAPTER 01
서론

제1절 연구저술의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주요 내용 8
제3절 분석 및 저술의 방법 15


CHAPTER 02
연구저술의 범위 및 용어의 정의

제1절 연구저술의 범위 19
제2절 핵심 용어의 정의 21


CHAPTER 03
보안 표적, 위협, 대응책

제1절 보안 표적(target) 32
제2절 보안 위협(threats) 41
제3절 보안 대응책(countermeasures) 45
제4절 핵심 기술역량 표준화 체계 48


CHAPTER 04
업무연속성관리

제1절 업무연속성관리(BCM) 관련 표준 개관 61
제2절 ISO 22313 업무연속성관리 가이드 68


CHAPTER 05
제품 및 문서 보안

제1절 제품과 문서 보안 관련 표준 개관 93
제2절 ISO 22380 제품사기 방지의 일반 원칙 98
제3절 ISO 22383 진품판정솔루션의 성능기준 106
제4절 ISO 16678 및 22381 (진품식별시스템 및 상호운용성) 117
제5절 ISO 22382 소비세 납세증지의 보안 요구사항 127


CHAPTER 06
보호적 보안

제1절 보호적 보안 관련 표준 개관 137
제2절 ISO 22340 보호적 보안의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가이드라인 143
제3절 ISO 18788 민간보안서비스 경영시스템의 사용 지침 요구사항 152
제4절 ISO 22341 범죄예방환경설계 가이드라인 164
제5절 ISO 22311 영상감시 송출 상호운용성 185
제6절 ISO 28000 공급사슬 보안경영시스템 표준 시리즈 194
제7절 ISO/IEC 27000 정보보안(보호) 경영시스템 표준 시리즈 214
제8절 ISO 37001 반부패(뇌물방지)경영시스템 221
제9절 법과학 표준 231


CHAPTER 07
긴급사태관리 및 커뮤니티 회복력

제1절 긴급사태관리 및 커뮤니티 회복력 관련 표준 개관 249
제2절 ISO 22320 긴급사태 관리 가이드 254
제3절 ISO 22315 다중대피계획 지침 263
제4절 ISO 22322/22324 공공 예보·경보와 경보 컬러코드 276
제5절 ISO 22328-1 자연재난 시 조기경보시스템 지침 286
제6절 ISO 22326 긴급사태 관리를 위한 위험시설 모니터링 292
제7절 ISO 22351 긴급사태관리 시 정보교환 메시지 구조 297
제8절 ISO 22329 긴급사태 시 소셜미디어 사용 지침 301
제9절 ISO 22370 도시 회복력 프레임워크 및 원칙 311
제10절 ISO 22395 위기/재난 시 취약집단 보호·지원 지침 322
제11절 ISO 22360 위기관리 시리즈 332


CHAPTER 08
산업보안 및 위기관리 분야 국제표준화의 전망

제1절 표준화를 통한 보안·위기관리 분야 서비스 및 산업의 발전 340
제2절 국제표준화의 전망 343
제3절 저술의 한계 및 후속 연구의 방향 346